..

남성갱년기의 진단
골다공증, 갱년기 크리닉에서 실시하는 남성갱년기 검사 ( 공복 상태로 시행 )
- 남성호르몬 검사 ( 총 테스토스테론 , 유리 Testosterone, LH, prolactin )
- 고지혈증 검사, 심혈관계질환 예측지표 ( HS-CRP ),
- 경동맥 도플러 검사 ( doppler ), 심장 초음파 검사,
- impedance ( 체지방, 근육량 측정 )
- 골밀도 검사 ( 척추, 대퇴골 : DEXA ),
- 골 표지자 검사,
- 척추 x ray ( 단순 촬영 )
- 전립선 검사 (PSA),
- 전립선 초음파 검사, 직장수지검사 ( DRE )
- 복부 초음파 검사
- 기타 기본적인 혈액, 소변검사 ( 간기능, 당뇨, 빈혈 등 )
- 2 차적 원인 감별을 위한 갑상선 기능 검사 , IGF-1
|
남성호르몬 보충요법 ( ART : androgen replacement therapy )의 방법 
우리 나라에서 임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테스토스테론의 보충방법
. 주사제
3 - 4 주에 한번씩 근육주사를 하는 방법으로 주사후 72 시간 이내에 최대농도에 도달한 후 수 시간에 걸쳐 서서히 감소합니다. 장점으로는 충분한 혈중 테스토스테론 농도에 도달할 수가 있고 이 것이 수주일 동안 유지된다는 점입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정상적인 생체리듬인 호르몬의 일중 혈중농도 변동을 일으킬 수 없고 생리적 용량보다 비정상적으로 높은 테스토스테론 농도 ( roller coster effect ) 와 유방통 등이 생길 수 있으며 주사라는 단점이 있습니다.
. 경구제 ( 복용하는 방법 )
과거에는 먹는 약으로 간독성이 있어 많이 사용하지 않았으나 최근에 사용된 지용성인 약물은먹는 약이지만 간독성이 거의 없고 효과적으로 혈중 농도를 올린다는 장점이 있어 많이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생리적인 농도 이상의 높은 혈중 농도가 유발될 수 있으며, 임파계를 통해 흡수되므로 식사와 함께 복용하여야하며, 반감기가 짧아 하루 2 회이상 복용하여야하고 간혹 소화불량을 일으키는 단점이 있습니다.
. 경피제 ( 피부에 부착하거나 바르는 방법 )
일반 피부에 부착하는 방법, 음낭에 부착하는 방법, 피부에 바르는 방법 등이 개발 되어있고 주사제, 경구제와 비교해 볼 때 남성 호르몬의 생리적 혈중 농도와 가장 유사한 혈중농도를 만들 수 있으며 주사의 불편함이나 소화불량 등을 일으키지 않는 장점등으로 가장 이상적인 방법으로 추천하지만 피부 자극, 과민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며 우리나라 사람들의 경우 주사제나 경구제에 비해 선호도가 떨 어진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pallet 방법
일정기간 피하에 약물을 삽입해두는 방법이지만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남성 갱년기의 치료 효과는
. 골밀도의 증가
. 체형의 개선 효과, 근력 증가
. 성기능 개선, 성욕 증가
. 신체기능 회복, 신체 기능의 강화
활력증가, 우울증, 수면장애 등의 개선
남성 호르몬 보충요법시에 염두에 두어야할 사항
PADAM ( progressive patial androgen deficiency in anging male ) 환자에 있어서 남성 호르몬 보충요법이 최근들어 관심을 모으고 있으며 구미뿐마아니라 국내에서도 이에 대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시점에서 우리가 명심하여야할 점은 사용하기 시작한지 60 년이 넘은 폐경 여성에서의 에스트로젠 ( 여성 호르몬 ) 보충요법도 득실에대한 논란이 아직까지도 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이에 비하여 PADAM 환자에 있어서 남성 호르몬 보충요법은 그 역사가 짧아 아직까지 정립되어야할 많은 논쟁거리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모든 다른 수술적 또는 내과적인 치료법과 마찬가지로 노인 남성에서의 남성 호르몬 보충요법도 그 이득과 위험성을 의사와 환자가 사전에 잘 이해하고 신중한 선택을 하여야합니다. 특히 노인 남성에게 있어서 남성호르몬 보충요법이 지니는 위험성 중 가장 관심있게 주시해야 할 부분은 심혈관계와 전립선에 대한 악영향 가능성입니다.
) 심혈관계에 대한 남성호르몬의 영향은 직접적인 영향보다는 혈청지질 성분비의 변화를 수반하는 간접적인 영향-- HDL cholesterol 감소, LDL cholesterol 증가 -- 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남성 호르몬 보충은 남성 호르몬이 부족한 갱년기 환자에게 관상동맥의 혈관 이완 ( vasodilatation )작용으로 보호작용도 가지고 있습니다.
) 전립선 비대증과 전립선암은 노인 남성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질환입니다. 이 두 질환 이 모두 남성 호르몬 의존적이며 남성호르몬 박탈요법이 효과적임은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 그러나 현재까지 단기적인 남성 호르몬보충요법이 전립선암이나 전립선 비대증을 일으키거나 임상증상을 악화시켰다는 결정적인 증거는 없습니다. 하지만 전립선비대증과 전립선암이 노령에 흔히 나타나는 질환임을 고려할 때 분명히 주의를 기울여야합니다.
) 남성 호르몬 투여는 체내 수분축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간독성은 일부 경구용 약제에만 문제가 됩니다. 여성형 유방이 발생할 수도 있으나 대부분 치료를 중지하면 자연적으로 회복이 됩니다. 남성 호르몬이 기존의 수면 무호흡증을 악화시킬 수는 있지만 이를 새로이 발생시킨다는 증거는 없습니다.
따라서 여러 부작용을 고려할 때 전립선암 환자, 적혈구 증가증 환자는 치료대상에서 제외하고, 전립선 비대증 증상이 있는 환자, 수면 무호흡증 환자는 주의를 요합니다.
여성 갱년기 치료와 마찬가지로 남성 갱년기 치료도 정확하게 언제까지 치료해야 한다는 기준은 현재까지 없습니다. 하지만 특별한 금기 증상이 없고 치료의 적응증이 되는 경우 장기간 치료를 유지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남성 갱년기의 치료와 대처 방법
현대 의학의 패러다임은 과거와는 달리 단순한 질병의 치료, 수명연장이 아닌 ' 삶의 質 ( Quality of life ) ' 에 맞추어져있습니다. 특히 남성 갱년기와 같은 경우, 단순히 나이 탓으로 돌리는 자연적인 노화현상이 아닌 질병 -- 당뇨나 갑상선 질환들과 마찬가지로 남성 호르몬이 부족 한 내분비 질환 -- 으로 보는 인식의 전환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따라서 남성 갱년기가 의심된다면
) 객관적인 진단 하에 남성호르몬 보충 요법 -- 정신과적인 심리 치료가 아닌 내과적인 약물요법
) 가족들의 남성 갱년기에 대한 이해
) 생활 생활 습관의 교정 -- 흡연과 과음은 삼가하고, 규칙적인 운동 및 적절한 성생활은 남성 갱년기를 극복하는
데 필수요소입니다.


.
.
당신의추억이 머무는곳카페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