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5670 아름다운 동행
카페 가입하기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1. 별아래.
    2. 몽이
    3. 제이인
    4. 꽃별이
    5. 양평
    1. 영혼
    2. 몽땅
    3. 늘열시미
    4. 전찬수강릉
    5. 하얀솔
  • 가입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 가입
    1. LOVE훈이여
    2. 선우씨
    3. 이윤수
    4. 라라임
    5. 하늘마차
    1. 골프지기
    2. 예술사랑 TV
    3. 별나마님
    4. 당근
    5. 산소리
 
카페 게시글
◐――― 자유게시판 스크랩 그 집을 생각하면/ 김남주
거웨인 추천 0 조회 93 18.04.17 18:20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그 집을 생각하면/ 김남주

 

이 고개는

솔밭 사이사이를 꼬불꼬불 기어오르는 이 고개는

어머니가 아버지한테

욱신욱신 삭신이 아리도록 얻어맞고

친정집이 그리워 오르고는 했던 고개다

바람꽃에 눈물 찍으며 넘고는 했던 고개다

어린 시절에 나는 아버지 심부름으로

어머니를 데리러 이 고개를 넘고는 했다

고개 넘으면 이 고개

가로질러 들판 저 밑으로 개여울이 흐르고

이끼와 물살로 찰랑찰랑한 징검다리를 뛰어

물방앗간 뒷길을 돌아 바람 센 언덕 하나를 넘으면

팽나무와 대숲으로 울울한 외갓집이 있다

까닭 없이 나는 어린 시절에

이 집 대문턱을 넘기가 무서웠다

터무니없이 넓은 이 집 마당이 못마땅했고

농사꾼 같지 않은 허여멀쑥한 이 집 사람들이 꺼려졌다

심지어 나는 우리 집에는 없는 디딜방아가 싫었고

어머니와 함께 집으로 돌아갈 때

외할머니가 들려주는 이런저런 당부 말씀이 역겨웠다

나는 한번도 들여다보지 않았다

아버지가 총각 머슴으로 거처했다는 이 집의 행랑방을

 

- 시집『나와 함께 모든 노래가 사라진다면』(창비, 1995)

.................................................


 김남주 시인은 그의 여러 작품에서 집안 내력을 정직하고 소상하게 까발렸다. 아버지를 노래한 시에서 그래 그는 머슴이었다/ 십 년 이십 년 남의 집 부잣집 머슴살이었다/ 나이 서른에 애꾸눈 각시 하나 얻었으니/ 그것은 보리 서 말에 얹혀 떠맡긴 주인집 딸이었다김남주 시인은 어릴 적 아버지와 어머니가 지독시리 자주 싸웠다면서 부잣집 딸과 그 집 머슴출신 남편의 혼인생활이 평탄할 리는 없었을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그가 사회적 모순에 눈 뜨고 저항의식을 갖게 한 것은 성장 후 책이나 사회현상에 대한 통찰에 의해서가 아니라 순전히 어린 시절 외갓집에 대한 반감때문이었다고 토로한 바 있다. 어린 나이에도 자신이 사는 초가집과는 외양부터 크게 다르고 머슴을 서넛 부리는 외갓집에 대해 거부감이 컸던 것이다.


 인류의 역사를 하느님의 섭리라고 생각하는 숙명론을 주장하는 사람도 있으나, 가진 자와 못 가진 자의 계급투쟁으로 보는 유물론적 역사관에 솔깃했던 지난 시절이 있었다. 인간은 본디 불평등을 참지 못하는 성정을 갖고 태어나기 때문에 역사에서 민중들은 늘 평등을 위해 싸워왔고 지금도 싸우고 있다. 인류의 역사는 끝없는 권력투쟁의 역사이다. 그리고 부와 권력을 손에 넣기 위한 가진 자들 간의 다툼으로 국민은 편할 날이 없다. 그들은 국가와 국민을 명분으로 앞세우기도 하지만 싸움의 진짜 이유는 자신들의 지배욕구와 영달 때문이다. 자본주의는 다 같이 잘 사는 세상을 꿈꾸며 부를 허용하지만 가진 자들의 겸손과 권력욕구의 통제 없이는 세상은 아수라장이 되어 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 상태로 회귀될 우려마저 있다.


 그러므로 자본주의사회에서 가장 필요한 덕목이 '겸손'과 박애정신이다. 승자독식의 자본주의가 아니라 모두를 위한 자본주의로 박애자본주의가 최근 세계경제의 새로운 조류로 자리잡아가고 있는 이유다. 개인적 선행의 차원을 넘어 배품과 나눔이 양극화 등 다양한 사회문제를 체계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믿음을 바탕으로 한다. 일찍이 자선사업의 지평을 열었던 카네기는 사회의 경제번영으로 가장 커다란 수혜를 입은 사람들은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변화시키는데 자신의 돈과 재능을 써야할 의무가 있다고 했다. 오늘날 우리가 이토록 어지러운 세상에서 불안하게 사는 까닭에는 한계를 드러낸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에서 재벌들의 각성 부족과 함께 지난 정부의 경제민주화 의지가 전혀 가동되지 않았던 탓이다.


 ‘자유, 평등, 박애는 프랑스 혁명 당시 민주주의 대원칙으로 내세운 정신이기도 하다. 장발장의 도둑질에 뺨을 후려치지 않고 선으로 갚은 신부님의 행동은 장발장을 감동적인 박애주의자로 거듭나게 한 계기가 되었다. 한국의 재벌들에게 박애정신을 기대할 수 있을까. 대한항공은 4년 전 조현아 사건에 이어 또 다시 조현민 갑질 횡포로 시끌시끌하다. 언니가 호되게 당한 것을 반면교사로 삼았다면 매사 주의를 기울였어야하는데 그게 잘 안 되었던 모양이다. 그 집안의 내력이거나 성정 탓일까. 선대 조중훈 회장의 품성이나 아버지 조양호 회장의 기질로 미뤄보면 딱히 피를 물려받았다 단정키는 어렵다. 4년 전에도 조 회장이 자식을 잘 못 가르쳤다며 사과문을 읽은 일이 있는데, 과거 한때 그쪽 밥을 먹었던 사람으로서 안타깝다.

 

 어쩌면 잘못 가르쳤다는 고해는 사실일지 모르겠다. 80년대 후반 조중훈 회장의 부암동 사저 집사에게서 들은 이야기다. 선물로 들어온 세계도처의 진귀한 과일들이 창고에서 산더미처럼 쌓여 썩어가고 있었다. 하루는 그 과일들을 나무 밑에 파묻으란 지시를 받았다. 머슴들로서는 아깝다는 생각이 들었다. 집사는 조심스럽게 사모님께 여쭈었다. “버리시기 전에 저희들께 나눠주시면 고맙게 얻어먹을 텐데요...” 사모님 말씀하시기를 집안으로 들어온 물건을 함부로 남에게 주는 법이 아니라네, 더구나 아랫사람들에게 돌리다니 무슨 그런 당치않은...” 지청구를 듣고서야 자신의 신분과 분수를 얼른 자각했다고 한다. 그 분위기에서 그 광경을 보며 자랐을 당시 초등 저학년의 자매를 떠올려본다. 그에 비한다면 김남주 시인의 외가에서 비록 '애꾸눈'의 어머니지만 아버지에게 넘겨주신 처사는 차라리 박애의 발로였으리라.


권순진


 

A New Day - Kevin Bluemel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