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벌식 모아치기 e-2016 자판으로 판올림 되었습니다.
판올림 된 세모이 2016 자판의 사용을 부탁드립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http://cafe.daum.net/3bulsik/JMKX/125 를 참고해 주세요.
개발자를 위한 규격은 http://ssg.wo.tc/30187905646 를 참고해 주세요.
세벌식 모아치기 2015
목차
1 개요
2 제작 사항
3 적용법
3.1 윈도우즈
3.2 리눅스 & Mac OS (혹은 Wine 이 실행되는 OS들)
3.3 안드로이드
3.4 그 외 운영체제 (혹은 날개셋을 설치할 수 없는 윈도우즈)
4 매크로 (약어)
5 기타
1 개요
'세벌식 모아치기 2015'는 공병우 박사님의 '세벌식 최종' 자판에서부터 시작하여 기존의 자판들을 '모아치기' 기술을 통해 장점들을 반영하는 데에 주안점을 둔 자판입니다. '한 번에 모아치기'(동시치기/속기)가 가능하고, 특수기호의 위치를 영어 자판과 되도록 같게 하였으며, 한 손가락 타이핑이 가능하며, 글쇠 수가 적어서 익히기 쉽고 스마트폰 타이핑이 용이합니다.
이 자판은 한 글자를 한 타에 입력하는 '한 번에 모아치기' 글판입니다. 피아노를 치듯이 입력할 수 있는 자판이며 그 모양이 마치 새가 모이를 쪼듯이 손이 움직이기 때문에 '세모이 자판'(세벌식 낱자가 모이는 자판)이라는 약칭으로도 불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첨부파일에는 일반 자판처럼 치는 이어치기, 초성 · 중+종성으로 한 글자를 두 번에 모아 치는 '나눠 모아치기' 설정도 함께 담겨져 있으므로 이어치기와 모아치기를 선택하여 치실 수 있습니다. 이 자판의 이어치기 체험은 http://www.seiryeon.com.ne.kr 에서, 한 번에 모아치기 체험은 http://3beol.github.io 나 http://ohi.pat.im 에서 하실 수 있습니다.
* 컴퓨터 자판 보기
세벌식 모아치기 2015
<일반 배열도>
(녹색은 첫소리, 갈색은 가운뎃소리, 적색은 끝소리입니다.)
(작은 따옴표(B), 세미콜론(L)을 제외하고 기호들의 위치는 QWERTY와 같습니다.)
(전각 기호는 'Alt + =' (전각/반각 전환키)를 통해서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특수기호/옛한글 확장 배열도>
(날개셋 입력기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 이 자판에서 Scroll Lock 이나 Caps Lock 은 옛한글이나 특수기호를 입력하는 키이기 때문에 평소에는 꺼져 있어야 좋습니다.
※ 세모이 직결식 자판도 있지만 세모이 직결식 자판은 타자기 겸용 자판으로서 컴퓨터에서 일반적인 업무에 쓸 때에 권장되는 배열은 아닙니다. 하지만, 세모이 자판을 사용하면서 2바이트 게임 문자를 번역하거나 모든 유니코드 옛한글 낱자를 사용하시고자 한다면 직결식 자판으로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http://ssg.wo.tc/memo/220273024902 를 참고해주세요.
2. 제작 사항
391 (최종) 자판에서부터 한 번에 모아치기 적용 작업이 시작되었으나, 391 자판에 엄지 없이 8 손가락만으로 한 번에 모아치기를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기 때문에 글쇠 배열을 꽤 많이 변경하게 되었습니다.
1) 글쇠 수를 줄이고 qwerty 와 기호를 최대한 같게 하였습니다.
두벌식 표준처럼 세벌식 모아치기 2015 자판은 배우기 편리하도록 기존의 세벌식 자판에서 글쇠 수를 줄였습니다. 글쇠 수를 줄여야 모아치기 시 손이 크게 벌어지지 않는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또한 세벌식 모아치기 2015 자판도 특수 기호의 위치를 qwerty와 최대한 같게 하여, ; / 를 제외하면 특수 기호의 위치가 쿼티 자판과 같습니다.
2) 한 손가락만으로도 칠 수 있게 하였습니다.
순아래 자판을 참고하여 일반 시프트 키로 치는 윗글쇠들에는 한글 자모를 없앴습니다. 남는 윗글쇠에는 기호들을 넣었습니다. 중·종성 시프트키는 이어치기 시에 시프트 락 기능(종성 시프트를 한 번 누르면 다른 종성 키가 눌릴 때까지 ㅆ 모양으로 종성 시프트가 고정됩니다.)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이 역시 손가락이 불편하신 분들께서 한 손가락으로 치는 것이 가능합니다. 첨부파일에 있는 '이어치기' 파일을 사용하여 한 손가락으로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이어치기 모드에서 후술할 매크로 기능을 이용하면 한 손가락으로도 편리하게 글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팬입니다.'는 초성'ㅂ' → '초성'ㅎ' → 중성'ㅏ' → 중성'ㅣ' → 종성'ㄴ' → '캡스락' → 』 → 중성'ㅡ' → '캡스락' 으로 입력이 가능합니다. 캡스락을 이용하는 매크로는 』 와 > 키가 가능합니다.
3) 한 번에 모아치기가 가능하게 하였습니다.
안마태 소리글판은 속기 자판이 아닌 일반 키보드로도 '한 번에 모아치기'(한 번에 모아치기, 동시치기)를 이용하여 속기 타이핑을 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한 번에 모아치기'란 것은 '을' 자를 입력 할 때, ㅇ ㅡ ㄹ 세 글쇠를 동시에 눌러서 한 타에 한 글자를 치는 방법으로 속기자판에서 쓰이는 방법입니다. 즉, 이론상 말하는 속도로 칠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합니다.(저도 순간적이지만 1400타가 나오는 것까지 경험해 보았습니다.) 일반적인 세벌식 자판들은 '부분 모아치기'(모아치기 기술을 한 글자에 두 타로 나누어 치도록 부분 적용)가 가능하지만 '한 번에 모아치기'는 불가합니다. 하지만 안마태 소리글판이나 세벌식 모아치기 자판은 '한 번에 모아치기'가 가능합니다.
세벌식 모아치기 2015 자판의 모아치기는 위와 같이 지원됩니다. 글쇠 배열에 없는 글쇠들은 위에서 ㄵ을 ㄴ+ㄹ로 치듯이 갈마들이 낱자 결합 규칙과 종성 시프트 키(종성에만 쓰이는 시프트 키입니다. 종성이 함께 입력되지 않으면 ㅆ으로 나타납니다)를 통해 입력합니다. 중성(모음) 시프트 키는 두 개이기 때문에 v 와 p 중에서 그 때 그 때마다 편하신 키로 골라서 치시면 됩니다. 낱자 결합 규칙 안내는 이 문서에 첨부되어 있습니다. 모아치기 시 글자가 잘 입력이 안 되시는 분은 첨부되어 있는 '모아치기 최적화 방법'을 읽어주세요.
※ 다른 자판들과의 비교 분석
http://cafe.daum.net/3bulsik/6CY8/281 를 참고해주세요.
3. 적용법
세벌식 모아치기 2015 자판에서는 글쇠 배열에 없는 글쇠들을 낱자 결합 규칙을 통해 입력하며, '낱자 결합 규칙 안내'는 이 문서의 첨부파일에 포함되고, http://ssg.wo.tc/220239514856 에도 안내되어 있습니다.
3.1 윈도우즈
http://moogi.new21.org/prg4.html 의 날개셋 한글 입력기를 설치한 후,
(설치 중에 "날개셋 입력기를 기본 입력기로 하시겠습니까" 라는 말이 나올 때에는 '예'를 눌러 주세요.)
그리고 아래 그림처럼 시작 - 제어판 - 키보드 또는 기타 입력방법 변경 - 키보드 변경 에서, 기본 입력 언어에 '<날개셋> 한글 입력기'가 되어 있는지를 확인해 주세요. 그 다음에 설치된 서비스에서 <날개셋> 한글 입력기를 선택하신 다음에 '위로 이동'을 선택하셔서 한국어 키보드 중 가장 위에 있게 해 주세요.
그 후, 설치된 서비스에서 날개셋을 선택하고 속성을 누르시면 <날개셋 제어판>이 뜹니다. 윈도우 8의 경우는 제어판 - 언어 - 옵션 - 입력 방법 추가 - <날개셋 한글 입력기> - 추가를 하신 후, <날개셋 제어판>으로 들어가 주시면 됩니다.
<날개셋 제어판>에서 열기를 누르셔서 첨부된 zip 파일 안의 ist 파일들 중 원하시는 것을 여신 후 확인을 눌러주세요. 그리고 확인을 누르셔서 텍스트 서비스 및 입력 언어에서 완전히 나오신 후, 날개셋을 처음 설치하신 분에 한해서 시스템을 재시작하시면 됩니다. 윈도우즈 8과 10은 날개셋 입력기를 기본값으로 쓸 수가 없습니다. 대신에 두벌식으로 입력이 될 때, Ctrl + Shift 나 Windows 키 + Space 키를 눌러주시면 세벌식으로 변경됩니다.
(한 번에 모아치기 설정값은 '종성→초·중성'으로 두 번에 모아치기도 가능합니다.)
(이어치기 설정값은 '초성→중·종성'으로 두 번에 모아치기가 가능합니다.)
자판에 없는 ㅊ, ㅋ, ㅌ, ㅍ 등의 글쇠는 치는 방법이 따로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이 문서에 첨부된 낱자 결합 규칙 안내 파일이나 안내 글(http://ssg.wo.tc/220239514856)을 참고해 주세요.
옛한글을 쓰시는 분은, <날개셋 제어판>에서 아래의 그림처럼 한글 표현 방식을 들어가신 후에, 내정값에서 유니코드 5.2 (Windows 8)을 선택해 주세요. (사용하시는 Windows의 버전이 8이 아니어도 괜찮습니다.) 혹은 새굴림, 한컴바탕, 한컴돋움 같은 글꼴을 쓰신다면, 한양 PUA 를 쓰시는 것도 좋습니다.
옛한글 적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http://ssg.wo.tc/30189856726 을 참고해주세요.
Windows 메모장 입력 예시
한글 2010 과 같은 아래아 한글 워드에서는 도구 - 글자판 - 글자판 바꾸기 (혹은 Alt + F2) 를 가신 후, 현재 글자판과 제 1 글자판에서 윈도우 입력기를 선택하시고 난 후, 설정을 누르시면 됩니다.
타자 연습은, 날개셋 입력기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http://moogi.new21.org/prg5.html 의 날개셋 타자연습을 설치 후, 타자연습 프로그램을 실행하시고 로그인 하시면 창 아래 왼쪽에 환경설정이 있습니다. 그걸 들어가신 다음에, 입력기 설정 - 입력기 계층에서 0. 세벌식 최종을 선택 - 입력 스키마에서 빈 입력 스키마를 선택하신 후 확인을 누르시면 됩니다.
세벌식 모아치기 2015 자판의 경우, 날개셋 타자연습에서 글쇠 익힘은 불가능하고, 낱말 연습, 문장/글 연습, 게임, 통계만 가능합니다. 글쇠 익힘은 3beol 님의 http://3beol.github.io 에서 하실 수 있습니다.
※ 기본 자세는 다음과 같습니다. 기본 자세가 잘 되어 있지 않으면 고속 타자시 손에 무리가 갈 수 있습니다.
일단 키보드는 g와 h의 사이가 여러분의 가운데가 되도록 위치시켜주세요. 키보드는 모니터 쪽이 아주 약간 위쪽을 향하고 여러분 쪽이 아주 약간 아래로 5~15도 정도 기울어진 형태가 좋습니다.
기본 손 위치는 a s d f 가 왼손(소지~검지), j k l ; 가 오른손(검지~소지)입니다. 손모양은 달걀 하나를 가볍게 쥔 것처럼 한 후, 키보드 높이에서 손가락 하나 정도만큼 위로 손목이 떠 있어야 하며, 손목이 위아래로 흔들리지 않아야 손가락에 부담이 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팔꿈치부터 손등까지 수평이 되어야 좋습니다. 또한 손가락과 손목의 힘을 빼고 타자를 해 주세요. 타자를 치면서 30분마다 조금씩 쉬며 손목, 손가락, 상체를 꾸준히 스트레칭 하는 것과 가볍게 주무르는 것은 피로도를 낮추는 데에 도움이 됩니다. (그 외의 올바른 타자 자세는 피아노를 치는 자세와도 관계가 있으므로 피아노를 치는 자세에 대해 알아보시면 타자를 치는 좋은 자세에 대해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기본적인 자리를 안내해 드리자면, qaz는 왼손 소지, wsx는 약지, ed는 중지, c는 중지나 검지, rfvtgb는 검지, yhnuj는 오른손 검지, m은 검지나 중지, ik는 중지, ol은 약지, p ; ' 는 소지로 치시는 게 원칙입니다. 하지만 모아치기 자판 자체가 예외타법이 있기 때문에, ed를 동시에 쳐야 하는 경우는 e를 약지, d를 중지로 차거나 e를 중지 d를 검지로 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합니다.즉 원칙대로 치기 어려운 경우에는 예외타법을 자유롭게 사용하시는 것이 가능합니다.
초성 ㅁ과 ㅔ는 검지나 중지로 골라서 치실 수 있습니다. 단, 종성ㄱ의 경우 R이나 T와 함께 치실 때에 한해서 엄지로 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또한 ㅗ와 ㅜ는 왼편과 오른편의 것을 그 때 그 때 선택해서 쓰셔도 괜찮지만, ㅘ 와 ㅙ 는 오른편 ㅗ로 입력하시면 더 좋습니다. 이 두 글자는 왼편 ㅗ로 많이 치시면 왼손 중지에 무리가 갈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글쇠 익힘은 3beol 님의 http://3beol.github.io 에서 하실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이어치기 위주로 연습하신 후, 이어치기가 익숙해지면 그 때부터 모아치기를 사용해주세요. 타자 연습이 익숙해진 뒤에는 타자 연습 프로그램으로 연습하는 것 이외에도, 뉴스나 강의를 들으면서 아래아 한글이나 메모장으로 동시에 내용을 똑같이 기록하는 연습을 하시는 것도 좋습니다.
일반 사용자 분들께서는 사용하시는 리눅스 버전에 따라 다음 방법들을 쓰실 수 있습니다. 우분투를 쓰시거나 데비안 패키지 설치가 잘 작동되시는 분들은, 터미널에서 다음을 한 줄씩 순차적으로 입력해주세요.
sudo apt-get remove libhangul-data |
그 다음에 Floor(우덜)님의 https://launchpad.net/~createsc/+archive/ubuntu/3beol/+packages 를 보시면, libhangul 이 있습니다. 데비안(혹은 우분투)의 경우, libhangul을 선택 후 나오는 libhangul-data를 받아서 설치하신 후에, 사용하시는 리눅스에 맞는 libhangul1도 함께 설치해주세요. (64비트 리눅스를 쓰시는 분은 amd64, 32비트 리눅스를 쓰시는 분은 i386입니다.)
그러고나서 https://launchpad.net/~createsc/+archive/ubuntu/3beol/+packages 에서 ibus 한글)을 선택하신 후, 나오는 목록에서 사용하시는 리눅스에 맞는 ibus 한글을 받아서 설치하신 뒤에, 시스템을 재시작하시고 화면 왼쪽 맨 위의 검색 버튼을 누르신 후 명령어 입력에서 'language-selector-genome'을 찾으셔서 '언어 지원'의 키보드 입력기에서 ibus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환경 설정에서 텍스트 ... 설정을 가신 다음에 왼편 아래의 '+' 버튼을 누르시고, English(US) 와 Korean(Hangul) 를 추가해주세요.
그 다음에 오른쪽의 Super+Space 를 Shift+Space 로 변경하신 후 Korean(Hangul)을 고르신 다음에 왼편 아래의 + 버튼의 오른쪽을 주욱 보면 스패너가 있습니다. 거기를 클릭하세요.
그 다음에 한글 자판 오른쪽의 .. 버튼을 누르신 후, '...'을 클릭하시면 세벌식 모아치기 2015 가 표시됩니다. 왼쪽 아래의 '배열' 버튼을 누르시면 설명을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자동글자조합 완료 시간은 작을 수록 '한 번에 모아치기'에 유리해집니다. 저는 왼쪽의 '켜기'에 체크를 한 후, 100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간혹 '한 번에 모아치기'가 잘 안 되는 글자는 빠르게 이어치시면 됩니다.
패키지 설치가 잘 안 되는 리눅스에서는 터미널에서 다음을 한 줄씩 순차적으로 입력하시면 세벌식 모아치기 2015 자판을 적용하실 수 있습니다.
sudo -s apt-get remove libhangul-data apt-get install autopoint autoconf autogen libtool gettext gnome-common glib-2.0 ibus-1.0 gtk+-3.0 git ibus-hangul (ibus-hangul 까지 apt-get install 명령어에 전부 들어갑니다.) git clone git://github.com/3beol/libhangul.git libhangul cd libhangul ./autogen.sh ./configure --prefix=/usr make make install 그 다음엔 https://launchpad.net/~createsc/+archive/ubuntu/3beol/+packages 에서 ibus-hangul_x.x.x-x.x~trusty0120~3beol.tar.xz 를 다운로드 받아 주신 후에 터미널에서 압축 파일을 받으신 폴더로 이동해 주세요. 그 다음에는 sudo -s tar -xlf 압축파일명(예를 들면 ibus-hangul_x.x.x-x.x~trusty0120~3beol.tar.xz) cd ibus-hangul ./autogen.sh ./configure --prefix=/usr make make install
를 입력하시면 libhangul과 ibus-hangul이 설치되며, 다른 리눅스나 맥 OS 역시 나비 입력기 등의 libhangul 기반의 입력기들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단, 3beol 님의 ibus-hangul 가 아니면 한 번에 모아치기가 작동하지 않습니다.) 그 다음에는 환경설정 - 언어설정에서 아래 입력기를 고르는 부분에서 설치된 입력기를 고르신 후, 자판을 적용하시거나 바꾸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컴퓨터를 재시작하기 위해 sudo reboot 를 입력하여 재시작하시면 됩니다. |
언어 설정을 완료하신 후 ibus 설정을 들어가주세요.(리눅스 버전마다 다르지만 키보드 설정 - 한국어 키보드의 세부 설정을 찾아보시면 거기에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그 다음에 한글 자판 오른쪽의 .. 버튼을 누르신 후, '...'을 클릭하시면 세벌식 모아치기 2015 가 표시됩니다. 왼쪽 아래의 '배열' 버튼을 누르시면 설명을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자동글자조합 완료 시간은 작을 수록 '한 번에 모아치기'에 유리해집니다. 저는 왼쪽의 '켜기'에 체크를 한 후, 100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간혹 '한 번에 모아치기'가 잘 안 되는 글자는 빠르게 이어치시면 됩니다.
그 다음에 한글 자판 오른쪽의 .. 버튼을 누르신 후, '...'을 클릭하시면 세벌식 모아치기 2015 가 표시됩니다. 왼쪽 아래의 '배열' 버튼을 누르시면 설명을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자동글자조합 완료 시간은 작을 수록 '한 번에 모아치기'에 유리해집니다. 저는 왼쪽의 '켜기'에 체크를 한 후, 100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간혹 '한 번에 모아치기'가 잘 안 되는 글자는 빠르게 이어치시면 됩니다.
ibus-hangul 설치가 안 되시는 분은 apt-get install nabi 를 통해 나비 입력기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 이 경우는 아직 '한 번에 모아치기'가 지원되지 않고 있습니다.
[참고] 이는 https://github.com/3beol/libhangul 에 있는 Floor 님의 소스를 활용한 것입니다.
타자연습의 경우는 http://tadaktadak.co.kr 에 가시면, 타닥타닥 타자연습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리 연습은 불가하며, 단어·문장 연습은 가능합니다.
※ 기본 자세는 다음과 같습니다. 기본 자세가 잘 되어 있지 않으면 고속 타자시 손에 무리가 갈 수 있습니다.
일단 키보드는 g와 h의 사이가 여러분의 가운데가 되도록 위치시켜주세요. 키보드는 모니터 쪽이 아주 약간 위쪽을 향하고 여러분 쪽이 아주 약간 아래로 5~15도 정도 기울어진 형태가 좋습니다.
기본 손 위치는 a s d f 가 왼손(소지~검지), j k l ; 가 오른손(검지~소지)입니다. 손모양은 달걀 하나를 가볍게 쥔 것처럼 한 후, 키보드 높이에서 손가락 하나 정도만큼 위로 손목이 떠 있어야 하며, 손목이 위아래로 흔들리지 않아야 손가락에 부담이 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팔꿈치부터 손등까지 수평이 되어야 좋습니다. 또한 손가락과 손목의 힘을 빼고 타자를 해 주세요. 타자를 치면서 30분마다 조금씩 쉬며 손목, 손가락, 상체를 꾸준히 스트레칭 하는 것과 가볍게 주무르는 것은 피로도를 낮추는 데에 도움이 됩니다. (그 외의 올바른 타자 자세는 피아노를 치는 자세와도 관계가 있으므로 피아노를 치는 자세에 대해 알아보시면 타자를 치는 좋은 자세에 대해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기본적인 자리를 안내해 드리자면, qaz는 왼손 소지, wsx는 약지, ed는 중지, c는 중지나 검지, rfvtgb는 검지, yhnuj는 오른손 검지, m은 검지나 중지, ik는 중지, ol은 약지, p ; ' 는 소지로 치시는 게 원칙입니다. 하지만 모아치기 자판 자체가 예외타법이 있기 때문에, ed를 동시에 쳐야 하는 경우는 e를 약지, d를 중지로 차거나 e를 중지 d를 검지로 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합니다.즉 원칙대로 치기 어려운 경우에는 예외타법을 자유롭게 사용하시는 것이 가능합니다.
초성 ㅁ과 ㅔ는 검지나 중지로 골라서 치실 수 있습니다. 단, 종성ㄱ의 경우 R이나 T와 함께 치실 때에 한해서 엄지로 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또한 ㅗ와 ㅜ는 왼편과 오른편의 것을 그 때 그 때 선택해서 쓰셔도 괜찮지만, ㅘ 와 ㅙ 는 오른편 ㅗ로 입력하시면 더 좋습니다. 이 두 글자는 왼편 ㅗ로 많이 치시면 왼손 중지에 무리가 갈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글쇠 익힘은 3beol 님의 http://3beol.github.io 에서 하실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이어치기 위주로 연습하신 후, 이어치기가 익숙해지면 그 때부터 한 번에 모아치기를 사용해주세요. 타자 연습이 익숙해진 뒤에는 타자 연습 프로그램으로 연습하는 것 이외에도, 뉴스나 강의를 들으면서 아래아 한글이나 메모장으로 동시에 내용을 똑같이 기록하는 연습을 하시는 것도 좋습니다.
3.2.2 맥 OS 구름입력기 직접 입력
현재 libhangul 계열 맥OS용 입력기인 구름 입력기 비공식 버전에서 세벌식 모아치기 2015 자판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아직 동시치기 기능이 지원되지 않고 있으나, 구름 입력기 제작자님께서 이 기능을 계획하고 있다고 하셨습니다. 공식버전에서는 아직 세벌식 모아치기 2015 자판이 지원되고 있지 않고 있으며 현재 자판 배열 적용 요청을 드린 상황입니다.
https://dl.dropboxusercontent.com/u/53671575/GureumKIM-1.8.9d.zip 로 가시면 우덜(floor) 님과 소인배 님의 작업이 포함된, 숨통 님의 구름 입력기 비공식 버전이 있습니다. 압축을 푸시면 나오는 gureum.app 폴더를 /Library/Input Methods 에 넣고 재부팅하시면 됩니다. /Library/Input Methods 에 들어가지 않는다면 구름 입력기를 종료하시고 재시도해주세요. 재부팅 시 자동 실행이 안 되신다면 터미널에서
/Library/Input\ Methods/Gureum.app/Contents/MacOS/Gureum
을 입력해주세요. 비공식 버전을 만들어주신 숨통 님께 감사드립니다.
현재 libhangul 계열 입력기에서 '한 번에 모아치기' 등의 부가 기능 사용이 쉽지 않아서 간접적으로 외부 입력 프로그램인 '날개셋 입력기'를 리눅스나 맥 OS에서 사용해서 부가 기능을 사용하여 입력하는 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직접적인 부가 기능 사용법을 개발하지 못하여, 이를 설명해 드리지 못하는 점 죄송합니다.) 우분투 기준으로 쓰는 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와인이 동작 되는 OS는 비슷한 방식으로 실행이 가능하리라 생각합니다. 터미널에서 sudo apt-get install wine 을 치시고 엔터를 눌러주세요. EULA 가 나오면 탭 키를 누르셔서 확인에서 엔터를 누르신 후, 동의를 선택해주세요. 맥 OS에서의 와인 설치법은 http://blog.kdongwon.com/2754 를 참고해주세요.
와인이 다 깔리면, moogi.new21.org/ngs_download.htm 로 가셔서 x86이나 x64중 자신의 리눅스에 맞는 걸 찾아서 다운로드 해 주세요. 다운로드 하시고 나면, 우분투의 경우 다운로드 폴더에 날개셋 설치파일이 msi 파일로 있을 것입니다. 그 파일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시고, Wine Windows Program Loader로 열기를 눌러주세요. 그리고 설치 화면에서 설치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혹여나 설치 화면이 뜨지 않으면 작업 관리줄의 와인 아이콘을 클릭해주세요.
설치가 끝나면 이 문서에 첨부된 자판 파일을 받으신 후 압축을 풀어주세요. 한글이 깨져서 나오시는 분은, www.bandisoft.co.kr/bandizip/help/wine을 통해 반디집을 설치하신 후 반디집으로 압축을 풀어 주세요. 이제 바탕화면에 오시면 날개셋 편집기가 있습니다. 그걸 여신 후, F8을 누르시면 날개셋 제어판이 뜹니다. 그 뒤는 위에 서술된 윈도우 적용법을 날개셋 제어판 부분부터 따라하시면 됩니다. 이 입력기를 사용하면 세벌식 모아치기 2015 자판 뿐만 아니라 현재 날개셋에서는 지원하지만 리눅스에서 지원하지 않는 모든 자판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록 한글을 외부 입력기로 입력한 후 쓴 글을 복사 붙여넣기로 다른 창으로 옮겨야 된다는 단점이 있지만, 날개셋 입력기를 활용하는 만큼 이 자판의 모든 기능이 지원됩니다.
우분투에서 날개셋 편집기를 사용하는 화면입니다.
보기 - 편집화면 설정에서 글꼴을 바꾸실 수 있습니다.
몇몇 OS에서는 날개셋 타자연습도 와인을 통해 구동 가능하다는 얘기가 있습니다. 적용법은 와인을 사용하시면서 위에 쓰여 있는 윈도우즈의 타자연습 적용법을 따라하시면 됩니다. 와인 자체가 안 되시는 분은 crossover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하실 수도 있습니다.
안드로이드(스마트폰)의 경우는 http://ssg.wo.tc/30165768945 를 참고해주세요. 이 경우 직결식 자판 이어치기로만 입력이 가능합니다.
다른 운영체제를 쓰시거나, 윈도우에서 날개셋을 설치하실 수 없는 경우는, http://seiryeon.dothome.co.kr/old 에 보시면 OHI 를 이용한 간접 입력기가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현대한글 기본 이어치기가 지원됩니다. 이 OHI 프로그램은 Alee 님께서 만드신 것( http://kldp.org/node/71983 )을 팥알 님께서 수정하셨고 ( http://pat.im/910 ), 팥알 님께서 수정하신 프로그램을 다시 가져와서 수정한 것입니다.
그리고 팥알 님의 온라인 한글 입력기 http://ohi.pat.im/?k3=3m-Moa2015 와 Floor 님께서 개발하신 온라인 한글 입력기 http://3beol.github.io , 그리고 세련 온라인 입력기 http://seiryeon.com.ne.kr 에서 한 번에 모아치기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OHI(온라인 한글 입력기)는 운영체제의 키보드 설정이 Qwerty 자판으로 되어 있을 때 정상 작동됩니다.
스티커 견본인 하양-QWERTY 스티커입니다. 이외에도 검정색 스티커와 Dvorak, Colemak 스티커가 있습니다.
4. 매크로 (약어)
매크로는 자주 쓰는 단어를 단 두 타로 입력할 수 있게 해 줍니다. 그래서 손을 덜 피로하게 하고, 더욱 더 빠르게 글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습니다.'는 』를 치고 바로 · 를 입력하면 나옵니다. 기본 매크로에는 국립국어원에서 조사한 빈출단어들에 대한 낱자 결합 규칙이 있습니다. 이에 대한 안내는 첨부 파일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혹은 』가 아닌 '>'키와 조합하여 사용자 정의 매크로 구성(상용구 등록)을 할 수도 있습니다. 시작 - 제어판 - 키보드 또는 기타 입력방법 변경 - 키보드 변경 - 설치된 서비스의 날개셋을 선택하고 속성을 누르신 후,
날개셋 제어판이 뜨면, 세벌식 모아치기 2014 아래의 사용자 정의 조합으로 가셔서 상태에서 2를 선택하신 후, 추가를 클릭하시면 작은 창이 뜹니다. 거기서 글쇠에는 조합하고자 하는 키를 치시고,(자판에 있는 특수문자로 해 주세요.) 새 상태에는 0을, 완성 문자열에는 나타났으면 하는 글자를 입력해 주세요(긴 문장이나 특수문자도 가능합니다. 특수문자로 하신 경우에는 특수문자 확장안처럼 쓰실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확인 - 확인 - 확인을 누르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서 >※를 치면 '대한민국'이 나타나게 하고 싶으시다면,
위와 같이 입력하신 후, 확인 - 확인 - 확인을 누르시면 됩니다. 이렇게 하고 나면, >를 치고 ※를 쳤을 때 '대한민국'이 나오게 됩니다.
그 외에도 날개셋 입력기 한정으로 Shift + 한자키로 입력하는 매크로가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의 '매크로 설명'을 참고해주세요.
5. 기타
키를 치는데 자꾸 숫자열에서 숫자가 안 나온다면 캡스락이 켜져 있는지 확인해주세요. 캡스락이 켜져 있으면 숫자가 나오지 않습니다.
이 자판은 스페이스만 엄지로 치는 것이 원칙으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예외적으로 종성 ㄱ을 r 이나 t 와 함께 치실 때에는 엄지로 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오른편의 ㅗ와 ㅜ는 이중모음과 모음시프트에 쓰이는 것이지만, 왼쪽의 ㅗ, ㅜ가 조합에 편한 글자는 왼쪽 ㅗ, ㅜ를 모음시프트와 이중모음에 쓰셔도 괜찮습니다. 단, ㅘ · ㅙ 는 오른편 ㅗ로 치시면 더 좋습니다. ㅘ · ㅙ 를 왼쪽 ㅗ로 많이 치시면 왼손 중지에 무리가 갈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단, 예외적으로 '쐈'은 ㅗ를 왼손으로 치셔야 손이 꼬이지 않습니다.)
'한 번에 모아치기' 시에는 잠깐 잠깐 예외적으로 손 모양을 바꾸는 방법이 더 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길', '일' 을 치는 경우, ㅣ는 왼손 검지, ㄹ은 왼손 중지로 치시면 편하고, '몫'의 경우는 ㅗ를 오른손 소지로 치시면 편하게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뭐'도 ㅁ을 오른손 검지, ㅜ를 왼손 검지로 치시면 편합니다. 이렇듯 편안한 자세를 찾아서 치시면 더욱 좋습니다.
간혹 키보드의 종류에 따라 고스트키(3개 이상의 키가 잘 안 눌리는 현상)가 발생하여 '한 번에 모아치기'가 안 되는 글자가 나올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중성, 종성을 함께 치거나 중성·종성을 이어친 후, 초성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도무지 3개 이상의 키가 동시에 인식이 안 되어서 불편하시다면 '한 번에 모아치기'가 잘 되는 저가 키보드를 알아보시면 됩니다. 저는 로이체 MK-1007 같은 저가 키보드를 사용했고 어느 정도는 '한 번에 모아치기'가 잘 되었었습니다. 현재는 무한동시입력 키보드(혹은 모아치기 키보드)인 스카이디지털 nkeyboard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경우 요즘 싼 건 2만원대입니다.
이 게시판의 글들에서 사용된 Patorjk 분석 프로그램은 http://patorjk.com/keyboard-layout-analyzer/ 제공이며, 통계의 분석 표본은 다 같으나 작업 중 약간의 실수가 있을 수 있습니다. 표본은 뉴스기사의 일부와 대한민국헌법전문, 인터넷 커뮤니티의 추천 수가 많은 글 목록입니다. 뉴스는 다음의 것들을 부분 인용했습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oid=449&aid=0000011369
http://news.naver.com/main/read.nhn?&oid=214&aid=0000354310
http://news.naver.com/main/read.nhn?&oid=055&aid=0000273642
http://news.naver.com/main/read.nhn?&oid=214&aid=0000364442
http://news.naver.com/main/read.nhn?&oid=055&aid=0000275489
http://news.naver.com/main/read.nhn?&oid=214&aid=0000360717
http://news.naver.com/main/read.nhn?&oid=001&aid=0006816401
http://news.naver.com/main/read.nhn?&oid=001&aid=0006826850
http://news.naver.com/main/read.nhn?&oid=096&aid=0000298382
세벌식 모아치기 2015 자판은 위에서 소개해 드린 안드로이드 멀티링 키보드 배열로 할 경우 과거 기계식 타자기 겸용 직결식 자판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글쇠 수가 적어져 모바일에서도 치기 편해졌습니다.) 그러나 타자기에서 사용시 겹받침의 자형이 예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겹받침이 모두 들어간 직결식 입력을 원하시는 분들은 세벌식 3-2011 직결식 자판을 참고해주세요.
그리고, 본 배열에 개선이 필요하다 싶은 분은 말씀주세요. 버그를 발견하신 경우에도 제보해주세요. 공병우 박사님, 안마태 신부님, 김경석 교수님, 김국 교수님, 안종혁 님, 신광조 님, 김용묵 님, 팥알 님, 라온누리 님, 바다야크 님, 소인배 님의 연구 결과나 의견을 통합하였습니다. 특히 많이 도와주신 김용묵 님과 팥알 님, 우덜(floor) 님, 소인배 님, YouKnowOne 님, 숨통 님, Cookcity 님, fetrantium 님께 감사드립니다.
p.s. 마침 한글문화원에서 314 라는 이름으로 다른 자판을 공개했습니다. 이름이 겹쳤기 때문에 이 쪽 자판의 이름을 '세벌식 모아치기 자판'으로 하여 한글문화원을 방해하지 않고자 합니다. ('모아치기 자판'이라는 이름은 안마태 소리글판이나 속기자판을 모두 포함하는 이름이므로 '세벌식 모아치기'라는 이름을 애용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p.s.2 종성 시프트 개념은 구름 입력기 제작자이신 YouKnowOne 님께서 먼저 사용하신 개념입니다. 또한 Capslock 을 통해서 옛한글 ↔ 현대한글 입력을 고르는 것은 팥알 님께서 제안하셨습니다.
p.s.3 세벌식 모아치기 2015 자판은 오타가 적고, 무한동시입력키보드(N-Keyboard)가 꼭 필요한 것도 아니며, 손목이나 엄지손가락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도 줄인, 익히기 쉬운 자판입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http://ssg.wo.tc/memo/220314970964 를 참고하세요.
p.s.4 이어치기 시에 종성시프트를 가장 마지막에 치시면 리듬감을 느끼며 치실 수 있습니다. 또한 초성체의 경우는 ㅎㅇ를 입력하고 싶으신 경우, ㅎ을 치시고 Esc·캡스락·넘버락·스크롤락 중의 하나를 누르시면 조합이 풀립니다. 그 때 ㅇ 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p.s.5 이 자판과 이 문서는 공공성을 위해 제작자가 표시된 몇몇 배열도를 제외하고 저작권과 특허가 없습니다. 즉, 공유 및 이용과 재창작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다른 분이 이 자판의 제작자를 사칭하거나 변형 자판의 특허를 내는 것을 불허합니다. 그리고 원칙은 아니지만, 다른 곳에 소개시 http://ssg.wo.tc 를 함께 표시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관련글들
|
첫댓글 이걸로 천타이상 나온다면 좋겠습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oid=008&aid=0000270656 에도 소개되었듯이 모아치기 자판들 자체가 입력 속도를 높이는 데에 주안점을 둔 자판들입니다. 속기자판과 원리가 거의 같기 때문에 기존의 두벌식이 700타가 나오신다면 모아치기 자판에서는 50% 향상된 1050타를 치실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