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 아뻐니 개몬 아젠
감사합니다 → 던너바드
나 → 아미
너 → 아뻐니(존대말), 뚜미(동기), 뛰(애들)
안녕하세요 → 뛰 개몬 아치스 OR 뚜미 개몬 아초
그 → 세, 뛰니(존대)
안녕하세요 → 세 개몬 아체 OR 뛰니 개몬 아체
나는 너를 상한다 → 아미 아뻐니께 발로바시 OR 아미 또께 발로바시
배고프다 → 끼다 베에체
목이 마르다 → 아마께 졸 다오
밥 주세요 → 아마께 바뜨 다오
얼마에요 → 담 꺼또
이것은 값이 얼마에요 → 에르 담 꺼또
값이 비싸다 → 담 베시
값이 싸다 → 담 검
깎아 주세요 → 담 엑두 꺼마우
안녕하십니까 → 너머스까르(뱅갈어) OR 너머스떼(힌두어)
어디에서 왔어요 → 꼬타 테께 에세첸
우리는 한국에서 왔어 → 아므라 꼬리아 테께 에세치
한국은 어떤 나라에요 → 꼬리아 깨몬 데스
한국은 많이 아름다운 나라에요 → 코리아 쿱 순더르 데스
한국은 덥지 않아요 → 꼬리아 거름 너미
한국은 시원한 나라에요 → 꼬리아 탄다 데쉬
한국은 시원하고 아름다운 나라에요 → 고리아 탄다 오 순더 데스
한국은 무엇때문에 유명한가 → 꼬리아 끼세르 전너 밋카또
한국은 아시안 월드컵 축구에 나갔어요 → 고리아 에시아 테께 WORLDCUP FOOD BALL에
기에리체
한국엔 산이 많아요 → 꼬리아 빠하르 어넉
한국인은 열심히 일해요 → 꼬리아 로께라 굽 뽀릿서르미
그래서 한국은 많이 발전했어요 → 따이 꼬리아 어넥 운너더 고레체
왜 왔어요 → 께노 에세첸
실전 힌디
<인사>
나마스떼 : 안녕하세요
압까 남 꺄 헤? : 당신의 이름이 무엇입니까?
메라 남 000 헤 : 제 이름은 000입니다.
※ 인도인들은 우리의 이름을 제대로 발음 못하므로 그냥 미스터 김, 미스 박 정도로 해 주면 된다.
께세 헤? : 당신 어때요? (영어의 how are you? 에 해당)
틱 헤 : 좋아요.
바스, 짤 라하 헤 : 그저 그래요.
틱 네히 헤 : 좋지 않아요.
압 까하 세 아에 헤? : 당신 어디서 왔습니까?
메 코리아 세 아라하 훙 : 저는 한국에서 왔어요.
압 힌디 볼따 헤? : 당신 힌디를 말할 줄 압니까?
메 힌디 토라 볼 사크따 훙 : 저는 힌디를 조금 말할 줄 압니다.
압까 우머르 꺄 헤? : 당신은 몇 살이죠?
메 아타이스 살 훙 : 저는 스물여덟살입니다.
※ 똑같은 질문을 상대방에게 하려면, 대답 뒤에 '압까'만 붙이면 된다.
ex) 메 아타이스 살 훙, 압까? : 저는 스물여덟입니다. 당신은요?
아비 기뜨나 바제 헤? : 지금 몇 시죠?
아비 바라바제 빤드라 minute 헤 : 지금 열 두시 십오분 입니다.
[차례로 가기]
함꼬 나마스떼 호텔메 자나 헤. : 우리는 나마스떼 호텔에 가야한다.
(릭샤꾼에게) 나마스떼 호텔메 자이가? : 나마스떼 호텔에 갑니까?
하, 자잉게 / 짤렝게 : 예, 갑니다.
우타르 네히 자나 헤 : 거기 안 갑니다.
기뜨나 사와리 헤? : 몇 명이죠?
함 짜르 사와리 헤 : 우리는 네 명입니다.
기뜨나 레나 헤? : (요금이) 얼마죠?
빠찌스 루삐야 : 25루피입니다.
네히, 네히. 보훗 쟈다 헤. : 너무 많아요(비싸요).
압꼬 기뜨나 데나 헤? : 당신은 얼마 낼 겁니까?
빤드라 루삐야메 자나 헤? : 15루삐에 갈 겁니까?
- 빤드라 루삐야 짤레가?/ 빤드라 루삐야 티케? 모두 같은 의미.
빤찌 루삐야 아오르 데 도 : 5루피만 더 주세요.
아레, 바이 / 아레 야이 짤로 짤로... : (어깨를 툭툭 두드리며) 그래그래, 알았어 친구, 가자.
[차례로 가기]
메 파하르간즈메 자나 헤 : 저는 파하르간즈로 가야합니다.
이타르세 꼰사 넘버 버스 파하르간즈메 자이가? : 여기서 몇 번 버스가 파하르간즈로 가죠?
빤소 빤찌 넘버 버스 : 505번 버스입니다.
압꼬 말름 헤 Bus charge? : 버스비가 얼만지 아세요?
빤찌, 체 루삐야 : 5-6 루피예요.
아차, 단니왓 : 아, 예. 감사합니다.
야하세 나마스떼 lodge 기뜨나 두르헤? : 여기서 나마스떼 롯지가 얼마나 멀죠?
[차례로 가기]
한지, 야하 Menu Board 디지에 : 여보세요, 여기 메뉴판 주세요.
꼰 왈라 짜이에? : 어떤 걸 원하세요?
도 탈리 엑 미네랄 바니 디지에 : 탈리 두 개랑 미네랄워터 한 개 주세요.
한지, 야하 탄다바니 디지에 : 여보세요, 여기 찬물 좀 주세요.
예 보훗 아차 가나 헤 : 이거 상당히 맛있네요.
빌 데 디지에 : 계산서 주세요.
뿌라 기뜨나 패이샤 헤? : 전부 얼마죠?
뿌라 엑소 뻬딸리스 루삐야 : 전부 145루피입니다.
[차례로 가기]
바이, 예 껠라 엑 더즌(dozen) 기뜨나 루삐야? : 이봐요, 이거 바나나 1다스에 얼마죠?
빤드라 루삐야 : 15루피입니다.
보훗 멩가 헤. 깜 끼지에 : 너무 비싸요. 깎아 주세요.
기뜨나 데나 헤? : 얼마 줄겁니까? (얼마면 사겠어요?)
기뜨나 레나 헤? : 얼마나 원하죠?
틱 헤, 바라 루삐야 메라 last price 헤 : 좋아요. 12루삐까지 해 줄께요.
틱 헤, 아다 디지에 : 좋아요 반만 주세요.
여행 힌디
미리 말씀 드리는데요. 힌디는 우리 말과는 발음이 많이 달라요. 따라서 힌디를 한글로 표현 하는데는 한계가 있어요. 여기서는 아직 '힌디배우기'가 진도를 나가지 못했으나 힌디를 요청하신 분이 계셔서 무거운 마음으로 글을 작성해요. 솔직히 한글로 인도 발음을 배워가지고 인도에서 어느 정도의 효과를 볼지는 저도 장담할 수 없거든요. 어쨌든 인도 여행 시 필요한 힌디를 몇가지 알려드리죠. 참고로 힌디의 어순은 우리 말과 유사해요.
나마스떼 : 안녕하세요. 이건 많이들 아시죠? 인도에서 스님들 합장 할 때 처럼 두손을 모으고 '나마스떼' 라고 인사 합니다.
나마스까르 : 이건 공손한 인사말이죠. 자기보다 높은 사람에게 사용합니다.
앞 께쎄 행? or 뚬 께싸 호? or 뚬 께씨 호? : 잘 지내 셨어요? 영어의 How are you?에 해당 하죠. 앞의 것은 존대말이구요. 중간의 것은 친구나 비슷한 사람에게 쓰는 말이죠. 뒤엣건 비슷한 상대이나 여성인 경우.
아차 해 : 좋아요. '아차'는 좋다, OK 등의 뜻으로 사용.
피르 밀렝게 : 또 보죠.
단냐와드 : 감사합니다.
마프 끼지에 : 실례합니다.
무제 앞쏘스 해 : 죄송합니다.
지 항 : 예. 여기서 지는 공손의 의미. 항은 예라는 뜻. '항'이라고만도 할 수는 있으나 예의에 어긋나죠.
지 네힝 : 아니오.
에끄 : 1, 도 : 2, 띤 : 3, 짜르 : 4, 빵쯔 : 5, 채 : 6, 사뜨 : 7, 아트 : 8, 노 : 9, 다스 : 10
참고로 인도의 숫자는 1부터 100까지 다 외워야 해요. 장난이 아니죠? 그러니 10까지만 외우고 영어를 사용하세요.
이스까 남 꺄 해? : 이것의 이름은 무엇이죠? 남은 이름이에요. 외우기 힘들면 '남 꺄 해?' 라고 하시면 돼요.
이스까 담 끼뜨나 해? : 이것의 가격은 얼마에요? 담은 가격이죠. 역시 '담 끼뜨나 해?' 라구 하셔도.
메행가 해 : 비싸요. ↔싸스따 해 : 싸요
깜 끼지에 or 깜 까로: 깎아주세요. 앞엣건 존대말이에요.
디지에 or 데 도 : 주세요. 역시 앞에 것은 존대말. (달라는 물건을 앞에 붙여 쓰시면 돼요.)
무제 XXX 짜히에 : XXX가 필요해요(를 원해요).
암 : 망고, 껠라 (껠레) : 바나나 (괄호는 복수), 쎄브 : 사과
이스까 빌 디지에 : 계산서 주세요.(얼마죠?)
카이에 : 드세요.
삐지에 : 마시세요.
바스 : 그만. 거기까지. 이말은 여러 용도로 쓸 수 있어요.
짜이 : 차, 달 : 콩(콩으로 만든 카레를 의미하기도), 머뜬 : 양고기, 나마끄 : 소금, 찌니 : 설탕, 빠니 : 물, 샤랍 : 술 (근데 술파는 식당은 비쌀껄요. 현지인들이 오는식당은 술은 취급 안해요.), 고비 : 양배추, 알루 : 감자, 안다 : 계란, 고기 : 망스
꺄 뚬 딜리 잔따 호? : 딜리(델리) 알아요? 이것도 '딜리 잔따 호?'로 줄여 쓸 수 있어요.
짤로 : 가요(가자).
두르 해? : 멀어요?
바잉 따라프 : 왼쪽으로
다히니 따라프 : 오른쪽으로
메 잔따 훙 or 메 잔띠 훙 : 알겠어요. 뒤엣건 여성이 사용.
티끄 해 : 맞아요.허락의 뜻으로도 쓰여요. 이 때 고개를 옆으로 기울여 주면 더 좋죠. 현지인은 띠끄 해라고 하지 않고 고개만 기웃하는 경우가 더 많죠.
꺄 앞 메리 마다뜨 까르 싸끄따 행? : 도와 주실수 있어요? 어렵죠? 그래도 외워 두시는게.....
끼뜨네 바제 행 : 몇시죠?
말룸 네힝 해 : 모르겠어요.
인뜨자르 끼지에, 인뜨자르 까로 : 기다려 주세요. 앞에 것은 존대말.
메 꼬리야이 훙 : 나는 한국인 입니다.
메라 남 XXX 해 : 나의 이름은 XXX입니다.
메 비스 쌀 까 해 : 나는 20살 입니다. 비스는 20이에요.
네힝 짜히에 : 필요없어요.
꺄? : 무엇?, 꾱? : 왜?, 끼뜨나(끼뜨니)? :얼마나?, 꼰? : 누구?, 깝? : 언제?, 까항? : 어디?, 께싸(께씨,께쎄)? : 어떻게?
가. 죄
1단계 - 인사하기 |
|
첫댓글 수고하셨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