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화락(和樂)
 
 
 
카페 게시글
정보나눔 스크랩 여자 한복 입는 방법 : 직선과 곡선의 우아한 조화가 아름다운 우리옷
유정맘 추천 0 조회 44 06.07.31 14:41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아무리 디자인과 바느질을 잘하여도 제대로 갖춰입지 않으면 좋은 의복 분위기를 낼 수 없는 것이 한복이다. 한복 입기는 반 바느질이라고 할만큼 중요한데 한복을 제대로 입으려면 때와 장소, 옷의 형태를 고려해야 한다. 직선과 곡선이 조화를 이루어 아름다운 실루엣을 표현하는 한복의 바르게 입는 방법을 알아본다.

한복의 평상복으로는 치마와 저고리를 입으며, 여름에는 깨끼저고리, 적삼을 입고 겨울에는 솜저고리, 누비저고리를 입는다. 치마는 예복으로 스란치마를 입고 활동복으로는 통치마를 입는다. 겨울에는 방한용으로 배자나 마고자, 두루마기 등을 겉옷으로 입는다

특별한 날이나 명절, 또는 결혼하고 나서 신행길에 입어야 하는 한복은 속옷부터 제대로 갖춰서 어른들의 눈살을 찌푸리지 않도록 해야한다. 치마 안에는 속바지나 속치마를 입고 불편하더라도 양말이나 스타킹 대신 버선을 신는 것이 좋다. 또, 지나치게 부풀린 패티코트보다는 얌전하고 편한 속치마를 입고 브레지어는 빼는 것이 좋다.

속바지는 속치마보다, 속치마는 겉치마보다 3∼4㎝ 짧게 입고 저고리는 동정끝을 잘 맞춘다음 고름을 맨다. 고름을 매는 것은 무조건 어른들에게 맡기지 말고 스스로 맬 수 있도록 그 방법을 알아두도록 한다. 두루마기는 외출용 예복이므로 실내에서는 벗어두고, 치마저고리 위에 코트를 입거나, 고무신 대신 하이힐을 신는 것은 피하도록 한다.

한복을 입을 때는 목걸이나 팔지, 귀걸이 등 요란한 장식은 피하되 전통적인 분위기와 매치할 수 있는 가락지나, 뒤꽂이, 노리개 등을 코디하면 단아하면서 우아한 멋을 낼 수 있다.
 
1. 짧은 고름은 위로, 긴 고름으니 아래로 교차시킨 후 짧은 고름을 안쪽으로 돌려 삼각형의 고리를 만든다.
2. 긴 고름으로 고를 만들고 짧은 고름으로 고를 두른다.
3. 고를 둘러서 묶어 바깥으로 뺀다.
4. 고름의 아래위를 팽팽히 잡아당겨 3~5cm 차이를 두고 적당히 매지도록 조절한다.
5. 고름을 바르게 정돈하고 안쪽에 핀으로 살짝 교정하는것도 좋다.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