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상7:27
안도현의 "연탄재 함부로 차지 마라. 너는 누구에게 한번이라도 뜨거운 사람이었느냐" 를 패러디하며 이렇게 묻고 싶어요. '한낱 받침대라고 무시 하지 마라, 너는 한 번이라도 하나님께 쓰임 받은 적 있느냐'고 물두멍 이동을 위한 받침대의 제작 과정을 세심히 전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Ahn Do-hyun's "Don't kick coal ash carelessly." I want to ask you this, parodying who were you once a hot person. "Don't ignore it as just a pedestal, have you ever been used by God?" What is the reason for carefully conveying the process of making a pedestal for moving the water drum? - '바다이야기’라는 사행성 성인 오락게임이 있습니다. 성경에도 바다 이야기가 나옵니다. 성경에 나오는 '바다'는 거대한 놋대야를 말하는데. 이스라엘에서는 물이 귀해 많은 물을 보면 바다라고 해서 부쳐진 이름이라고 합니다. '갈릴리’ 호수를 바다라고 하는 것도 그 때문입니다. There is a gambling adult entertainment game called 'The Story of the Sea.' The Bible tells the story of the sea. The sea in the Bible refers to a huge yellow-tipped field. In Israel, water is precious, so if you look at a lot of water, it is said to be the name of the sea. ‘That's why Lake Galilee is called the sea. - 어제 바다를 만들었는데 그것은 거대한 놋으로 만든 물탱크로 겉모습은 대야 형태입니다. 다음은 10개의 물두멍을 만들었는데 이동용으로 수레바퀴가 있었습니다. 기타 놋으로 된 기구들과 금단과 금상 등 금 기구들을 만들었습니다. 바다의 직경은 10 규빗(4.5m), 높이는 5 규빗(2.25m), 둘레는 30 규빗(13.5m으로 원형의 형태로 청동으로 주조되었습니다. I made an ocean yesterday and it's a huge brass water tank that looks like a basin. Next, I made 10 water holes, and there were wheels for transportation. I made other brass instruments and gold instruments such as gold and gold. The sea is 10 kyubits (4.5 m) in diameter, 5 kyubits (2.25 m) in height, and 30 kyubits (13.5 m) in circular form cast in bronze. - 그 가장자리 아래에는 박이 규빗 당 10개씩 두 줄로 돌아가며 제작 되었습니다 ‘박’은 원래 호리 병 박같은 것으로, 근동지방에서 무더위를 피할 수 있도록 그늘을 제공해 주는 큰 잎을 갖고 있는 식물입니다. 여기서는 바가지 모양을 한 것입니다. Below the edges, 10 gourds per cubit are made in two rows "Bak" is originally like a gourd, and is a plant with large leaves that provide shade to avoid the heat in the Near East. It's a rip-off here. - 바다의 담수 량은 2,000 밧 입니다. ‘밧’은 액체의 용량을 재는 단위로 1‘밧’은 약 22 L 입니다. 따라서 바다는 44,000 L의 물을 담을 수 있는 것입니다. 즉, 2L 자리 생수병 물을 22,000개 모은 양입니다. 농촌 마을의 물탱크가 적은 것은 약 100톤 이니 그것의 약 절반 사이즈라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The amount of fresh water in the sea is 2,000 baht. 'Bat' is a measure of liquid capacity, and 'Bat' is about 22 L. Therefore, it can hold 44,000 liters of water. In other words, 22,000 2L bottles of water are collected. The small water tank in the rural village is about 100 tons, so it can be considered about half the size of it. - 물두멍을 싣고 옮길 수 있는 받침수레는 10개 제작 되었는데 각 수레는 놋 바퀴가 4개씩 있었습니다. 상자 모양의 수레는 바퀴 외에 네 귀퉁이에 발(어깨)이 있었다는 점이 특이합니다. 그것은 필요에 따라 바퀴를 이용하여 이동도 할 수 있었고, 이동이 필요 없을 경우에는 발을 내려 고정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Ten support carts were made to carry water holes, and each cart had four brass wheels. In addition to the wheels, the cart is unique in that it had feet (shoulders) on four corners. It could also be moved using wheels as needed, and it is presumed that the foot was lowered and fixed when no movement was required. - 호텔에서 사용하는 이동식 와인 테이블을 생각하면 됩니다. 물두멍의 담수 량은 40 밧 (880 L)입니다. 과수원 농약 통이 500 L 이므로 물두멍의 청동 무게를 합치면 약 1톤이 넘는 무게를 수레로 실어 나른 것입니다. 희생 제물을 씻는데 사용되었던 물두멍 5개는 성전 우측에, 나머지 5개는 좌측에 두었습니다. Just think of the portable wine table used in the hotel. The amount of fresh water in the water hole is 40 baht (880 L). Since the orchard's pesticide container is 500 L, the combined bronze weight of the water head is more than a ton of weight carried by cart. Five water holes that were used to wash the sacrifice were placed on the right side of the temple and the other five on the left side. - 정교하게 언급된 받침대의 모양과 장식을 그대로 재현하는 일은 쉽지 않습니다. 다만 그룹과 종려나무와 꽃 장식은 성전의 원형인 에덴동산과 광야의 성막을 연상시키며 바다나 물두멍에 담은 물 역시 에덴동산에서 근원을 이루어 사방으로 흘러가던 물과 성전 문지방에서 물이 흘러 온 땅을 소성케 할 생명수가 되는 에스겔의 환상을 생각 나게 합니다. It is not easy to reproduce the shape and decoration of the finely mentioned pedestal. However, the group, palm trees, and flower decorations remind us of the original Garden of Eden and the tabernacle of the wilderness, and the water in the sea and water holes also comes from the Garden of Eden and reminds us of Ezekiel's fantasy - 유대인들은 정결 예식을 매우 중요하게 여깁니다. 하나님께 나아가기 위해서는 머리부터 발끝까지 깨끗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예배자만 그런 것이 아니고 제물도 마찬가지입니다. 하나님이 받을 것이므로 깨끗하게 드려야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드릴 짐승은 점도 없고 흠도 없어야 합니다. The Jewish people consider cleansing very important. Because you have to be clean from head to toe to go to God. It's not just worshipers, it's also offerings. God will receive it, so it must be given cleanly. So the drill beast must be spotless and flawless. - 본문의 바다와 10개의 몰두명의 용도도 모두 다 물로 깨끗하게 하는데 쓰임 받은 기구들 입니다. 돈과 시간과 정성을 들여 그렇게 만든 것은 오직 하나님께 정결한 마음과 몸으로 예배 드려야 하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은 정결한 것을 매우 좋아 하십니다 더러운 것을 좋아할 존재는 없지만 특별히 하나님은 깨끗한 한 것을 매우 중히 여기십니다. The sea in the text and the use of the ten inscriptions are all instruments used to clean with water. The reason why he made it with money, time, and sincerity is because he must worship God with a clean heart and body. God loves to be clean There is no existence that likes dirty things, but God especially values clean things. - 거룩한 분이시기 때문입니다. 그분은 말과 행동이 다른 것이 하나도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결은 외부보다는 내부의 정결인 것 같습니다. 흔히들 건전한 육체에 건전한 정신이 든다고 합니다. 틀린 말은 아닐 것 입니다. 그러나 우선권의 문제로 본다면 정신이 먼저 일 것입니다. Because he is a holy man. It's because his words and actions are nothing different. Therefore, cleanliness seems to be internal cleanliness rather than externality. It is often said that a sound body has a sound mind. It wouldn't be wrong. But if you look at it as a matter of priority, the mind will come first. - 육체적 순결을 유지하는 것도 좋지만 영적 순결을 유지하는 것이 더 중요 하다고 봅니다. 모든 조건이 다 좋아 보여도 비 그리스도인과 결혼하는 것은 재고해 보아야 할 것입니다. 결혼 후 영적 성장보다는 퇴보할 확률이 높고, 우리 몸은 경건보다는 세상 즐거움을 선호 하기 때문입니다. It's good to maintain physical purity, but I think it's more important to maintain spiritual purity. Marrying a non-Christian would have to be reconsidered, even if all the conditions seemed good. This is because we are more likely to regress than spiritual growth after marriage, and our bodies prefer world pleasure to piety. - 날씨가 맑은 밤하늘에는 많은 별들이 나옵니다. 그 중에 독보적인 별은 당연히 북두칠성일 것입니다. 언제 어디서나 볼 수 있고, 유난히 맑고 빛나기 때문입니다. 그런 아름다운 별들로 살고 싶습니다. 나는 거룩하고 순결한가? There are many stars in the clear night sky. Of course, the unrivaled star is the Big Dipper. Because it can be seen anytime, anywhere, and it is exceptionally clear and shiny. I want to live with such beautiful stars. Am I holy and pure? - 받침 수레에 대한 설명(27-37) 물두멍에 대한 설명(38-39) - 또 놋으로 받침 수레 열을 만들었으니(27a) 매 받침 수레의 길이가 네 규빗이요(27b) 너비가 네 규빗이요(27c) 높이가 세 규빗이라(27d) - 그 받침 수레의 구조는 이러하니(28a) 사면 옆 가장자리 가운데에는 판이 있고(28b) 가장자리 가운데판에는(29a) 사자와 소와 그룹들이 있고(29b) - 또 가장자리 위에는(29c) 놓는 자리가 있고(29d) 사자와 소 아래에는(29e) 화환 모양이 있으며(29f) - 그 받침 수레에(30a) 각각 네 놋 바퀴와 놋 축이 있고(30b) 받침 수레 네 발밑에는(30c) 어깨 같은 것이 있으며(30d) - 그 어깨 같은 것은 물두멍 아래쪽에 부어 만들었고(30e) 화환은 각각 그 옆에 있으며(30f) 그 받침 수레 위로 들이켜(31a) 높이가 한 규빗 되게 내민 것이 있고(31b) - 그 면은 직경 한 규빗 반 되게 반원형으로 우묵하며(31c) 그 나머지 면에는 아로새긴 것이 있으며(31d) 그 내민 판들은 네모지고 둥글지 아니하며(31e) 네 바퀴는 옆판 밑에 있고(32a) - 바퀴 축은 받침 수레에 연결되었는데(32b) 바퀴의 높이는 각각 한 규빗 반이며(32c) 그 바퀴의 구조는(33a) 병거 바퀴의 구조 같은데(33b) - 그 축과 테와 살과 통이 다 부어 만든 것이며(33c) 받침 수레 네 모퉁이에(34a) 어깨 같은 것 넷이 있는데(34b) 그 어깨는 받침 수레와 연결되었고(34c) - 받침 수레 위에 둥근 테두리가 있는데(35a) 높이가 반 규빗이요(35b) 또 받침 수레 위의 버팀대와 옆판들이(35c) 받침 수레와 연결되었고(35d) - 버팀대 판과 옆판에는(36a) 각각 빈 곳을 따라(36b) 그룹들과 사자와 종려나무를 아로새겼고(36c) 또 그 둘레에 화환 모양이 있더라(36d) - 이와 같이 받침 수레 열 개를 만들었는데(37a) 그 부어 만든 법과 크기와 양식을(37b) 다 동일하게 만들었더라(37c) 또 물두멍 열 개를 놋으로 만들었는데(38a) - 물두멍마다 각각 사십 밧을 담게 하였으며(38b) 매 물두멍의 직경은 네 규빗이라(38c) 열 받침 수레 위에 각각 물두멍이 하나씩이더라(38d) 그 받침 수레 다섯은(39a) - 성전 오른쪽에 두었고(39b) 다섯은 성전 왼쪽에 두었고(39c) 성전 오른쪽 동남쪽에는 그 바다를 두었더라(39d - 놋 받침대_ a brass stand 물두멍 대야_ a watering basin 최고의 정성_ the utmost sincerity - 거룩하신 하나님, 매일 매일 하나님께 나아가지 않으면 나는 쓰러질 수밖에 없습니다. 나는 부족해서 매순간 순간 나아가야 하는 자입니다. 주님을 뵙는 날 까지, 하나님얼굴을 맞대고 보는 그날까지 성결을 유지하게 하시고 나에게 주신 하나님의 은사를 이웃을 위해 나누고 헌신하게하소서. Holy God, if I don't go forward to God every day, I'm bound to collapse. I'm the one who has to move forward every moment because I'm not good enough. Keep your holy spirit until the day you meet the Lord, until the day you see him face to face, and share and commit God's gift to me for my neighbors. 2023.9.18.mon.Cla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