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번역자(註)/ 아래 글은 미국의 저명한 안보전문지 ‘National Interest’ 최신호에 실린 카일 미조카미의 칼럼이다. 우선 ‘중국의 북한 침공’ 제목 자체가 낯설긴 하다. 북한에 이른바 급변사태가 발생하면 중국이 북한을 침공해 꼭두각시 정권을 세울 것이라는 주장이다. 다시 말해 이런 경우 중국은 절대로 한국주도의 통일이 이루어져 자신들의 영토를 미국의 영향력 앞에 직접 노출시키는 상황을 용납할 수 없을 것으로 본 것이다. 물론 당장 중국의 북한침공이 현실화되기는 어려울 것이다. 아직은 중국에게 북한은 방패막이로서의 이용가치가 있고 현재 이득이 침공에 따른 비용보다 많다. 남는 장사를 걷어치울 중국이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앞으로의 세상일은 아무도 모른다. 예컨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예상했던 전문가는 그리 많지 않았다. 게다가 전쟁이 몇 달내로 러시아의 승리로 끝날 것이라고 내다봤지만 벌써 3년째 계속 중이다. 또 있다. 미국과 한국이 전 세계에 자랑하는 자유민주주의 꽃길이 트럼프의 마가 팬덤과 이재명의 개딸 팬덤으로 이토록 지독한 오물 범벅의 난장판이 될줄 누가 알았겠는가. 중국의 북한침공 시나리오 역시 마찬가지다. 가능성을 늘 열어놓고 철저하게 대비하는 게 상책이다. 이유는 하나다. 중국은 유사 이래 우리에게 고통만 안겨준 나쁜 이웃이었다. 지금도 중국은 한국인의 목에 걸린 가시이자 냄새나는 짐짝이자 음흉한 걸림돌이다.
----------------------------------------------------------------
* <The National Inrerest>/ March 8, 2024 /by Kyle Mizokami
Yes, China Could Invade North Korea
그렇다, 중국이 북한을 침공할 수도 있다.
China, sharing a long border with North Korea, plays a pivotal yet often overlooked role in Korean Peninsula dynamics. North Korea serves as a buffer for China against U.S. influence but also poses risks with its unpredictable behavior and nuclear ambitions. On and off tensions have strained Sino-North Korean relations over the decades, leading to speculation about Chinese military intervention scenarios. These range from creating a buffer zone to installing a puppet government in the event of a regime collapse.
북한과 긴 국경을 맞대고 있는 중국은 한반도의 역학관계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지만 가끔은 이런 역할이 간과되기도 한다. 중국으로서는 북한이 미국의 영향력에 대한 완충 역할을 하지만 북핵 야망이나 예상치 못한 행동으로 위험을 초래하기도 한다. 지난 수십년 간 양국 사이의 간헐적 긴장은 북중 관계를 불편하게 했으며 이것이 중국군대의 북한 침공 시나리오라는 추측으로 이어진 셈이다. 이런 시나리오는 완충지대를 만드는 것부터 꼭두각시 정권을 세우는 것까지 그 범위가 다양하다.
China’s People’s Liberation Army (PLA), significantly modernized and positioned in the Northern Theater Command, could launch a powerful invasion into North Korea if deemed necessary. However, such action is unlikely without a significant shift in the strategic calculus, given the high economic, political, and military costs involved. A Chinese invasion also risks conflict with U.S. and South Korean forces, adding complexity to an already volatile situation.
놀랍도록 근대화된 북부전구 중국인민해방군은 필요하다면 거침없이 북한 침공을 감행할 수 있다. 하지만 이같은 시도는 이와 관련된 정치적, 경제적, 군사적 비용을 고려한 전략적 계산 없이 가능한 것은 아니다. 중국군의 북한 침공은 가뜩이나 불안정한 이 지역 정세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 뿐만 아니라 미국, 한국과의 갈등 리스크 역시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shares an 880 mile long border with its notoriously unpredictable neighbor, has a large army and values stable borders at any cost. In the event it deems military action necessary, what are Beijing’s options for dealing with North Korea and what kind of force could it bring to bear?
예측 불가능하고 악명 높은 불량국가와 800마일 긴 국경선을 맞대고 있는 중국은 많은 군대 보유하고 있고 어떤 대가를 치를지라도 이 지역의 안정을 유지하려 한다. 그럼 중국이 북한을 다룰 선택지는 무엇이며 어떤 힘으로 이런 상황을 감당할 수 있을까?
North Korea is both a blessing and a curse for China.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is an independent state that is openly hostile to the United States and other regional powers. Pyongyang’s military is a deterrent to attack without posing a direct threat to China. As a result, nearly a thousand miles of China’s borders are occupied by a regime that finances its own defense and will never fall willingly within the U.S. sphere of influence.
북한은 중국의 축복이자 동시에 저주다. 또 북한이란 독립국가는 그 자체가 미국과 이 지역 세력들에게는 공공연한 적대적 존재다. 북한은 중국에게는 위협이 되지 않은 채 이들을 공격할 수 있는 억제력이다. 그 결과 북한은 중국이 쉽게 미국의 영향권에 들어가지 않을 천여 마일의 국경을 지키는 자금을 대는 방패막이 정권과 다를 바 없다.
The situation is far from perfect. While North Korea has traditionally been a Chinese client state, ties between the two countries have deteriorated in recent years to only see relations perk back up. Pyongyang’s fiery anti-American rhetoric and nuclear weapons program have provoked the United States, making North Korea a major point of contention between Washington and Beijing. The country’s flagrant violation of international norms have tested Beijing’s patience.
그런데 상황은 이런 전제와는 거리가 멀다. 북한이 중국에 기대는 의존국이긴 하지만 근래에 두 나라는 매우 껄끄러운 관계에 이르고 말았다. 북한의 맹렬한 반미 언사와 핵병기 프로그램으로 인해 북한문제는 미중관계의 핵심 쟁점이 되었다. 또 북한은 중국의 인내력을 시험할 정도로 국제규범에 대한 무도한 도발을 저지르고 있다.
There are persistent rumors that Beijing has long prepared to intervene in North Korea, whether in the aftermath of a government collapse or should the country’s leadership make credible threats against China. No one outside of Beijing knows what those preparations might be, but we can outline some scenarios. One thing seems reasonably certain, however: if China goes into North Korea, the presiding regime, whether of Kim Jong-un or someone else, will not survive.
이런 이유로 그동안 중국의 북한개입설이란 소문이 오래전부터 있어왔다. 즉 북한 정권이 붕괴하거나 북한사태가 확실한 위협이 되는 경우를 대비한 시나리였다. 베이징 밖에서는 그 준비가 무엇인지 잘 알 수 없지만 몇 가지 시나리오를 개략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한가지는 분명해 보인다. 중국이 북한에 들어가면 김정은이든 혹은 또 다른 누구든 북한을 사실상 장악할 권력은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이다.
One possible scenario is a military incursion into North Korea in response to regime collapse. An imploding economy, military coup, or Syria-like rebellion could all cause the regime to fold, and it will likely fold quickly. When it does, the national food distribution system will likely fail, causing refugees to flee the country. Given that the border with South Korea is notoriously fortified and the Russian border is relatively far and remote, the least difficult border to cross is into China.
한가지 시나리오는 북한정권의 붕괴시의 군사적 침공이다. 경제 파탄, 군사반란, 혹은 시리아 유형의 반란이 급속하게 정권을 붕괴시키는 원인이 될 것인데 이런 사태는 국가식량 시스템의 전면 붕괴로 이어지고 수많은 난민사태을 초래할 것이다. 이런 사태가 발생하면 엄청난 난민들은 삼엄한 휴전선 철책선으로 가로막힌 한국이나 거리상 너무 멀리 떨어진 러시아가 아닌 손쉬운 중국으로 밀려들 것이다.
Beijing, obsessed with internal stability, would almost certainly not tolerate millions of refugees crossing into northern China. From a Chinese perspective, it would be far better for those refugees to stay in North Korea. In the event of regime collapse, we could see the three People’s Liberation Army (PLA) armies in the country’s Northern Theater Command move south. One option is to create a buffer zone in North Korea, but that would not solve the problem of political and economic instability. If the PLA does move South, it would likely go all the way to Pyongyang in order to establish a puppet government and reestablish some level of stability.
자국 내의 안정적 상황이라는 강박관념에 빠져있는 중국이 븍한 난민 수백만 명의 유입을 방치할 수는 없을 것이다. 중국 입장에서는 난민들이 북한에 그대로 머물러 있어야 한다. 그래서 만약 북한의 급변사태가 난다면 우리는 중국 인민해방군 북부전구의 군대가 남하하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또 하나의 선택지는 북중 국경 사이에 완충지역을 만드는 것인데 이 역시 정치적, 경제적 혼돈사태를 해결한 대안으로는 부족해 보인다. 만약 인민해방군이 남하하면 북한의 기존 정권을 무너뜨리고 꼭두각시 정권을 세워 난민의 이탈을 단속하기 위해 평양에 진주할 것이다.
The most likely scenario is that China launches an all-out invasion to topple the existing regime. Of the sixteen armored, mechanized, infantry and artillery corps that make up the Korea People’s Army (KPA), only two are deployed along the Sino-Korean border. Three more corps are stationed in and around Pyongyang. Nearly 70 percent of the KPA is south of the Pyongyang/Wonsan line, sited to support a cross-border attack against South Korea.
가장 가능성 있는 시나리오는 기존 정권을 무너뜨리기 위해 중국군을 침공시키는 것이다. 북한군의 16개 기갑, 기계화, 보병 및 포병 군단 중 단 2개만 북중 국경에 배치되어있다. 나머지 3개는 평양주변에 배치되어있다. 거의 70% 이상의 북한군 병력은 한국의 침공을 대비해 평양-원산선 이남에 배치되어있다.
China’s Northern Theater Command ground forces consist of the 78th, 79th and 80th Armies. These armies are what would be considered corps in the U.S. Army, collectively controlling eighteen combined arms brigades supported by three special operations, three aviation, three artillery and three engineering brigades. This gives the PLA a powerful force equivalent, at least on paper, to roughly five or six U.S. combat divisions. Supported by the two air attack divisions of the Chinese Air Force assigned to the Northern Command, the three PLA armies could quickly cross the border and march south into the KPA’s strategic rear.
중국군 북부전구는 78, 79, 80군단으로 구성되어있다. 이들 부대는 3개의 특수 작전, 3개의 항공, 3개의 포병 및 3개의 공병 여단에 의해 지원되는 18개의 연합 무기 여단을 통합적으로 통제하는 미군의 군단을 떠올린다. 이로써 인민해방군은 적어도 문서상으로는 대략 5개 혹은 6개의 미군 전투 사단에 맞먹는 강력한 병력을 갖게 된다. 북부전구에 할당된 중국공군 2개 비행사단의 지원 아래 인민해방군 3개 부대는 그들의 전략적인 후방인 북한으로 국경을 넘어 빠르게 남진할 수 있다.
To what extent would the KPA resist an invasion? It depends. If the regime in Pyongyang is still in place, it China could face considerable resistance. A lack of fuel reserves, dictated by China, would likely strand many of the remaining fourteen army corps in place, rendering them unable to resist a Chinese invasion. If the government collapses the KPA could become part of the hungry, leaderless masses—masses with weapons. Ideally, Beijing would cultivate ties with the KPA leadership before a move South and persuade it to not resist and maintain order.
이같은 중국군의 침공에 대해 북한이 저항은 어느 정도일까? 평양 정권이 유지된다면 중국군은 상당한 수준의 저항에 직면할 것이다. 중국이 통제 가능한 연료 비축량이 급격하게 줄어들면 북한의 14개 사단은 마비되어 중국군에 대한 저항은 무력화될 것이다. 북한 정권이 무너지면 북한군은 굶주리게 되고 지도자가 없는 군중은 무기 없는 군중으로 전락할 것이다. 가장 이상적인 선택은 중공군이 북한 침공 전에 북한 내부 지휘부와 내통하고 공모해 저항하지 않고 자신들의 지시를 따르도록 사전 조치를 취하는 것이다.
It’s difficult to foretell how well the PLA would do in wartime. The last time the Chinese Army engaged in such large scale combat was the Sino-Vietnamese War of 1979. Using inferior, outdated tactics, China’s ground forces suffered heavy casualties against their battle-hardened Vietnamese opponents, and Chinese leader Deng Xiaoping vowed never to repeat such a costly war. It is unlikely that Beijing would order the attack if it did not have full confidence in the PLA to carry it out without embarrassing failure.
문제는 중국군이 전시상황을 얼마나 잘 대처할 수 있느냐이다. 중국군은 50여년 전 1979년 중국 베트남 전쟁 이후 큰 규모의 전쟁을 한번도 치른 경험이 없다. 당시 낡은 구식전술에 매달린 중국군은 베트남군의 공격에 많은 희생자를 냈고 당시 지도자 덩샤오핑은 이런 고비용의 전쟁을 다시는 반복하지 않겠다고 맹세한 바 있다. 그래서 인민 해방군이 당혹스러운 실패 없이 작전을 성공시킬 자신이 없는 한 중국의 북한 침공 가능성은 없을지 모른다.
The PLA of today however is a completely different beast. While the PLA lacks the institutional skill of the battle-tested U.S. Army, it is certainly better than the Korean People’s Army. The army has modernized both its equipment and military doctrine—Xi Jinping’s repeated calls to be “combat ready”, often interpreted as outwardly aggressive, are more likely to be exhortations toward general readiness and against corruption in the ranks. A recent and pervasive emphasis on high speed, mechanized warfare will pay the PLA dividends in a drive on Pyongyang.
하지만 중국인민해방군은 오늘날 전혀 다른 야성을 갖고 있다. 전투경험이 미군보다는 못하지만 분명히 북한군보다는 월등하다. 중국 육군은 장비와 전술교리를 현대화했고 시진핑이 ‘준비된 전투력’을 자주 반복하는 것은 외형적으로는 호전성을 드러낸 것이긴 하지만 일반적인 전시대비 및 계급 부패 척결의 의지를 드러낸 것이기도 하다. 최근 전투력의 고속화, 기계화의 확산 추세는 평양을 압박하기 위한 인민해방군에 대한 전력예산의 증강으로 이어질 것이다.
The most dangerous aspect of a Chinese invasion of North Korea is if it is launched concurrent with a U.S. and South Korean assault northward from the demilitarized zone. While the U.S. and South Korea would operate with the same objectives in mind, they would likely be very different from China’s. The possibility of fighting breaking out between those armies marching north and those marching south would be very real.
중국의 북한 침공에서 가장 위험스런 측면은 미국과 한국이 동시에 휴전선에서 북침하는 상황이다. 한미는 같은 목표를 염두에 두고 작전을 수행하겠지만, 중국과는 매우 다를 것이다. 북쪽으로 행진하는 군대와 남쪽으로 행진하는 군대 사이에 발생하는 전투 가능성은 매우 현실적이다.
Barring a total collapse of the Pyongyang regime, China is unlikely to invade North Korea any time soon. The economic, political, and military costs outweigh the benefits—at least for now. That having been said, if the calculus changes China maintains the forces, just over the border, to decisively intervene in its smaller neighbor. Whether China, South Korea, or anyone is ready for the outcome is a very good question.
평양체제의 완전한 붕괴를 원치 않는다면 중국이 조만간 북한을 침공할 가능성은 없다. 늘 그랬던 것처럼 이 지역에서의 힘의 유지를 위한 역학관계에 변화가 생기면 중국이 국경을 넘어 이웃의 작은 나라에 결정적으로 개입할 가능성은 늘 열려있다. 중국, 한국 혹은 어느 나라든 중국의 북한 침공에 대한 준비가 되어있는가? 이게 바로 가장 좋은 질문이다. * 20240312 번역/최익제(敎博)
----------------------------------------------------------------
About the Author: Kyle Mizokami
Kyle Mizokami is a defense and national-security writer based in San Francisco who has appeared in the Diplomat, Foreign Policy, War is Boring and the Daily Beast. In 2009, he cofounded the defense and security blog Japan Security Watch. You can follow him on Twitter: @KyleMizokam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