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9회 한밭국악전국대회, 대통령상 등 59명 수상
명무대상- 대통령상에 김지원 단국대학교 교수
명무 대상 대통령상- 김지원 단국대 교수
<충청데일리 김구회 기자> 대한민국 국악 인재 등용문인 ‘제29회 한밭국악전국대회’가 지난 7월 6일과 7일 양일간 대전 대전평송청소년문화센터 대강당과 엑스포시민광장 무빙쉘터에서 진행됐다.
대전광역시와 (사)한밭국악회(이사장 오주영)가 주최·주관한 이번 제29회 한밭국악전국대회에는 284명의 경연자가 참가해 뜨거운 경연을 벌인 결과 59명이 수상의 영광을 차지했다.
시상식에서 ▲명무 대상 대통령상에는 김지원 단국대 교수(51. 살풀이춤)가 영예를 안았다. 명무 대상 수상자에게는 상금 3천만 원의 시상금이 주어진다.
대통령상 수상자 김지원 교수는 수상소감에서 “요즘 BTS가 선보인 전통춤 퍼포먼스를 보고 세계인들이 관심을 갖고 있다. 그렇게 처음 한국 춤을 접한 사람들은 곧 오리지널 춤은 어떤 것인지, 소품으로 사용한 수건의 의미는 무엇인지 알고 싶어지게 마련”이라며 “저는 ‘한국 춤의 코드와 해석’ 등 여러 권의 저서를 출간한 춤 이론가이다 보니 이번 수상을 계기로 해야 할 일들이 많아졌다. 사명감을 가지고 세계무대에 한국 춤을 알리는데 앞장서겠다”고 각오를 밠혔다.
▲명무 최우수상(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엔 도살풀이춤 정선주 씨가 수상자에 이름을 차지했고, 명무 우수상에는 신연희 씨(대전시장상. 태평무)와 서은선 씨(문화재청장상. 진도북춤)이, 장려상(한밭이사장상. 태평무)은 남윤주 씨가 각각 수상자로 선정됐다.
▲일반부 종합대상 국회의장상은 무용 이지영, 종합 최우수상에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판소리 김완아 씨가 수상했고, 각 부문 대상은 대전시장상으로 관악 장은혜, 현악 신은지, 정가 원혜정, 민요 김시화 씨가 각각 차지했다.
▲최우수상 국립국악원장상은 무용 송민경, 관악 정지송, 현악 이수현, 정가 남수연, 민요 최예림, 판소리 지향희 씨가 각각 받았다.
▲이외에도 대전시의회의장상은 △우수상 남지은(무용), 유하은(관악), 이영호(현악), 윤미애(정가), 민시우(민요), 박지민(판소리)가 수상했다.
▲학생부 종합대상 교육부장관상은 박시언(판소리) △대상 대전시 교육감상 구민지(무용), 천서영(관악), 장은찬(현악), 전호민(정가), 박세인(민요) △ 최우수상 국악방송사장상 박서현(무용), 문혜원(관악), 김지윤(현악), 장지유(정가), 이인해(민요), 여소연(판소리) △우수상 한밭국악회 이사장상 유경(무용), 양지하(관악), 김지현(현악), 백민지(정가), 신정인(민요), 이지우(판소리) 각각 받았다.
이날 오후 5시 시상식에 앞서 300여명의 관객이 운집한 가운데 김숙자 추모공연과 전년도 대통령상 수상자 초청공연으로 열기를 더했다.
양종승 종합심사위원장(박사, 이북5도 무형문화재위원회 위원장)은 종합심사평에서 “역대 대회에서 가장 수준 높은 참가자의 질적 향상은 국악발전에 큰 밑거름이 되고 있으며, 참가 접수를 제한할 정도로 많은 참가자들이 몰리고 있는 것은 본 대회의 향후 발전적인 미래”라며 “심사위원과 참가자에 대한 철저한 관리와 지원 등에 대한 공정성에 대한 평가에서도 전반적으로 완벽한 대회였다”고 평가했다.
한편, ㈔한밭국악회가 주관하는 한밭국악전국대회는 매헌 김숙자 선생을 기리고 추모하고 있으며, 국악에 기량이 있는 학생과 일반인의 저변을 확대하고, 명무부 특성화를 통해 국악발전에 기여 하고자 매년 진행되고 있는 국악인의 축제다.
명무 최우수상- 정선주 씨
일반부 종합대상- 이지영 씨
일반부 대상 수상자들
학생부 종합대상 및 대상 수상자들
수상자 및 내빈 단체사진
시상식장 전경
[출처] 제29회 한밭국악전국대회, 대통령상 등 59명 수상|작성자 충청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