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부학 구조는 많이 보면 볼수록 통찰력이 생긴다.
보고 또 보고 osteokinematic, arthrokinematic 움직임을 상상하라.
panic bird..
몸통 전면부 근골격계 구조
![](https://t1.daumcdn.net/cfile/cafe/1260E13C50CB2AA80D)
몸통 후면부 근골격계 구조
![](https://t1.daumcdn.net/cfile/cafe/1647BD3C50CB2AA920)
![](https://t1.daumcdn.net/cfile/cafe/252F373850CB2ACF2D)
![](https://t1.daumcdn.net/cfile/cafe/2027773350CB2B1804)
![](https://t1.daumcdn.net/cfile/cafe/15354B3450CB2BC31A)
요추 전만은 wedge shape인 척추뼈와 디스크때문
![](https://t1.daumcdn.net/cfile/cafe/2217F74050E024960B)
![](https://t1.daumcdn.net/cfile/cafe/2053EF3450CB2BC401)
![](https://t1.daumcdn.net/cfile/cafe/2741113450CB2C8F13)
![](https://t1.daumcdn.net/cfile/cafe/273AD23450CB2C8F18)
![](https://t1.daumcdn.net/cfile/cafe/193FB33850CB2D302A)
![](https://t1.daumcdn.net/cfile/cafe/132BE83850CB2D3037)
![](https://t1.daumcdn.net/cfile/cafe/2527103350CB2E5111)
![](https://t1.daumcdn.net/cfile/cafe/017AA63350CB2E5135)
![](https://t1.daumcdn.net/cfile/cafe/164C1B3450CB2ED411)
![](https://t1.daumcdn.net/cfile/cafe/131FCC3950CB2F1809)
![](https://t1.daumcdn.net/cfile/cafe/152ADE3350CB2F5D11)
경추 구조
![](https://t1.daumcdn.net/cfile/cafe/155BA63F50CB2FA51C)
![](https://t1.daumcdn.net/cfile/cafe/153A104250CB2FFA25)
![](https://t1.daumcdn.net/cfile/cafe/245D2E4250CB2FFA09)
환추, 경추2
![](https://t1.daumcdn.net/cfile/cafe/162F544450CB307313)
![](https://t1.daumcdn.net/cfile/cafe/273DDA4450CB307407)
흉추
![](https://t1.daumcdn.net/cfile/cafe/01795B4350CB30EA21)
![](https://t1.daumcdn.net/cfile/cafe/2203494350CB30EA1C)
![](https://t1.daumcdn.net/cfile/cafe/224EA34250CB31371B)
요추
![](https://t1.daumcdn.net/cfile/cafe/2308E44150CB31C30E)
![](https://t1.daumcdn.net/cfile/cafe/2517244150CB31C401)
![](https://t1.daumcdn.net/cfile/cafe/185B1A4150CB31C434)
![](https://t1.daumcdn.net/cfile/cafe/1671AD4350E0300A20)
![](https://t1.daumcdn.net/cfile/cafe/0316744150CB31C402)
천추
![](https://t1.daumcdn.net/cfile/cafe/1777793F50CB31FB0D)
![](https://t1.daumcdn.net/cfile/cafe/196CAD4350CB321F2F)
![](https://t1.daumcdn.net/cfile/cafe/013D524450CB326C0F)
![](https://t1.daumcdn.net/cfile/cafe/1502D94450CB326C35)
추간판의 구조
![](https://t1.daumcdn.net/cfile/cafe/2163E44050CC348702)
![](https://t1.daumcdn.net/cfile/cafe/024E4A4050CC34871A)
![](https://t1.daumcdn.net/cfile/cafe/22614E4050CC348705)
![](https://t1.daumcdn.net/cfile/cafe/144C4E4050CC34881C)
![](https://t1.daumcdn.net/cfile/cafe/0260744050CC348806)
![](https://t1.daumcdn.net/cfile/cafe/2761544050CC348805)
![](https://t1.daumcdn.net/cfile/cafe/252F134050CC348838)
![](https://t1.daumcdn.net/cfile/cafe/236DF84650CC34EF08)
![](https://t1.daumcdn.net/cfile/cafe/126AAA4C50CC35D014)
![](https://t1.daumcdn.net/cfile/cafe/20530B4C50CC35D130)
- 추간판의 수핵은 순간적인 축성부하(axial load)를 물쿠션(water cushion)처럼 작용. 압력하에서 회복력을 갖는 hydrostatic system을 갖음. 이는 섬유륜의 tension-resistant sheath와 수핵의 incompressible core의 조합임. 수핵은 80-85%가 물로 구성되어 있고, 가역적으로 "paucicellular, gelatinous, mucoviscous tissue"를 서로 묶고 있음. 수핵은 매우 높은 정역학적인 압력하에 놓여있고, 특히 중력과 움직임에 의해서 작용함. 이 압력은 주변 연골성 endplate와 섬유륜에 의해서 흡수됨.
- 이러한 방식으로 수핵은 물쿠션처럼 작용하거나 두개의 척추사이에서 수압에 의해서 충격을 흡수한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762614C50CC35D11D)
![](https://t1.daumcdn.net/cfile/cafe/025E244C50CC35D223)
- 지속적인 압력에 반응하여 추간판으로부터 액체가 빠져나감. 순간적인 추간판의 부하는 수핵과 섬유륜의 기능인 충격흡수에 의해서 작용하교, 지속적인 부하는 디스크로부터 액체가 점차적으로 하지만 지속적으로 빠져나감. 이때 디스크의 높이가 감소하고, 종판과 척추는 점차 가까워짐.
![](https://t1.daumcdn.net/cfile/cafe/265E1E4C50CC35D224)
![](https://t1.daumcdn.net/cfile/cafe/127C394C50CC35D301)
- 추간판에 가해지는 부하가 줄어들때, 액체는 디스크로 들어옴. 이때 디스크의 높이는 증가함. 디스크 높이의 증가는 연골하 혈관으로부터 액체의 흡수에 의해 일어남. 이러한 기전에 의해서 디스크는 영양이 공급됨.
- 압력의존성 액체이동에 의해 디스크의 높이가 변함. 하루에 1.5~2cm가 변화함.
첫댓글 1. 척추 지표 : C7극돌기 튀어나옴 T3극돌기는 견갑극, T7극돌기는 견갑 하각, T12극돌기는 12번늑골 L4는 장골능
2. 경추 요추는 lordosis(요추는 wedge shape인 척추뼈와 디스크때문) , 흉추 천추는 kyphosis
3. 경추 특징 : 횡돌기공, 축추와 환추 형태, 극돌기가 갈라지고, 2번7번극돌기가 크고
4. 흉추 특징 : costal facet, 극돌기가 아래로 경사
5. 요추 특징 : 쐐기형, 추체가 크고, 극돌기가 크고
6. 천추/ 미추 특징 : 천추공, 역삼각형태
7. 추간판 : 섬유륜과 수핵(물쿠션처럼 작용), hyaline catilage, 순간적 추간판 부하는 수핵과 섬유륜의 충격흡수에 의해 작용하고 지속적 부하는 디스크로 부터 액체가 점차적 지속적 빠져나가 디스크 높이 감소하고 척추사이 가까워짐
부하 줄면 액체는 흡수됨, 연골하 혈관에서 액체 흡수에 의해 디스크 영양공급, 높이는 하루에 1.5-2cm 변화
★ 추간판
추간판의 수핵은 물쿠션처럼 작용해서 압력하에서 회복력을 갖는 hydrostatic system을 갖음 ->충격을 흡수
순간적인 부하는 수핵과 섬유륜이 충격을 흡수하지만, 지속적인 부하는 디스크로부터 액체가 점차적으로 빠져나감.
추간판의 부하가 줄어들면 액체는 다시 디스크로 들어온다.(아침에 키가 가장 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