Ⅸ. 이야기 문학의 3대 요소인 배경이란
1. 배경이란 무엇인가
배경(背景, setting)은 하나의 작품에서 구성상의 사건들이 일어나는 시간적이고 공간적인 장소를 말한다. 클리언스 브룩스(Cleanth Brooks)와 로버트 펜 워렌(Robert Penn Warren)의 공동저서『소설의 분석. The Scope of Fiction』에서 ‘배경이란 이야기의 문학(소설, 희곡, 서사시) 등에서 사람(또는 의인화 擬人化 된 생물이나 사물)의 행위가 벌어지는 물리적 또는 장소를 말한다. 배경은 인물(성격), 행위(사건)와 더불어 이야기 문학의 3대 요소라.’ 정의한 다음 그 배경을 위한 요소들을 다음과 네 가지로 구분했다.
① 실제의 지리적 및 물리적 위치. 크게는 지형, 경치 등 적게는 길과 건물의 배치.
② 인물들의 일상적인 생활방식이나 하는 일. 농사짓는 광경, 사무실의 풍경.
③ 이야기의 소재가 되어 있는 행위가 벌어지는 시기, 역사의 어느 시대, 일 년의 어느 계절, 어느 날의 오전 또는 오후 몇 시.
④ 인물 등이 처한 무형적인 것. 즉 종교, 도덕적, 사회적, 정서적 상황.
그리고 W. 케니(W. Kenny)는 그의 저서 『소설분석법(小說分析法. How to Analyze Fiction. 1966』에서 역시 다음과 같이 네 가지 요소를 제시했다.
① 지리학적 장소 또는 실내의 세부적 묘사 장면.
② 인물이 생활해 나가는 직업 및 그 양태.
③ 사건이 발생하는 시간, 즉 역사적인 시대나 계절.
④ 인물들의 종교적, 도덕적, 사회적, 정서적 배경.
위의 제시한 네 가지의 요소를 다시 정리하면
① 은 공간적 배경
② 는 사회적 배경
③ 은 시간적 배경
④ 는 정신적 배경이라 한다.
2. 독자는 좋은 소설의 배경을 기억한다.
좋은 소설의 독자는 그 소설의 배경을 오래도록 기억한다. 그러면서 그 배경 속에서 벌어진 사건들을 떠올리면서 그 작품을 오래도록 머릿속에다 간직한다. 안내하는 노인을 따라 철교 폭파 지점을 답사하고 있는 조나단의 눈에 비친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 The Whom The Bell Tolls. 1943』의 그 계곡, 고래의 생태와 그 포획기술을 백과사전식으로 나열한, 특히 잡은 고래, 추적 중인 고래에 관한 영국의 판결과 학설을 추적한 제89장과 제90장은 그 자체가 일급 리포트라고 할 만한 허만 멜빌(Herman Melville : 1819〜1891)의 『백경(白鯨). Moby Dick. 1851』, 절대적인 율법으로 ‘성’에 복종하고 있는 마을의 여관을 묘사한 카프카(Franz Kafka : 1883〜1924)의『성(城). Das Schloss. 1926』, 긴 터널을 빠져나오는 눈앞에 펼쳐진 가와바타 야스나리(川端康成 : 1899〜1972)의 『설국(雪國 . 1968년 노밸 수상작』의 도입부의 서정적인 설경, 포로수용소의 절박한 상황을 그려낸 C. V 게오르규(Constant Virgil Gheorghiu : 1916〜1992)의 『25시. 25th Hour . 1949』을 읽은 독자는 알 것이다. 그 배경의 장소, 사건, 시간, 공간들이 아직 체험도 못 한 낯선 것이지만, 그것을 읽는 독자들은 긴장과 흥분에 휩싸인 채 지적 체험에 만족할 것이다.
이처럼 모든 작품의 배경은 소설가의 의도적인 설정으로 선택되지만, 독자들의 머리에는 잊을 수 없는 작품, 지워지지 않는 배경으로 기억으로 새겨지는 것이다. 이처럼 소설의 배경은 낯선 세계에 대한 관심 혹은 동정을 불러일으키고, 지형 지세로 복선을 깔아 작품 내용을 암시하는가 하며 유년기와 산업화 속으로 사라져 간 고향 마을을 복원하기도 한다. 또한, 그 시대 상황을 표출하기도 하며 작품 전체의 분위기를 지배하기도 하여 무한한 상상의 즐거움을 소설가와 독자에게 선사하기도 한다.
3. 공간적 배경
공간적 배경은 사건이 발생하는 공간 상태의 그대로 배경을 의미한다. 넓게는 나라나 지역에서부터 좁게는 마을, 논밭, 집, 병원, 감옥, 등의 공간이다. 자연 상태 그대로라서 ‘자연적 배경(自然的 背景)’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배경들은 인물의 성격이나 작품의 구성과의 관계에서 동떨어져서 서술하는 게 아니라 필연적으로 얽혀져야 한다. 자연 상태 그대로의 배경을 설정하였다손 치더라도 그들의 배경에는 이미 역사적,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정신적인 것들이 내재해 있기 마련이다. 예를 들어 이문구의 『관촌수필(冠村隨筆). 1976』에서는 충청도 대천의 관촌부락이, 조정래의『태백산맥(太白山脈). 1989』에서는 보성군 벌교가, 이청준의 『당신들의 천국. 1976』에서는 소록도의 한센병원이, 황석영의『장길산(張吉山). 1984』에서는 황해도 일대가, 양귀자 『원미동 사람들. 1987』의 부천 원미동의 소시민의 삶이, 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1983』의 제주도 민중의 수난사, 등의 배경으로 드러나 소설을 더한층 독자의 의식세계에 자리 잡게 한다.
이 공간적 배경에서 우리는 간과해서는 안 되는 게 ‘언어’의 사용이다. 즉 지리적 배경에 따르는 등장인물들, 때로는 서술자 시점에서 드러나는 사투리나 악센트이다. 그 지리적 배경과 다른 언어를 사용한다면 등장인물이 타지방의 출신이라는 것을 은연중에 드러내는 것으로 간주하기 때문이다. 또한, 감옥이나, 공장, 공사장 같은 곳에서는 그곳에서만 통용되는 비속어 혹은 은어(隱語)가 있다. 따라서 소설을 쓰는 사람은 어떤 지역이나 장소를 배경으로 삼았을 때는 거기에 걸맞은 언어를 구사하는 게 타당하다.
4. 사회적 배경
사회적 배경은 인간이 살아가는 사회, 즉 정치, 경제, 종교, 문화 등은 물론 직업, 계층, 나이 등의 문제와 시대적 상황까지 포함된다. 특히 사회적 배경에서 중요한 것은 등장인물의 성격과 행동에 사회성을 부각하는 방향으로 인도하는 것이다.
이 배경은 공간적 배경에 관한 서술은 극히 제한적이고 모호하지만, 경제적, 집단적 계급적 문제가 두드러지게 강조되고 있다. 사회적인 제도에 따른 어떤 종류의 억압, 공포, 불공평, 폭력에 대치하며 노사, 작업환경, 공해문제까지 배경요소로 삼는다. 매조리 볼튼(Marjorie Boulton)의 『소설의 분석. The Anatomy of the Novel. 1975. 東泉社. 1984刊』에서 ‘사회의 결함을 들추어내는 사회 고발적인 소설에서는 무엇보다도 배경이 가장 중요하며, 인물이나 구성은 개혁적인 목적에서 볼 때는 이차적인 문제가 된다.’고 했다. 다시 말하면 고도로 시사적인 소설은 개혁적인 측면에서 직접적인 이익을 주지만, 다른 장점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 그 소설이 폭로하려는 죄악보다 더 오래가는 일이 없다는 것이다. 제도적 개혁이 실현된 그 이후에는 그 작품의 가치가 소멸한다고 보는 것이다.
일례로 미국 소설가 업튼 싱클레어(Upton Sinclair : 1878 〜1968)가 1906년에 발표한 『정글. The Jungle』에서 사실주의 수법으로 시카고 통조림 공장지대의 비인간적인 상황을 묘사했다. 그는 이 작품을 통해서 미국 자본가의 이기심과 이민 노동자 가족에 대한 착취, 산업 조직의 결함, 공장의 열악하고 불결한 환경을 폭로했다. 이 소설을 읽은 독자들이 격분했고, 미국정부가 1910년 식품위생법을 제정하는 개혁을 이루어냈지만, 소설의 가치가 소멸하여 읽히지 않았다고 했다.
우리나라에서는 조세희의 일련의 소설들, 이를테면 『은강 노동 가족의 생계비. 1977.』,『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1976』이 1970대 한국사회에 대한 모순에 개혁 의지를 보이고 휴머니티를 기저에 깔고 있으면서 절제된 언어 사용, 풍부한 은유, 깔끔한 구성을 통하여 미적으로도 성공한 작품으로 평가를 받았다.
이 배경으로 소설을 쓰자면 정당하고 폭넓으면서도 온정적인 인간성의 측면에도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할 뿐만 아니라 예술성을 간과해서도 안 된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5. 시간적인 배경
우리는 플롯을 배우면서 소설은 시간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는 것을 알았다. 즉 ‘시간’, ‘속도’, ‘거리’의 개념에서 그것을 살펴보았다. 소설의 배경을 이루는 시간의 길이는 길게는 수십 년에서 수백 년으로 확산하기도 하지만, 짧게는 하루 아니 1시간 이내로 한정되기도 한다. 또한, 소설은 계절의 변화에 따른 인간의 반응 또는 탄생과 죽음을 통해 인생유전을 나타내기도 하지만, 인간의 한 단면을 분석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톨스토이의『전쟁과 평화. War and Peace. 1869』는 수십 년에 걸쳐 전개되는 이야기이고,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G. C. Marquez: 1927.〜)의 『백 년 동안 고독. Cien acños de soledad.1967』는 백 년을 걸친 이야기 전개방식이다. 그런가 하면 박경리의『 토지』는 어떠한가. 시대의 변화와 수 대의 인생유전을 다루는 소설이다. 또한 ‘미니픽션’이라 할 수 있는 콩트의 경우는 극히 분량이 적을 뿐만 아니라 시간도 매우 짧은 형식을 취하지만 인생의 깊이를 드러내고자 하는 강렬한 욕구를 표출하는 소설형식이라 말할 수 있다. 다음 작품은 하마드 레리호의 「독일군이 남겨 놓은 것」으로 소설작법 강좌에 많이 응용되는 작품이다.
-전쟁은 끝났다. 그는 독일군에게서 도로 찾은 고향의 거리로 돌아왔다. 그리하여 불빛 희미하게 비치는 거리를 분주히 걸어가고 있었다.
어떤 매음녀가 그의 손을 붙잡으며 술 취한 듯한 목소리로 유혹의 말을 걸었다.
“어딜 가세요? 나를 찾아오세요? 네, 여보세요!”
그는 웃었다.
“천만에! 너한테 가는 게 아니다. 나는 옛날 애인을 찾아가는 길이다.”
그는 여자를 돌아다보았다.
두 사람은 가로등 밑으로 왔다. 그러자 여자는 별안간에 “앗!”하고 부르짖었다. 남자도 무심중에 여인을 가로등 밑으로 끌고 왔다. 다음 순간, 남자는 여인의 두 팔을 꽉 부둥켜 쥐었다. 그의 눈은 빛났다.
“요안!”
하고 그는 여인을 와락 끌어안았다.
6. 정신적 배경
정신적 배경이란 공간적 배경에 어떤 의미, 즉 형이상학적인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상징성을 띠는 것과 심리주의 소설에서의 의식 흐름, 내적 독배의 심리적 배경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는 산업화사회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산업화과정에서 농촌 인구가 도시로 집중됨으로써 도시는 넘치도록 인구가 증가하였지만, 농촌은 피폐해 질대로 피폐해졌다. 이에 소설가들은 인구가 팽창으로 인한 도시의 화려함만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물욕에 사로잡힌 비인간화된 사회를 표현하는가 하면 농촌을 묘사할 때는 산업화에 소외되거나 수몰이주민 또한, 개발지구 개발로 삶의 뿌리가 송두리째 뽑혀 퇴락하는 것들을 고발하기도 했다. 이것은 공간적 배경에 대한 세부 묘사를 실체적이고 입체적으로 증폭시켜 더욱 현장감을 갖게 한다.
작품의 예를 들면 허먼 멜빌(Herman Melville: 1819〜1891)의 『모비 딕. Moby Dick.1851』에서 바다와 고래는 공간적 배경이지만, 정신적 배경에서는 고래는 신(神)일 수도 있고 악마일 수 있으며 진실이나 결백의 표상일 수 있다. 또한, 소설의 공간적 배경에서 가족은 한집에 살지만, 그 속에 사는 식구 각자는 의식, 감각, 기억, 연상, 정서, 충동 등을 통하여 여러 가지 세계를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정신적 배경은 도덕적, 종교적, 신화적 문제뿐만 아니라 의식의 흐름으로 시간의 문제까지도 연결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