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질을 원소기호를 써서 나타낸 식
1) 화학식의 종류
① 분자식 : 한 분자를 구성하는 원자의 종류와 수를 나타낸 식
질소 산화물의 실험식 구하기
2) 화합물의 명명법
① 이성분화합물에서
뒤에 있는 음성원소명 + 화 + 앞의 양성원소 명
음성원소의 이름이 "소"로 끝나면 "소"를 생략(수소는 예외)
NaCl (염화나트륨) MgCl2 (염화마그네슘) NaH (수소화나트륨)
② 분자성 물질에서 원자의 수를 표시할 필요가 있을 때
원소명 앞에 일, 이, 삼 .. 등을 붙여 명명
CO (일산화탄소) , CO2 (이산화탄소)
NO (일산화질소), NO2 (이산화질소), N2O4 (사산화이질소)
③ 이온성 화합물에서 금속 원소의 산화수가 여러 가지 일 경우
화합물명 뒤에 ( ) 하고 로마숫자로 금속의 산화수를 적는다
CuO : 산화구리(II) Cu2O : 산화구리(I)
FeCl2 : 염화철(II) FeCl3 : 염화철(III)
④ 산소산의 이름 : 산소산의 중심원소명에 "산"을 붙여 읽는다
중심원소의 이름이 "소"로 끝나면 "소"를 생략
(예외 : 염소, 규소)
H2CO3 : 탄산 H2SO4 : 황산 H3PO4 : 인산
HNO3 : 질산 H2SiO3 : 규소산 HClO3 : 염소산
⑤ 기준이 되는 산소산과 비교하여산소원자가 하나 많으면 "과" 산소원자가
하나 적으면 "아" 두 개 적으면 "하이포 아" 를 산소 붙여 읽는다
HClO3 HClO4 HClO2 HClO
(염소산) (과염소산) (아염소산) (하이포아염소산)
⑥ 산소산 이온 : 산소산의 이름 뒤에 "산"
CO32- : 탄산 이온 SO42- : 황산 이온
⑦ 산소산 염의 이름 : 산소산의 이름 + 금속 원소명
Na2CO3 : 탄산나트륨 CaSO4 : 황산칼슘
[예] 아세트산은 시성식이 CH3COOH로서
-COOH를 카르복시기라 부르며 산성을 나타낸다.
아세트산의 분자식은 C2H4O2이며,
C : H : O = 2 : 4 : 2 = 1 : 2 : 1이므로 실험식은 CH2O가 된다.
* 실험식 구하는 방법 : 구성 원소 간의 원자 몰 수를 구해야 하며,
원자 몰 수는 (원자의 질량)/(원자량)으로 계산된다.
이온 결합 화합물의 화학식은 분자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실험식으로만 나타낼 수 있고,
이 때 전체 전하가 균형을 이루어야-전기적으로 중성이어야- 하므로
양이온과 음이온 원자가의 절대값을 상대 이온의 아래쪽에 써 주고
약분할 수 있으면 약분하여 나타낸다.
[예] Na2CO3 : Na는 +1가, CO3는 -2가, CaO : Ca는 +2가, O는 -2가이므로
약분하여 나타낸 것이고, Al2O3 : Al은 +3가, O는 -2가된다.
화합물의 이름을 붙이는 방법은 음성 부분을 먼저 부르고
양성 부분은 나중에 부른다는 것과,
비금속 원소는 원소 이름에 '소'가 있으면 없애고
'화'를 붙여 부르는 것이 원칙이다.
[예] NaCl ; 염'화'나트륨, CaO ; 산'화'칼슘, K2SO4 ; 황산칼륨,
{예외}MgH2 ; 수소화마그네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