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문 (千字文) 47 _ 仁慈隱惻 造次弗離
仁慈隱惻 造次弗離
인자은측 조차불리
<仁 어질 인 / 慈 사랑 자 / 隱 숨을(측은할) 은 / 惻 슬퍼할(가엽게 여길) 측
造 지을(잠시) 조 / 次 버금(머뭇거릴) 차 / 弗 아닐 불 / 離 떠날 리>
인자함(仁慈)과 측은하게 여기는 마음(隱惻)을
잠시(造次)도 떠나게 해서는(離) 안 된다(弗).
▶ 한자공부
仁 : 사람 인亻과 두 이二가 결합. 두 사람이 친하게 지낸다는 뜻이었다. 유학에서 仁을 도덕의 중심으로 삼은 후 인간의 근본적인 마음가짐을 대표하는 글자로 쓰이게 된다.
慈 : 무성할 자玆(실타래가 드리워진 모습)와 마음 심心. 무성한 마음이란 모든 것을 포용하는 '사랑'.
隱 : 언덕 부阝와 급할 급㥯(急의 속자, 조급하다). 급히 산 속으로 '숨다'.
惻 : 마음 심忄과 법칙 칙則(칼로 솥에 문자를 새겨 넣는다, 칙→측). 마음에 새겨넣는다는 데서 '슬퍼하다'.
造 : 쉬엄쉬엄갈 착辶과 고할 고告 (신에게 기도祈禱하다). 신 앞에 나아가 아뢰는 일, 나아가서 자리에 앉다→이르다→사물을 마무르다→만들다.
次 : 두 이二(두 번째)와 하품 흠欠. 피곤하여 하품하며 다음으로 미룬다는 데서 '버금'. 恣(마음대로 자)
弗 : 여기 저기 비뚤어 바르지 않다는 데서 '아니다'.
離 : 떠날 리离(짐승 발자국에 덫을 놓다→흩어지다)와 새 추隹. 덫으로 잡으려던 새를 놓쳤다는 데서 '떠나다'.
▶ 해설
인(仁)자에는 "어질다, 자애롭다, 인자(仁慈)하다/감각(感覺)이 있다, 민감(敏感)하다/사랑하다/불쌍히 여기다/현자(賢者)/박애(博愛)/자네/씨/과실(果實) 씨의 흰 알맹이,속살"의 여러가지 뜻이 있다.
유교에서 인(仁)은 인간의 근본 속성이고 가장 중요한 덕목이며 근본적인 가치로 여긴다.
공자는 '논어' 이인편에서 "밥을 먹는 동안에도, 급한 상황에서도, 엎어지고 자빠질 정도의 곤란한 상황에서도 인을 실천함을 어기지 않는다. : 君子無終食之間 違仁 造次 必於是 顚沛 必於是 (군자무종식지간 위인 조차 필어시 전패 필어시)"라 했다.
맹자는 인간 본성에서 나오는 네 가지 마음을 사단(四端)으로 표현했다. [仁의 단서인 측은지심惻隱之心, 의義의 단서인 수오지심羞惡之心, 예禮의 단서인 사양지심辭讓之心, 지智의 단서인 시비지심是非之心]. 인의 실마리(단서)인 측은지심의 예를 들어 설명했다. "아이가 우물가에 다가가 빠질 위험한 상황이 되면 모든 인간은 본능적 인의 마음이 생겨 아이를 위험에서 구하려한다." 이러한 측은지심은 인간에게 '인'이 선천적으로 지닌 단서로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