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디터김호정
총 4건
최신 순
방금 전
‘비창’ 1악장 클라이맥스 보라
이게 정명훈이 캐낸 소리다
2024.02.02
임윤찬, 11분48초에 틀렸다?
천만에, 베토벤식 폭탄 던졌다
2024.01.26
4분59초, 그의 왼손을 봐라
임윤찬 왜 피카소인지 안다
2024.01.19
----------------------------------------------------------------------------------------------------
2월 초 일본에서는 피아니스트 임윤찬(20)의 공연이 열렸습니다. 1일부터 11일까지 도쿄와 오사카 등 4개 도시에서 6회에 걸쳐 공연이 이어졌는데, 모든 공연의 입장권이 매진됐습니다. 글로벌 스타 임윤찬의 인기를 피부로 느낄 수 있습니다.
현장에서 임윤찬의 연주를 들으면 이런 생각이 들죠. ‘도대체 스무 살의 저 피아니스트는 무슨 생각을 하면서 연주하는 걸까.’
이번 주에는 피아노를 전공한 김호정 기자가 도쿄와 보스턴·뉴욕을 바삐 오가는 임윤찬을 직접 만나서 나눈 대화를 들려드립니다. 임윤찬의 특별하고 예술적인 상상력을 엿볼 수 있습니다. 그는 요즘 쇼팽에 관한 책을 읽고 있다고 했습니다.
‘더 클래식’ 임윤찬 3부작의 마지막입니다. 이번 기사 하단의 링크를 눌러 구글 폼을 작성해주시면, 인터뷰 전문이 들어간 PDF를 e메일로 보내드리겠습니다. 그의 말을 듣고 나면 임윤찬의 연주가 더욱 다르게 들릴 겁니다.
임윤찬 스타일 ③ : 진하고 특별한 상상에서 나오는 음악
피아니스트 임윤찬이 2월 일본에서 쇼팽 연습곡을 연주하는 장면. 사진 나고야 시라카와홀
“제대로 된 음악가라면 아무 대가를 바라지 않고 매일매일 산을 넘어봐야 한다고 생각해요.”
스무 살의 피아니스트 임윤찬이 이렇게 말하더군요. 요즘 그가 넘는 산은 쇼팽의 연습곡 전곡(27곡)입니다.
또 이런 말도 했습니다. “제 선생님(손민수 교수)이 그런 조언을 해주셨어요. 진정한 예술가들은 연습곡을 연습곡이라 보지 않는다고. 연습곡이 아니라 피아노 판타지(환상곡)라고요. 저는 사람의 인생에서 느낄 수 있는 감정이 연습곡에 가장 많이 들어갔다고 생각해요.”
그 말을 듣고서야 깨달았습니다. ‘그래서 음악이 달랐구나.’ 지금부터 임윤찬의 쇼팽 연습곡이 다르게 들리는 이유, 그의 마음에 있던 상상의 세계를 글로 풀어내 보겠습니다. 한 시간 남짓한 연주 시간 동안 임윤찬이 꼽은 ‘최고의 순간’도 들을 수 있습니다. 그가 이 음악에서 최고라 소개한 피아니스트들의 연주를 통해서 말입니다.
임윤찬의 90초 상상
가장 유명한 곡 중 하나인 ‘흑건’(작품번호 10중의 5번)을 보겠습니다. 오른손이 검은 건반만 아주 빠르게 치도록 돼 있는 특이한 작품이죠. 악보대로만 치기도 어렵습니다. 그런데 1분30초 정도였던 임윤찬의 ‘흑건’은 독특하고 특별했습니다. 속도를 확 늦췄다가 다시 빨라지는 해석이 인상적이었고요. 연주의 끝에는 마치 크리스털이 부서지는 것처럼 소리가 분산됐습니다....
-------------------------------------------------------------------------------------------------------------------------
reec**** 1시간 전
상상을 연습하다... 이 친구 연주도 궁금하지만 (나중에?)앞으로의 글이 매우 궁금해지는 1인. 흑건의 바수운노래와 흩날리는 아침햇살 , 백조의노래 상상의나래 .... 정말 재밌는 친구에요. 좋은 글 늘 감사합니다^^
----------------------------------------------------------------------------------------------------------
--------------------------------------------------------------------------------------------------------------
‘비창’ 1악장 클라이맥스 보라, 이게 정명훈이 캐낸 소리다
‘세계적인 지휘자’ ‘한국 최초의 지휘자’.
우리는 어쩌면 이런 표현에 너무 길들여졌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정명훈의 이름 앞에 늘 따라붙는 수식어지요. 1984년에 베를린필, 로열 콘세르트헤보 오케스트라, 뉴욕필, 1993년에 시카고 심포니를 지휘했으니 그럴 만도 합니다.
하지만 수식어를 떼면, 정명훈은 어떤 지휘자인가요? 그의 음악은 무엇이 다른가요?
결론부터 말하면 정명훈은 ‘소리에 매달리는 지휘자’입니다. 소리 말고 나머지는 종종 과감히 버리기도 합니다. 이게 무슨 이야기냐고요. 이번 주 ‘더 클래식’의 정명훈 스타일 분석에는 지휘자 김광현(43)이 함께합니다. 김광현은 경기필하모닉(부지휘자), 원주시향(음악감독)을 거친, 현재진행형 지휘자입니다. 최근 현장에서 가장 활발히 활동하는 그와 함께 정명훈의 스타일을 하나하나 파헤쳐 보겠습니다.
좀 안 맞아도 괜찮아
“베토벤 교향곡 9번 4악장의 시작 부분을 꼭 보세요.”
김광현은 지휘자들의 스타일을 이 부분에서 나눌 수 있다고 했습니다. 정명훈의 지휘를 먼저 보겠습니다.〈40분49초부터 재생되는지 확인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