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가오리目 Myliobatiformes
쥐가오리科 Mobulidae
○ 대왕쥐가오리 : Mobula birostris (Walbaum) (= Manta birostris)
► 이 명 : 만타가오리, 자이언트 만타
► 외국명 : (영) Giant manta, (일) Oniitomakiei (オニイトマキエイ, 귀신[유령]쥐가오리),
► 형 태 : 만타가오리는 줄여서 그냥 “만타”라고 부르는 일이 많으며, 쥐가오리科 중에서는 최대종으로 크기는 최대 체장 폭 910㎝, 체중 3톤에 이르지만 대개는 체반 폭 450㎝ 정도이다. 체반은 좌우가 긴 마름모꼴이며, 눈 앞에 박쥐의 귀와 같은 머리지느러미(두기)가 돌출해 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 이빨은 작고 위턱에는 없다. 입은 두부 앞쪽에 열려있고, 꼬리는 채찍 모양이다. 배지느러미 위쪽에 작은 등지느러미가 1개 있다. 독침은 없다.
몸의 형태는 다른 쥐가오리류와 마찬가지로 편평한 마름모꼴이며, 가늘고 긴 꼬리를 갖고 있다. 체색은 기본적으로 등쪽이 검은 색, 배쪽은 흰색이지만 각각의 개체에 따라서 다른 반점이나 찰과상 등을 볼 수 있으며, 이들이 개체를 식별하는 표시가 되기도 한다. 드물게 온몸이 검은 색의 개체도 볼 수 있는데 다이버들 사이에서는 “블랙 만타”로 불린다. 머리 앞끝의 양쪽에는 가슴지느러미에서 유래하는 머리지느러미라고 불리는 주걱 모양의 특수한 지느러미 1쌍이 있다. 이것은 자유롭게 늘어나기도 하고 둥글게 말리기도 하는데 먹이를 모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플랑크톤을 먹는 섭식 형태에 대응해서 다른 가오리류와는 달리 입은 머리 정면에서 열린다.
► 설 명 : 세계의 열대 및 아열대 해역, 특히 산호초 주변에 서식한다. 평소에는 외양의 표층을 유영하지만 연안 지역에서도 보이며, 최대 수심 1,000m에서도 발견된다. 열대 바다의 표층을 유영하며, 헤엄치면서 플랑크톤이나 부유성 갑각류, 소형 어류 등을 먹는다. 유영을 할 때에는 큰 가슴지느러미를 상하로 날개짓 하듯이 움직여 비교적 천천히 나아간다. 그러나 먹이가 되는 플랑크톤의 집단을 발견했을 때는 빠른 속도로 몇 번이고 공중제비 하듯이 상하 방향으로 선회한다. 이 때는 큰 입을 벌리고 바닷물과 함께 플랑크톤을 빨아들이고 아가미로 플랑크톤만 걸러내고 나머지 바닷물은 아가미 틈새로 배출한다. 또 다이버가 내는 기포에 반응해서 이러한 선회 행동을 보이는 것도 있다. 다른 특이한 행동으로는 가끔 해면에서 점프하는 행동이 알려져 있다. 몇 톤이나 나가는 거구가 공중으로 날아오르기 위해서는 상당한 에너지가 소요되지만 무엇 때문인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기생충을 떨어트리기 위한 행동이라든지 새끼의 출산을 위한 행동이라든지 다양한 설이 제기되고 있다.
대양을 회유하는 만타가오리는 단독으로 행동하며, 몇 마리의 빨판상어나 동갈방어를 거느리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런 어류는 만타가오리 곁에 달라붙거나 기대서 장거리를 이동한다. 이동하는 동안은 주인인 만타가오리가 남긴 음식이나 배설물, 몸에 묻은 기생충 등을 먹으며 영양을 섭취한다. 연안 지역에서는 무리를 지어 헤엄치는 만타가오리도 보인다. 이는 번식을 위해 모이는 것으로 생각되며, 정어리 등의 어류처럼 적으로부터 몸을 지키는 것이 목적은 아니다. 덩치 큰 만타가오리는 거의 천적이 없으며, 백상아리나 뱀상어 같은 대형 상어에게 습격을 당하지 않는 한 잡아 먹힐 염려가 없기 때문이다.
다이버들 사이에서 매우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다. 성격은 온순하며, 호기심이 왕성해서 사람을 잘 따른다. 장소에 따라서는 서식 밀도도 높으며, 그다지 다이빙의 경험이 없어도 만타가오리와의 바닷속 유영을 비교적 쉽게 즐길 수 있다.
특이한 형태와 크기 때문에 수족관에 전시되는 일도 많다. 만타가오리를 사육하기 위해서는 상당히 넓은 공간이 필요하지만 수족관의 대형 수조 전시가 보급되면서 만타가오리를 사육, 전시하는 것도 가능해 졌다. 오키나와에 위치한 수족관인 해유관(海遊館) 등은 대형 수조가 설치되어 세계 최대의 물고기인 고래상어와 함께 전시되고 있다. 고대 페루 모체 문화 유적에서는 본종을 본뜬 토기가 출토되고 있다.
번식기에는 수컷이 암컷을 쫓아다니며 구애 행동을 하기 때문에 지느러미 끝에 수컷의 이빨 자국이 있는 암컷 개체도 많이 확인된다. 임신 기간은 13개월 전후이며, 새끼는 자궁 내에서 미수정란이나 지질자궁액을 영양원으로 성장한다. 난태생으로 새끼는 총배출강을 통해 출산하며, 한번에 1~2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갓 태어난 새끼의 크기는 체반 폭이 100~120㎝, 체중은 50kg 정도이다. 그 후도 급격히 성장하며, 약 10년만에 성적으로 성숙한다. 수명은 20년 이상으로 예상되지만 50년 이상, 100년 이상이라는 설도 있어서 명확하지 않다. 어류 중에서는 가장 지능이 높은 어종의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필리핀, 멕시코, 모잠비크, 마다가스카르, 인도, 스리랑카, 브라질, 탄자니아, 인도네시아에서 어획되고 있다. 현지에서는 주로 지느러미, 가죽, 간, 어육, 아가미판이 소비되고 있지만, 최근에는 한의학의 약제로 건조된 쥐가오리류의 아가미판의 수요가 늘고 있으며, 동남아시아와 동아프리카에서의 고기잡이의 목적이 자급에서 상업적 목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 분 포 : 한국(남해안, 제주도), 일본(북해도 이남), 필리핀, 호주, 인도, 뉴질랜드, 미국 서부와 동해안의 남부 캘리포니아와 로드아일랜드, 아조레스 제도, 우루과이,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인도양, 태평양, 동서 대서양 연안 등 전 세계의 온대 및 열대 해역에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 비 고 : 근연종으로 암초대왕쥐가오리(Mobula alfredi , 영명 Reef manta ray)가 있다.
► 자 원 : 본종의 어획이 이루어지고 있는 남지나해, 필리핀, 술루해(Sulu sea), 멕시코 서해안, 스리랑카, 인도, 인도네시아에서는 개체 수 감소가 보고되고 있다. 번식, 출산, 유어의 성장에 빼놓을 수 없는 연안 지역에서의 어업, 수질 오염, 연안의 개발, 관광 상품화 등이 개체군에 미치는 영향은 잘 알지 못한다. 한 번에 출산하는 새기의 수가 적고 번식력이 약하기 때문에 한 번 개체군 수가 하락하면 회복에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추측된다. 하와이 제도나 야프(Yap) 섬 부근에 사는 개체군은 서식 지역에서 멀리 이동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이 국지적으로 멸종 위기에 빠질 경우에는 다른 개체군의 이입에 의한 자연 회복은 어렵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