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포이야기자료관>
군포시평생학습마을에 있는 군포 자료 전시관이다. 인구 30만의 도시 전시관치고는 빈약하기 한량없으나 그래도 시의 자료를 보존하고 전시하는 공간을 가지고 있는 것은 큰 다행이다. 언젠가는 지역박물관으로 독립된 공간에서 제대로 자료 전시를 하게 될 것으로 믿는다. 그러기 위한 전초기지로 자료축적의 근거지가 되기를 바란다.
1. 전시관 대강
명칭 : 군포이야기자료관
위치 : 경기도 군포시 수리산로 112 군포시평생학습마을 / 031-390-3080
개방일 : 월요일 - 토요일(09:00 - 18:00)
크기 : 75.06㎡(22.7평)
방문일 : 2024.11.20.
2. 둘러보기
군포의 역사와 인물에 대한 자료 및 관련 서적 등이 전시되어 있다. 인물로 정학묵, 김만기 등의 자료와 방짜유기와 백자도요지 관련 자료 및 관련서적 10여권이 전시되어 있다.
공간도 협소하고 자료도 빈약하다. 관련 인물들의 전시도 실체에 비해 매우 빈약하다. 앞으로 추가 발굴 전시되어야 할 자료와 그 인물 둘을 든다.
1) 옥담 이응희와 안양군
안양군의 현손 옥담 이응희는 병자호란 때 소실된 저술 이외에도 17세기 군포의 향촌 생활을 생생하게 담은 『옥담유고(玉潭遺稿)』, 『옥담사집(玉潭私集)』 등을 저술하였는데, 2009년 소명출판에서 출간되어 접할 수 있다. 안양군은 성종의 3남으로 귀인 정씨 소생인데, 연산군에게 동생 봉안군과 함께 사사되어 그 묘소가 경기도 군포시 산본동 산158-1에 있다.
안양군은 25세에 사사되어 사회활동을 제대로 하지 못한 채 요절하였으나 옥담 이응희는 천수를 누리면서 많은 저술 활동을 하였다. 그의 옥담 문집에는 당시 왕족이 아닌 지방 사족으로서 군포에서의 향촌 생활이 소상히 그려져 있는데, 특히 음식과 식재료에 관한 한시가 음식사에서 주목받고 있다. 음식 한시는 정감이나 사상을 읊기보다 식재료나 소재에 대한 관심을 중시하여 쓴 시로 교술적인 면모가 돋보인다. 당시의 식생활을 추측할 수 있는 자료로도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안양군이 아닌 그의 현손 이응희의 자료집을 분석하여 지역 인물을 조명하고, 당시의 지역사를 고구하는 일이 필요하다. 이응희는 산본 궁내동, 궁정동 언저리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2) 설파 조동일
설파 선생님은 서울대 국문과 교수시절 이곳 군포 산본으로 이사하여 30년 넘게 거주하고 있는 국문학자이다. 최근에는 국문학을 넘어 서경덕과 최한기에 연원을 둔 대등(생극)론 철학을 제시하여 헤겔을 뛰어넘는 새로운 세계관을 제시하면서 문사철을 아우르는 고래의 학문을 이어가고 있다.(<대등의 길>, <대등한 화합> 참조)
그는 잘 알려져 있는 <한국문학통사>, <세계문학사의 전개>를 위시하여 이미 단독 저서가 100권에 육박하는 국내 최고의 인문학자이자 세계문학 연구 권위자로서 여전히 엄청난 저술활동을 이어가면서 유튜브 <조동일문화대학>을 통하여 최근의 연구성과를 전달하고 있다. 그림에도 관심을 가져 강세황을 잇는 문인화를 그려 2,3차례 개인전을 연 바 있다.
사람들은 그의 고향인 영양군 일월면 주실마을에 가서는 시인 조지훈과 함께 설파 선생님을 찾으면서 정작 현재적으로 활동하는 거주지인 군포에서는 잘 알지 못한다. 그야말로 등하불명의 전형적인 사례라 할 수 있겠다. 한강이 노벨문학상을 받으면서 한국의 문학이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국문학과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 수준을 국내외적으로 높이기 위해서도 설파 선생님에 대한 관심이 더욱 필요한 시점이다.
정학묵 시권
*아래는 정학묵이 친족 형에게 보낸 서간
정학묵(鄭學黙)이 족대형(族大兄)에게 1844년 / 갑신12월에 보낸 서간이다.
1844년 정학묵(鄭學黙) 서간(書簡)
賀
_族大兄甲日獻壽啓.
在昔
_純廟己卯 , 我王考蓬原公
餙慶甲日. 而曾王考吏議
公 , 時享八十有五歲壽. 其
賀軸中, 有六十阿兒九耋
親之句, 後孫至今誦傳爲
盛事, 誠人家曠絶之慶
也. 是歲南至之下澣, 我
_族大兄設弧筵壽_高堂,
卽三世世慶也. 其_春府
大爺僉樞公 , 以_殊恩超通
政, 且享壽八十有二年, 而
彊康綏福, 罔俾專美於
我曾王考吏議公 , 嚮所謂
六十阿兒九耋親之句, 得不
爲今日準備語也哉? 仍伏念
吾_先祖積累之報, 在在後
孫, 得有此曠絶之慶於一門
之中. 凡爲吾兩家苗裔者,
抑亦承_先庥而世其慶,
則固不必專美於今日, 而
復有今日於後日也. 可不盛
矣也哉? 遂爲之啓曰,
伏以莫如齒莫如德, 類絳老而懸弧,
俾爾熾俾爾昌, 祈黃耇而酌斗.
月令建子,
天休用申.
恭惟我_族大兄, 孝友家聲,
詩禮庭訓.
朝耕而暮讀, 雅操則守分固窮,
昏定而晨省, 至行也供歡承順.
恩愛尤篤於弟兄姊妹, 和氣自生,
賙恤編及於鄕䣊里閭, 譽聲日至.
只可自悅於碩人薖軸, 宛爾作平地神仙,
若將終老於寒士布韋, 𦥞然視浮雲富貴.
第念六十年積累之盛,
宜致九五福嚮用之休.
屬當花甲壽老親之辰,
卽是萊子戱嬰兒之日.
星周十二月旬朔, 瑞蓂叶時,
日長八千歲春秋, 仙欞齊壽.
昆弟言無間, 相和以吹塤吹箎,
夫婦道造端, 偕樂如皷琴皷瑟.
本支炳靈於百世, 猶子桐孫,
姻婭團欒於一門, 松舞栢悅.
無彊惟休, 無彊惟恤, 寔天意之攸存,
必得其壽, 必得其名, 非人力之可致.
接芳隣而幸覩盛事,
擎華軸而恭修賀儀.
謹步元韻
吉慶君家自昔然,
高堂大耋享遐年. 一
陽佳節懸弧日, 萬壽
無彊獻斝筵. 鶴髮成
絲瑤瑟好, 鳳雛連舞
彩衣鮮. 祗幸_先庥
留不盡, 花樹叢中又
幾仙.
甲申 蜡月日, 族弟
學默 拜稿.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홈피)
원소장처 : 군포 속달 동래정씨 동래부원군 정난종 종가 / 현소장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출판정보:『고문서집성 97-동래정씨 동래부원군 정난종종가편-』(한국학중앙연구원, 2010) 283~285면
송자공교지
교지
정학묵에게 벼슬을 하사하는 교지
김만기 초상화
김만기 시호교지
숙종어찰. 장인 김만기에게 보낸 숙종의 편지
*김만기金萬基 소개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영숙(永淑), 호는 서석(瑞石) 또는 정관재(靜觀齋). 할아버지는 참판 김반(金槃)이고, 아버지는 생원 김익겸(金益兼)이며, 어머니는 해평윤씨(海平尹氏)로 참판 윤지(尹墀)의 딸이다. 형조참판 김장생(金長生)의 증손이자 인경왕후(仁敬王后)의 아버지이다. 작은아버지인 김익희(金益熙)에게서 수학했다.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이다.
1652년(효종 3) 사마시를 거쳐 이듬해 별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해 승문원에 등용되었다. 이어 주서 · 설서, 예조와 병조의 낭관, 지평 · 문학을 거쳐, 수찬 · 정언 · 교리 등을 역임하였다.
1657년 교리로서 글을 올려 『오례의(五禮儀)』의 복상제(服喪制) 등 잘못된 부분의 개정을 청하였다. 1659년 5월 효종이 죽고 자의대비(慈懿大妃)의 복상 문제로 논란이 일자, 기년설(朞年說)을 주장해 3년설을 주장하는 남인 윤선도(尹善道)를 공격하였다.
1671년 딸을 세자빈으로 들여보내고, 1673년영릉(寧陵)을 옮길 때에 산릉도감(山陵都監)의 당상관이 되었다. 1674년 7월 병조판서로서 다시 자의대비의 복제에 대해 소를 올려 3년상을 주장하였다.
그 해 숙종이 즉위하자 국구(國舅)로서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에 승진되고 광성부원군(光城府院君)에 봉해졌다. 총융사(摠戎使)를 겸관해 병권을 장악했고 김수항(金壽恒)의 천거로 대제학이 되었다.
1680년(숙종 6) 경신환국 때 훈련대장으로서 끝까지 굽히지 않고 남인과 맞섰다. 그리고 강만철(姜萬鐵) 등이 허적의 서자 허견(許堅)과 종실인 복창군(福昌君) · 복선군(福善君) · 복평군(福平君) 등이 역모를 꾀한다고 고발하자 이를 다스려 보사공신(保社功臣) 1등에 책록되었다.
아들 김진규(金鎭圭), 손자 김양택(金陽澤)의 3대가 문형(文衡)을 맡았다. 노론의 과격파로서 1689년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정권을 잡자 삭직되었다가 뒤에 복직되었다. 현종의 묘정에 배향되었고,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저서로는 『서석집(瑞石集)』 18권이 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재)
경기도무형문화재10호 방짜유기
방짜유기 제품들. 군포시에는 별도로 방짜유기전수교육관이 있어 제작 장면을 참관할 수 있다. 이곳에서는 제품 전시와 함께 판매도 한다.
군포, 10,000일의 기록
군포시 문화예술회관 10년사, 1998
시정백서(1989~1993), 군포시, 1989.11. 시 승격 후 군포시의 성장과 발전 과정 기술
'산밋' 사람들의 삶과 얼, 수리산자연학교총서1 군포의 역사와 문화
대야동 마을지
군포시의 역사와 문화유적, 세종대박물관/군포시, 2004,
군포시의 마을신앙, 군포시 2002
수리산 생태도감 동물편/ 식물 지질편, 군포시 군포의왕교육청
아래는 같은 1층에 있는 군포 지역화가 전시회 자료이다.
지역화가 전시회 <송상원전> <2024년 군포시평생학습마을 전시공간 지원사업 선정 전시
전시제목 : 제6회 송상원 개인전 「이무기와 여행을 떠나요」
전시분야: 회화
전시기간: 11.13.(수)~11.20.(수) 10:00~18:00 / 일요일 휴관
전시장소: 군포시평생학습마을 평생교육관 1층 전시실(상상숲)
#군포역사 #군포이야기전시관 #군포인물 #군포유물 #군포화가 #군포가볼만한곳 #김만기 #옥담이응희 #조동일 #대등론 #설파조동일 #조동일문화대학
첫댓글 군포 소개 감사합니다
들러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