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자는 성 요셉 상을 선물 받았습니다. 요셉은 꿈을 통해 영감을 받아 하느님의 뜻을 알아듣고, 아내 마리아와 아들 예수를 잘 인도하신 분입니다. 프란치스코 교황님 책상 위엔 잠자는 요셉상이 있는데, 어려운 일이 생기면 지향을 적어 그 밑에 넣어두신답니다. 그러면 잘 전구해주시기에 맡겨드리는 겁니다. 그런데 우리가 하느님께 청할 땐 꼭 영적인 것이어야만 한다고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삶에 필요한 일상적 지향들은 신앙이 부족한 사람들이나 하는 걸로 여기는 것이지요. 그러다 보니 하느님을 우리의 '아빠'라고 하면서도 가족처럼 친밀하게 대화 하거나, 일상의 사소함을 시시콜콜하게 말씀드리고 상의하는 게 어려운 겁니다. 가족이지만 편하고 스스럼없는 가족은 아니었던가봅니다.
가족은 늘 함께하는 것이라는데 이때 물리적인 차원은 물론, 정서적 심리적 관계적인 친밀함도 중요해 보입니다. 제 딸들은 맞벌이 가정에서 자랐습니다. 아무리 힘든 일이 있어도 부모에게 도움을 청하거나 상의한 일이 별로 없습니다. ‘엄마도 힘든데 굳이 나까지 말해서 뭐해. 폐 끼치지 말고 내 선에서 해결해야지.’라는 생각에 혼자 감당해 왔던 모양입니다. 가족을 위해 열심히 희생했다고 생각했는데, 오히려 가족을 외롭게 한 겁니다. 딸들은 번 아웃이 오거나 힘든 일이 생길 때만 하느님을 찾게 된다고 합니다. 집안의 큰 일, 큰 문제에 직면하다보니, 작고 사소한 일들은 아무것도 아니라고 생각한 거지요. 부모 자식 간에 힘든 감정을 나눌만한 여유도 없었거니와 부모에게 폐 끼치지 않고 알아서 자기를 책임져야 했으니까요. 이른바 각자도생, 스스로 살아남은 서바이벌(생존형) 가족이었던 겁니다.
가족이 서로를 공감해주며 대화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요. 주님과의 관계도 마찬가지입니다. 일상의 시시콜콜한 것까지 주님께 가져가서 도우심을 청하고, 힘들 때만이 아닌 기쁘고 편안할 때에도 항상 주님을 찾고 불러 보는 것 역시 훈련이 필요합니다. 하여 저희 가족은 사소한 일에도 관심을 보이며, 몸과 마음은 편안한지 감정 상태는 괜찮은지 물어봐주고 공감해주기로 했습니다. 이러한 훈련이 가정에서부터 이뤄지게 되면, 하느님과의 관계도 부모, 자식 간처럼 가깝고 친밀하고 다정한 사이가 될 수 있지 않을까요. 아빌라의 성녀 데레사께서는 하느님과의 친밀한 관계를 늘 강조하시며, ‘묵상기도란 나를 사랑하시는 하느님께서 지금 내 앞에 계시다는 것을 믿고 단둘이 자주 대화를 나누며, 친밀한 우정을 쌓는 것입니다’(자서전 8,5) 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리하여 저는 지향 하나를 더하여 잠자는 요셉 상 아래에 써 두었습니다. 저희 가족이 하느님을 부모처럼 만나 사귀며, 시시콜콜한 일들까지 함께 공유하고 상의하는 친밀한 사이가 되게 해달라고 말이지요. 저희 모두는 혼자서 모든 것을 감당해 내는 영적 고아가 아닌, 하느님을 ‘아빠 아버지’라고 부르는 그분의 살가운 자녀들입니다. 하느님도 우리의 가족이십니다. 이 얼마나 위대한 선물인지요.
첫댓글 서울회보에 박지현 요셉피나님의 글리 게재되었네요
박지현 요셉피나님 대단하십니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