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시대가 정리된 이후 홀가분한 기분으로 마스크를 완전히 벗은 채 반가운 학회 회원들을 모시고 명동 한국은행 옆에 있는 소테츠 호텔에서 [2023년도 (사)한국취업진로학회 춘계 공동학술발표대회 : 포스트 코로나 소수ㆍ수시채용시대, 취업역량 강화전략]을 개최했다(2023.5.26: 회장ㆍ안성식 교수).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기조 강연으로 "전 대통령 소속 정책기획위원회 자문위원인 이대성 교수"의 <포스트 코로나 및 4차 산업혁명시대, 공채 트렌드 분석> 하에 모두 5개 분야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1주제는 <은행권 핀테크 시대, 직무역량 강화 전략(하나은행 김정하)>, 2주제는 <역량면접의 핵심 프리젠테이션 면접 공략기법(솔브릿지 한준기 교수)>, 3주제는 <최종 합격의 관문, 임원면접 대응전략(한국바른채용인증원 조지용 원장)>, 4주제는 <급변하는 외국사 채용 트렌드, 정보분석이 입사의 관건(GroupM Korea 김은애 전무)>, 5주제는 <자기소개서 40년 전개과정 분석과 선진형태 제안 방향(경희대 이종구 교수. 본 학회 3대 회장)> 이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취업을 준비하는 대한민국 모든 청년들을 위한 유익한 주제라는 점에서 큰 관심과 함께 시종일관 진지하게 학술대회가 진행되었다. 이번에 발표된 각 주제가 우리 청년들의 취업전선에 일조가 되길 기대한다♧.
♤본 학회 임원진 기념촬영 광경(사진은 뉴스앤잡 제공).
♤행사 오프닝 인사를 하고 있는 6대 회장 안성식 교수(경희사이버대학교).
♤2010년 노동부 인가, 본 학회를 함께 창립한 이재춘 교수님께서 오는 8월 정년 퇴임을 앞두고 있는 관계로 필자가 학회 임원진을 대표해서 공로패를 수여하고 있다. 당시 본 학회를 만들기 위해 과천에 있던 노동부 청사를 둘이서 문지방이 닳도록 서류뭉치를 안고 넘나들었었다. 이제 본 학회는 한국연구재단(한국학술지 인용색인참조)영향력 지수(IF)에서 우리나라 2679개 학술지 가운데 5월 13일 현재 11위(2년치 IF 3.50)에 랭크 돼 있는 탑 클래스급 저널이 되었다.
♤기조 강연으로 [포스트 코로나 및 4차산업혁명시대, 공채 트렌드 분석]에 대해 발표하고 있는 전 대통령 소속 정책기획위원회 이대성 자문위원(현, 대진대 초빙교수 및 Brown consulting group CEO).
♤1주제 "은행권 취업, 핵심역량" 하나은행 김정하 선생 발표 광경.
♤2주제 "경쟁력 있는 프리젠테이션 스킬" 발표하는 솔브릿지 한준기 교수(토론자로는 직업능력심사평가원 정선정 센터장과 덕성여대 인재개발처 장영수 센터장이 맡았다).
♤3주제 "임원면접 대응전략" 발표하는 한국바른채용인증원 조지용 원장(토론자로는 한국표준협회 강수영 팀장과 안양대 김수연 교수가 맡았다).
♤4주제 "외국사 취업 전략" 발표하는 GroupM Korea 김은애 전무(전, 루이비통코리아 인사부 이사).
♤5주제 "자기소개서 40년 전개과정 분석과 선진형태 제안"에 대해서 발표하는 경희대 이종구 교수. 2부 사회는 한국고용정보원 송수종 연구위원(제일 왼편)이 진행했다.
♤필자가 발표한 5주제에 대한 토론자로는 한국산업인력공단 김정우 박사(필자 오른쪽)와 동덕여대 이종찬 박사가 맡았다.
♤행사를 마치고 열린 친교의 장인 리셉션 전경.
♤본 행사, 주제 발표자들과 토론자들 그리고 사회자들이 함께 한 정겨운 리셉션 광경(좌측부터 시계방향으로 진서현 교수, 한준기 교수, 김수연 교수, 송수종 연구위원, 김호원 연구위원, 조지용 원장, 이재춘 교수, 이종구 교수).
♤한국취업진로학회 3대 회장(필자), 4대 회장(김홍유 교수), 6대 회장(현, 안성식 교수ㆍ좌측)이 함께 했다.
첫댓글 큰일을 했어요
대단하고
수고가 많았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