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주의 茶이야기 <36> 원효의 무애(無碍)
이제까지 살펴본 것처럼 일본다도의 근원은 초암차입니다. 초암차는 다시 정신적 원류와 생활화를 위한 실천 방법으로 나누어 살필 수 있습니다. 차실과 차 도구, 차 달이는 법과 마시는 일에 내재된 역사와 변천사 등은 그 실천방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제부터는 초암차의 사상적 기원을 이루고 있는 원효와 매월당의 차정신(茶精神)에 관하여 살펴볼 작정입니다.
초암차 정신은 “모든 것에 걸림이 없는 이는 단숨에 생사를 벗어난다”는 화엄경 한 구절에서 우주적 깨달음을 이룬 뒤 무애(無碍) 사상을 펼쳐 보인 원효에서 시작되었습니다.
무애란 지극히 공평하여 사사로움이 없는 마음입니다. 이는 뭇삶들을 이롭게 함이며, 중생의 괴로움을 덜어주고 즐거움을 건네주는 것이며, 자유의 실천이며 아무 거리낌 없음입니다. 참다운 깨달음은 반드시 사회적 실천으로 드러납니다.
원효의 정신세계를 가장 상징적으로 표현해 내는 것이 무애무(舞), 무애가(歌), 무애차(茶)지요.
권력이나 소임을 얻기 위해 온갖 권모술수를 쓰는 귀족불교의 폐해를 극복하고, 어떻게 하면 고통받는 현실 인간들의 짐을 덜어주고 즐거움을 줄 수 있을 지 고뇌하던 나머지 깨달은 것이 무애사상이지요.
원효의 무애사상은 깨달음과 나눔이라는 두 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깨달은 바를 세상에 나눠줄 수 없다면 팔만대장경도 고름 닦는 걸레요, 밑 닦는 휴지조각에 불과하다는 강렬한 민중의식이 그속에는 충만해 있습니다.
참된 수행자란 적나라한 인간의 모습, 사람 사는 냄새가 나는 모습을 통해 그들을 이해하고 그들과 함께하는 삶을 사는 것이라고 여겼지요. 그들이 기뻐할 때 더불어 기뻐해주고 그들이 아파할 때 함께 아픔을 나누는 것이 수행자의 본분이라 여긴 것이지요.
그러기 위해서는 벌거숭이 그대로의 인간 삶, 소박한 모습, 진실한 인간 이해 방식이 가장 급했지요. 그런 이해의 방식으로 원효가 만든 것이 무애춤, 무애노래, 무애차였습니다.
무애춤은 기쁨이나 슬픔을 아무런 격식이나 전제된 것 없이 속에서 우러나는 대로 팔과 다리를 흔들고 머리를 흔드는 춤입니다. 무애노래는 누구든 따라 부를 수 있는 ‘나무아미타불’을 큰소리로 외치면서 춤을 추는 것입니다.
그리고 무애차는 굳이 차나무 잎을 가공하여 우려낸 것이 아니라도 목마를 때 갈증을 달래주고 허기질 때 주린 창자를 달래주는 맑은 물이나 따뜻한 국물을 뜻합니다. 이때 무애차는 반드시 여러 사람이 함께 나누어 마시는 것을 말합니다. 여럿이 있을 때 마시는 순서나 격식도 따로 정해져 있지 않고 오직 모두가 평등하게 만족할 수 있는 방법이면 그것으로 충분합니다.
원효의 무애사상은 신라의 삼국통일 전쟁으로 인하여 얼룩지고 피폐해진 인민들의 마음을 따뜻이 감싸주기 위한 것입니다만, 신라 사회에서는 원효를 파계승이라 하여 철저하게 소외시켰지요. 그때 일본에서는 이같은 원효의 차정신을 놀라운 마음으로 모셔가서 그들 사회의 혼돈과 무지를 일깨우는 데 활용했습니다. 그 증거가 ‘삼국사기’ 권 제46 열전 제6 설총(薛聰)조에 있습니다.
설총의 아들 중업(仲業)이 신라 사신으로 일본에 갔을 때 원효의 ‘금강삼매론’을 읽은 일본승려가 중업을 반기는 장면인데 서기 779년의 일입니다.
-----------------------------------------------------------------
(중략) (일본의) 서대사의 차올리는 의식은 매우 독특한 모양을 하고 있었는데, 불단에 차를 올린 뒤에는 절 주변 사람들을 초대하여 차를 함께 나눠 마셨거든요. 사람마다 차그릇을 따로 정하지 않고 큼직한 찻사발(일본에서는 오우부쿠라 했음)에다 차를 그득 담아서는 모인 사람들이 차례로 돌려가며 마셨습니다.
차를 한 그릇에 담아 여럿이서 돌려 마시는 풍습은 일본에 없던 낯선 것이었는데, 이는 원효의 무애차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오우부쿠라는 찻사발을 일본의 어떤 전설에서는 무애 찻사발이라고 전하고 있습니다.(생략)
원효의 무애사상을 실천하는 한 방법인 무애차는 일찍이 원효가 신라의 서민, 천민들과 함께 생활하면서 그들로부터 배운 음식 나눠먹는 형식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신라 서민, 천민들은 가난한데다 먹을 것이 부족하여 그들 특유의 공평한 분배 방식을 가지고 있었지요.
큼직한 바가지 하나에다 먹을 것을 구걸하여 담았지요. 음식을 얻어오면 바가지를 가운데 놓고 빙 둘러 앉습니다. 정해진 순서에 따라 바가지에 손을 넣어 한 움큼씩 음식을 집어먹거나 숟가락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옆사람을 생각하여 늘 조금만 덜어내지요. 국물이나 숭늉물도 그렇게 돌려 마셨습니다. 원효는 그 모양을 보고 크게 깨달았지요. 그렇게 나눠먹고는 박을 두드리면서 춤을 추고 노래했습니다. 먹이를 준 분들에게 감사하는 뜻이지요. 여기서 농차가 비롯되었습니다.
(정동주의 茶이야기 <37> 일본의 원효사상)
원효는 삼국통일 전쟁이 남긴 비극의 얼룩을 지워내면서 인간의 고통이 얼마나 깊고 크며, 인간에 대한 불쌍함과 애처러움은 또 얼마나 큰 힘을 지녔는지를 알고 싶었습니다.
원효가 깨달은 것은 살아 있는 모든 것들에 대한 따뜻한 마음을 낼 수 있는 것이 대비심(大悲心)이며 보살의 존재 이유라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한 지붕 밑에서 한 그릇에 담긴 밥을 함께 먹는 것과 같은 삶을 실천했습니다. 민중속으로 들어가 함께 지내면서 그들을 즐겁게 해주는 삶을 추구했지요.
바가지 하나에 담겨 있는 밥이나 국물을 골고루 나눠 먹으면서 해맑게 웃고, 먹고난 뒤에는 춤추고 노래하여 세상 근심을 덜어내는 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항상 밥이나 국물을 담는 바가지였습니다. 마치 석가모니 시대의 흙발우가 지닌 의미와도 닮았지요.
이같은 원효의 무애사상이 일본에 전파되어 무애차가 되고, 다시 농차라는 이름의 초암차 형식이 생겨난 것입니다/정동주의 茶이야기 <38> 무애사상의 내력
관련자료 링크보기
2-2090-가루로 된 차 (말차(抹茶, 가루차), 가루녹차, 분차.) 종합
가루로 된 차 (말차(抹茶, 가루차), 가루녹차, 분차.)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