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질문이 생겨서 글 남깁니다!
규준참조평가는 상대평가로서 학생들을 서열화하여 상대적 위치를 알 수 있고, 준거참조평가는 절대평가로서 학생들의 목표달성도를 알 수 있는 역할을 한다고 이해했습니다. 또, 상대평가는 측정관과 관련되어 있으며 양적평가 또한 마찬가지라고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양적평가의 장점으로 학생들의 상대적 위치와 목표달성도 둘 다를 파악할 수 있다고 해서 의문이 생겼습니다. 양적평가에는 상대평가와 절대평가 둘 다가 해당되는 것인가요?
감사합니다!
첫댓글 네 맞아요~교수님들이 표로써 정리해서 뭔가 눈에 보이게끔 하려고 하시는데, 사실 학습자 입장에서 물음표가 생기는 경우가 있어요. 교수님들에게 해당 부분 물어보면 말씀하시는 것이 꼭 상대평가=측정관=양적평가라는 것이 아니라 상대평가는 측정관과 양적평가와 관련성이 높다 라는 말씀들을 하세요. 즉, 무조건 1:1대응이 아니라 상대평가는 점수를 수치화해서(측정, 양적) 서열화하는 평가이니 측, 양의 특성이 높다라고 하는 것이죠
그런데 절대평가라고 해서 수치화하지 않는 것이 아니죠. 목표를 수치화해서 그것을 달성했는지 여부를 평가하면 그것 역시도 양적 평가라고 할 수는 있지만, 절대평가가 꼭 수치적인 목표달성도 여부만 평가하는 것이 아니다보니 절대평가 = 양적 평가는 성립하기가 어렵게 되는 것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