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th Olympic Games: YOG
5 개최지의 조건 ¶
위의 목적 부분에서도 알 수 있겠지만 전 세계를 하나로 본다는 청소년 올림픽의 취지에 따라 개/폐회식에서 각 나라의 국기를 가지고 올 수 없다. 모든 선수들은 올림픽기 앞에 하나되는 개/폐회식을 한다.
8.1 하계 청소년 올림픽 개최 도시 ¶
청소년 하계 올림픽 목록 | ||||
회기 | 연도 | 개최국가 | 개최도시 | 비고 |
1 | 2010년 | 싱가포르 | 싱가포르 청소년 하계올림픽 | 최초의 하계 청소년 올림픽 |
2 | 2014년 | 중화인민공화국 | 난징 청소년 하계올림픽 | |
3 | 2018년 | 아르헨티나 | 부에노스 아이레스 청소년 하계올림픽 |
8.2 동계 청소년 올림픽 개최 도시 ¶
청소년 동계 올림픽 목록 | ||||
회기 | 연도 | 개최국가 | 개최도시 | 비고 |
1 | 2012년 | 오스트리아 | 인스브루크 청소년 동계올림픽 | 최초의 동계 청소년 올림픽 |
2 | 2016년 | 노르웨이 | 릴레함메르 청소년 동계올림픽 | |
3 | 2020년 | 미정 | 미정 |
----
- [1] 2014 소치 동계올림픽 개최가 결정된 그 총회 맞다.(...)
- [2] 이전 편집에서는 94년 릴레함메르 대회 때 만14세의 나이로 금메달을 딴 김윤미 선수로 인해 청소년 올림픽 출전연령이 만14~18세로 제한되었으머 성인 올림픽 참가자격은 만 19세 이상에 한한다고 서술했으나 근거없는 이야기이다. 2014 소치 동계올림픽 출전이 유력시되는 러시아의 피겨선수 툭타미셰바만 봐도 96년생, 2014년 기준으로 만18세이다.
- [3] 제1회 청소년 올림픽을 개최하였던 싱가포르의 경우에는 개최 준비로만 7500만 달러를 썼다고 한다. 물론 그 이후에 추가적인 비용이 얼마나 더 들어갔을 것인가에 대해선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래도 싱가포르 청소년올림픽은 매우 성공리에 개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