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현 못할 비(悱)자는 의부(義符)로 마음 심(心,㣺,忄)자에 성부(聲符)로 아닐 비(非)자를 했습니다. 아닐 비(非)자는 새의 깃털을 그려서 새가 날아가 없음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마음 심(心,㣺,忄)자와 아닐 비(非)자를 좌우(左右)로 배열하면 표현 못할 비(悱)자가 됩니다. 비측(悱惻) 비비(悱悱) 전면비측(纏綿悱惻) 불비불발(不悱不發) 분비(憤悱) 불계비(不啓悱)
도지개 비(棐)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아닐 비(非)자를 했습니다. 아닐 비(非)자는 새의 날개 깃털을 그린 글자입니다. 새가 날아가 없어졌다는 표시를 한 글자입니다. 도지개는 뒤틀린 활을 바로 잡는 도구입니다. 비중(棐仲) 비궤(棐几) 비궤연모자(棐几延毛子) 하초비(何楚棐) 윤비(尹棐) 비림(棐林) 정백회공어비(鄭伯會公於棐)
강 이름 비(淠)자는 의부(義符)로 물 수(水,氵)자 변에 성부(聲符)로 줄 비(畀,畁)자를 했습니다. 줄 비(畀,畁)자는 밭 전(田)자나 말미암을 유(由)자 아래에 대 기(丌)자를 해서, 높이 설치한 모양을 표시했습니다. 밭이나 농작물이 싹이 난 밭을 받들어 준다는 뜻입니다. 비(淠)라는 강은 안휘성(安徽省) 곽산현(霍山縣)에서 발원하여 동북쪽으로 흐른다고 합니다. 비하(淠河) 비동(淠東) 비사항관구(淠史杭灌區) 비강명야(淠江名也) 비파경주(淠波涇舟)
암 메추라기 비(痺)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낮을 비(卑)자를 했습니다. 낮을 비(卑)자는 갑옷 갑(甲)자 아래에 손 수(手,扌)자를 해서, 갑옷을 받쳐 들고 있는 모습을 표시한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비감(痺疳) 비약(痺藥) 마비(麻痺) 비만(痺鰻) 심장마비(心臟痲痺)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