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때 우리가 지나간 곳은 목화밭 / 김지율
1
눈 위에 또 눈이 쌓이고
군화 안의 양말은 이미 얼어 있었다
길가에 쌓인 눈을 치우며
눈을 크게 뜨면 너무 많은 것들이 보여서요
가끔씩 나는 네가 따뜻하고 아름답다고 생각했다
머리의 열이 내려가지 않았다
눈이 이렇게 많이 온 건 처음이야
상사는 삽을 더 깊이 찔러넣으라고 했다
눈이 쌓이고 또 쌓여 앞이 보이지 않았다
세상엔 맞지 않은 일기예보가 너무 많아요
방한복 위에 떨어진 콧물은
이미 얼어 있었고
아무도 여기가 천국이라는 것을 의심하지 않았다
2
겨울이 지나고 있었다 눈보라가 휘몰아치던 날 너는 눈 속으로 뛰어들었다 나는 너의 뒷모습을 보며 이 계절 동안 우리에게 필요한 건 빈방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 마스크를 끼고 다 같이 웃고 있을 때 상사가 한 명씩 호명했다 조금은 시끄럽고 조금은 슬프게 눈 속에 있던 발자국 위에 또 눈이 쌓였다 얼은 손을 잡고 발을 동동 굴렀다 너는 호주머니 속에서 미지근한 핫팩을 꺼내 주었다 그날 배낭 속의 물은 모두 얼어 있었고 너의 눈썹 위에도 흰 눈이 쌓여 있었다 회화나무 밑으로 흰 그림자가 지나갔다 춥고 적막한 하루였다 누군가에게 받은 위문 편지에는 늦어서 미안하다고 이제 곧 봄이 올 거라고 했다 그날 밤은 아무도 울지 않았다
3
쌓인 눈밭을 걸었다
깃발을 들고 푹푹 쌓인 눈을 밟으며
앞으로
앞으로 걸었다
지난 여름 남쪽 바닷가의 게스트하우스에는 미성년자들이 많았고 너는 얇은 손목으로 저기요, 라고 더 나은 사람처럼 말했다
발이 눈 속으로 푹푹 빠졌다
온몸이 땀으로 젖고
숨을 들이쉬고 내쉴 때마다
하얀 입김이 얼었다 녹았다
모르는 길을 걸어서 모르는
장소를 지났다
기나긴 행렬 끝에서
우리는 왜 걷고 있는지 아무도 묻지 않았다 아무도
한쪽 다리를 잃은 병사와 우리의 구호에 대해 묻지 않았다
그날 누군가가 흰 깃발을 높이 들었고
묶은 신발 끈이 자꾸 풀렸다
행렬은 끝나지 않았다
손에 든 총은 너무 무거웠고
물집이 생긴 쪽의 발이 더 얼어 있었다
쌓인 눈길을 걷고 또 걸었다
해가 지자 마을 바깥에서는
자주 폭죽 소리가 들렸고
그 계절 내내 한파가 끝나지 않았다
월간 『현대시』 2021년 3월호 발표
김지율 시인
경남 진주에서 출생. 2009년 《시를 사랑하는 사람들》을 통해 등단. 문학박사. 저서로는 시집으로 『내 이름은 구운몽』(한국문연, 2018)과 시인과의 대담집 『침묵』, 詩네마 산문집 『아직 돌아오지 않은 것들』과 학술 연구서 『한국 현대시의 근대성과 미적 부정성』이 있음. 2013년 서울문화재단 창작지원금 수혜. 웹진 『시인광장』 편집장 역임.
첫댓글 옛날에는 눈이 많이 내렸지요
군 생활을 하셨는지요
그때는 재설작업이 힘들었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