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편에서는 절에 관련 된 것에 대하여 다뤄보고자 합니다
1. 절의 발생기원
절은 불교의 사원이다.
절이란 부처를 조각한 불상을 모시고 승려들이 거주하면서 수행하며 부처의 가르침을 전해주는 곳이다.
석가모니 당시 인도의 승려들은 일정한 거주지가 없이 독신으로 탁발 수행하였다.
숲속의 동굴이나 나무 아래서 좌선을 하는 방법으로 수행하는 이들에겐 우기에는 수행 어려웠다.
그래서 우기인 석달 동안 떠돌아 다니지 않고 한곳에 머물며 수행하는 규율을 정했다.
왕족이나 부유한 귀족들은 이들에게 수행할 장소를 기증하게 되는데이것이 절의 발생 기원이 된다
바로 죽림정사이다
2. 왜 절이라 부르는 가
흔히 절에 오면 절을 많이 해야 하기 때문에 라는 설도있고
하나는 삼국사기에 보면 고구려에서 신라로 불교가 전파될 때 승려 아도가 박해를 피해 지금의 구미시의 모례의 집에 숨어 살았다고 한다.
모례의 집을 우리말로 텔례의 집이라하며 텔이 덜로 바뀌어 나중에 절이 되었다는 설이다
3. 절이 갖추어야 할 7대요소
불교의 신앙공간인 절은 7가지 요소를 갖춰야 하는데 바로 금당, 경당, 승당, 종당, 탑, 강당, 식당이다.
[금당] 본존불을 안치하는 절의 중심 건물
[경당] 예불을 드리는 공간
[승당]승려들이 수행하거나 거처하는 집
[종당] 종을 설치해둔 곳
[강당]사찰에서 경전(經典)을 강(講)하거나 법을 설(說)하는 장소.
[식당] 음식을 먹으며 불도를 수행하는 장소
[탑] 탑도 예전에는 하나의 독립된 건물인 경우가 많아 당으로 보았다고 함
7가지를 모두 갖춘 절은 칠당가람으로도 불다고 함
4. 절이 산으로 간 이유
우리나라가 처음 불교가 전파되었을때 대부분 절은 시가지에 세워진 경우가 많았다.고려 태조 왕건이 개성에 성내만 10여개가 있었고 신라 경주의 경우는 삼국유사에 기록하기를 절이 밤하늘에 별처럼 널려 있다고 했다.하지만 오늘날에는 명산대찰이란 말이 나올 정도로 대부분의 절은 산속으로 자리한다.
그이유는 첫째로 우리 민족의 산악 숭배사상 때문이다.
우리민족의 산악 숭배사상이 불교에 흡수되는 과정에서 백두대간의 신성한 기운이 모이는 곳에 절을 세우게 된 것이다.
학교다닐때 교가를 보면 00산 줄기 뻗어 ~,00산 정기를 이어받아 ---
둘째는 선종과 풍수사상이다.
신라말 선종이 전해지자 귀족들은 선종을 이단으로 거세게 몰아 붙였다.
이로서 선종은 지방을 근거로 선종 9산으로 발전하게 되고 깊은 산을 중심으로 선종 사찰이 세워지게 된 것이다.
참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한적한 산속만큼 좋은 장소도 한몫을 했을 것이다.
세번째는 조선시대의 억불정책이다.
세종대왕때에는 전국 36개 절만을 인정하고 그 외는 양반들의 유흥지로 또는 절을 부수고 서원을 지었다.
결국 절은 산으로 갈 수밖에 없었다.
5. 삼보사찰(三寶寺刹)
삼보 사찰의 삼보는 불(佛),법(法),승(僧)의 세가지 보물을 말하는 것으로 각각 유명한 세곳의 절에 붙여 졌다
(1) 통도사 (영축총림)
부처를 상징하는 진신리를 모시고 있는 금강계단이 있어 불보사찰이라고 한다
(2) 해인사(해인총림)
부처의 가르침을 집대성한 팔만대장경을 보관하고 있는 법보사찰이다
(3) 송광사(조계총림)
고려 중기의 승려 보조국사 지눌이 당시 타락한 고려의 불교를 바로 잡아
우리나라 불교의 새로운 전통을 확립한 곳이다.16명의 국사를 배출한 승보사찰이다.
6. 절을 나타내는 다양한 이름
(1) 사(寺)
절 전체를 가르키는 말이다
(2) 원(院)
절 가운데 특수한 기능을 하는 곳 에를 들면 선원,강원,율원 등이 있다
(3) 암(菴)
산속에 있는 작은 기도 공간이다.
(4) 총림
선원,강원,율원을 모두 갖춘 곳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