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 밥상머리에는
할아버지 할머니 얼굴이 있었고
어머니 아버지 얼굴과
형과 동생과 누나의 얼굴이 맛있게 놓여 있었습니다
가끔 이웃집 아저씨와 아주머니
먼 친척들이 와서
밥상머리에 간식처럼 앉아 있었습니다
어떤 때는 외지에 나가 사는
고모와 삼촌이 외식처럼 앉아 있기도 했습니다
이런 얼굴들이 풀잎반찬과 잘 어울렸습니다
그러나 지금 내 새벽 밥상머리에는
고기반찬이 가득한 늦은 저녁 밥상머리에는
아들도 딸도 아내도 없습니다
모두 밥을 사료처럼 퍼 넣고
직장으로 학교로 동창회로 나간 것입니다
밥상머리에 얼굴반찬이 없으니
인생에 재미라는 영양가가 없습니다
- 공광규 시 ‘얼굴반찬’
* 첫째가 작장의 위치에 따라서 출퇴근의 사간을 아끼고자 안국동의 근처로 독립을 해 나가고, 둘째도 언니와 비슷한 논리로 독립해 나가더니, 몇 해 지나서 언니보다 먼저 결혼을 해서 마포에 Apt를 구해서 신랑과 분가를 했다. 아이들이 떠나간 집에는 빈방이 남았고 청소는 결국에는 내 몫이라 이것저것 책들을 버리고 정리를 하다 보니 내가 버리지 못할 것들이 존재한다. 아이들이 집에 오면, 전화가 오면 물어서 정리해야지~ 하고 생각하다가 얼굴을 보면 반가움에 정작 물어 보지도 못한다.
마눌님이 학교에서 정년퇴직을 하고, 둘이서 생활을 하다 보니 생활이 쓸쓸하다. 아이들도 생활에 바쁘고, 할아버지, 할머니 제삿날에나 핑계 삼아 자주 모였는데 이것도 간소화하니 일 년에 두 번 얼굴을 보면 잘 보았다 한다. 자식들이야 키우면서 알게 모르게 힘이 되어준 존재이니, 스스로 잘 살 수 있기를 항상 기원한다. 이제는 장인, 장모에게 힘이 돼 주어야 하는데, 내가 몸이 아프니 마음 같지가 않아 죄송하다.
최근, 가족 들에게 “사랑합니다, 사랑한다” 말하기를 살천하고 있는데,, 전화로, 문자로, 정말 어렵고 눈물이 난다. 나도 이제 나이를 먹었나 보다. 올해가 다 가기 전에 가족 모두에게 실천할 수 있을까?! 시작이 반이다.
첫댓글 예전에 외할머니께서
셋째외삼촌이 군대간사이
삼촌방을 蠶室로 꾸미면서
삼촌의 학창시절 추억이 깃든 문집이며 책등을
몽땅 리어카 고믈상에게 넘겼단다.
말수도 적고 순한 삼촌이
유독 그건에 대하여 예민하게 반응하는걸
나는 똑똑히 보았기에
애들 분가하고 장가간 담에도
버릴물건 담아놓고 검열을 마치고 버렸다.ㅎ
얼굴반찬과
간식 외식 모두 턱없이 그리운
바람부는 봄 날이다.
핵과족화 되면서 아이들도 자라서 부모곁을 떠나면,, 부부 단둘인데 저마다 정년 퇴직하여 서로가 일을 만들어 외부활동을 하니, 하루에 한끼나마 서로 얼굴을 마주보는 것도 좋은 하루가 되는 요즘입니다.
참, 편해진 시대인데,, 서로가 무언가에 바쁘고 서로에게 소원 해 지는 시대를 우리는 사는듯 싶습니다.
문득, 시집간 둘째가 잘 살고 있는지.., 궁금 해지는 아침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