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보금리의 소멸에서 DAO의 세계까지
정보와 데이터의 독점이 블록체인과 빅데이터, AI 기술로 바뀌고 있다. 정보와 데이터가 중앙집중화된 시대가 가고 모든 사람들의 금융민주주의 시대가 오는 것일까?
레거시 - 레거시 시스템은 낡은 기술이나 방법론, 컴퓨터 시스템, 소프트웨어 등을 말한다. 이는 현대까지도 남아 쓰이는 기술을 부르는 말일 수도 있지만, 더 이상 쓰이지 않더라도 현대의 기술에 영향을 주는 경우도 포함한다.
디지털뱅크는 인터넷 채널을 사용하여 금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은행을 말하며 네오뱅크, 챌린저뱅크, 인터넷뱅크가 있다
네오뱅크 -은행 인허가를 받지 않고 모바일과 인터넷을 기반으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며 전통적인 금융기관과의 협업으로 금융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
챌린저뱅크 - 은행인허가를 받고 핀테크 기업이나 사업법인에게 은행서비스나 기능을 플랫폼으로 제공하는 사업자로 지점 없이 스마트폰 앱 등의 디지털 채널을 통해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이다. 카카오뱅크나 K뱅크의 형태인 것이다
계좌 대신 디지털 지갑의 시대로 : 디지털 지갑은 은행 및 신용카드 세부 정보 및 또는 암호화폐 거래를 사용하는 결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결제 또는 계좌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이라 할 수 있다.
DAO : 탈중앙화 자율조직. DAO는 대략적으로 중앙화된 관리조직이 없이 블록체인 기술로 프로그래밍화된 규칙(코드)를 통해 투명하게 공개된 자율적인 커뮤니티 조직을 의미한다.
다가올 세상은 레거시인 법정화폐와 암호화폐가 공존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면 암호화폐의 사용되는 생태계에 대한 이해는 다가올 미래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많이 될 것이다.
디지털자산 시대와 함께하는 사회 : 가격혁명, 변화의 속도를 가속화하다. 변화의 목적을 살리는 제도. 위험이 가져온 레거시 제도의 변화 요구. 변화를 두려워하지 마라. 거경, 궁리, 역행 - '거경'은 비움으로써 무언가를 받아들일 수 있는 상태를 이루어 무언가 필요로 하는 것을 느끼는 것이다. ''궁리'는 문자 그대로 느끼면 궁리하는 것이다. '역행'은 궁리한 것을 실천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