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의 성씨 ㅛ
단군은 우리 한(韓)민족이 세운 나라의 첫 임금 천제(天帝) 환인(桓因) 손자이며
환웅(桓雄) 아들 BC 2333년 아사달에 도읍을 정하고 고조선을 개국
엄밀히 따져, 한(韓)민족은 한 핏줄이 아니고
유사 종족, 동일 언어권을 갖고 있는 민족 연합.
한반도에는 옛부터 외국인이 귀화한 성씨도 많다.
'한반도 250 성씨 중 130 성씨는 귀화성씨.'
특히, 고려시대에 가장 많은 외국인들이 귀화.
외국인이 귀화하기 시작한 시기는 삼국시대 초,
그당시는 주로 수(隋), 당(唐)의 중국인이었다.
고려시대 귀화인은 송나라 사람을 비롯
여진, 거란, 베트남,몽골, 위구르, 아랍
이조시대에는 명나라와 일본인 등 많은 외국인이 귀화.
이들이 귀화한 동기는 대체로 정치적 망명, 표착(漂着),
종교홍포(宗敎弘布), 투항(投降), 구원(救援), 상사(商事),
전란피란, 범법도피, 정략결혼, 왕실 시종관계(侍從關係) 등
귀화인들은 대개 당시 조정으로부터 융숭한 대우
왕으로부터 성명을 하사받은 사람도 적지 않았다.
우리나라 외래 귀화 성씨를 크게 나누면
중국계, 몽골계, 여진계, 위구르계, 아랍계,
베트남계, 일본계의 등으로 분류 할 수 있다.
柳(문화 유씨.고조선)
車(연안 차씨.고조선)
全(천안 전씨 등 28본.고조선)
趙(평양 조씨 등 5본. 고조선)
南宮(함열 남궁씨. 기자조선)
景(태인 경씨.기자조선)
琴(봉화 금씨.기자조선)
强(충주 강씨.기자조선)
魯(밀양 노씨등 9본.기자조선)
弓(토산궁씨.기자조선)
韓(청주 한씨.마한)
奇(행주 기씨.마한)
鮮于(태원 선우씨. 마한)
徐(달성 서씨 등 10본.마한)
余(의령 여씨.마한)
徐(남양 서씨.당에서 신라)
徐(당성 서씨.신라)
徐(절강 서씨.명나라-정유재란)
소소계 : 18성 63본관
.......삼국시대 이전 귀화성씨...........
李(고성 이씨.BC108년)
羅(금성 나씨 등 15본.BC 200)
張(울진 장씨.전한)
蘇(진주 소씨. 원삼국)
.........소계 : 4성 18본...........
......삼국시대 귀화성씨...........
都(성주도씨.고구려)
黃(평해황씨 등4본.28년)
姜(진주강씨 등 3본.598)
金(진도김씨.265년)
庾(무송유씨.4세기)
孫(안동손씨.5세기)
.....소계 : 6성 11본..........
......통일신라 귀화성씨.........
李(연안이씨.660년)
丘(평해구씨.663년)
嚴(영월엄씨.750년께)
盧(광산노씨 등 9본.755년)
白(수원백씨.780년)
周(상주주씨 등 2본. 786년)
南(의령남씨 등 17본.786년)
皇甫(영천황보씨.신라말)
安(죽산안씨 등 5본.807년)
張(안동장씨 등 48본.8세기)
呂(함양여씨 등 4본.877년)
孟(신창맹씨 등 2본)
崔(충주최씨.889년)
廉(파주염씨.907년)
李(성주이씨.미상)
辛(영산신씨 등 2본.미상)
成(창녕성씨.미상)
吳(해주오씨 등 14본.950년께)
.......소계 : 19성 125본........
.......당나라 8학사 귀화성씨........
元(원주원씨.643년)
魏(장흥위씨.649년)
洪(남양홍씨.649년)
房(남양방씨.649년)
徐(남양서씨.649년)
邢(진주형씨.649년)
方(온양방씨.669년)
卞(초계변씨.743년)
公(김포공씨.763년)
諸葛(남양제갈씨.836년)
林(평택임씨 등 8본.840년)
殷(행주은씨.850년)
司公(효령사공씨.897년)
宋(남양송씨.926년)
陸(옥천육씨.927년)
玉(의령옥씨. ?)
吉(해평길씨 등 2본. ?)
田(남양전씨 등 2본. ?)
....소계 : 18성 27본.........
....고려시대 귀화성씨....................
李(태안이씨.927년)
尹(무송윤씨.960년께)
韋(강화위씨.960년께)
表(신창표씨.960년)
連(전주연씨.고려 초)
禹(단양우씨.고려 초)
任(장흥임씨.정종)
池(충주지씨.960년)
劉(거창유씨 등 4본.고려 초)
杜(두릉두씨.1004년)
牟(함평모씨.현종 때)
李(안성.문종 때)
愼(거창신씨.1068년)
蔣(아산장씨. 예종 때)
鄭(서산정씨.예종 때)
沈(풍산심씨.1110년)
余(의령여씨.1120년)
毛(함평모씨(광주).인종때)
郭(현풍곽씨.인종 때)
具(능성구씨 등 18본.인종 때)
鞠(담양국씨.인종때)
夏(달성하씨. 인종 때)
宋(여산등4본.인종때)
魚(함종어씨.고려 중엽)
閔(여흥민씨.고려 중엽)
簡(가평간씨.의종)
于(목천우씨. 고려중엽)
桂(수안계씨.고려중엽)
章(창녕장씨.고려 중엽)
李(태원이씨.고려 중엽)
伊(은천이씨.고려 중엽)
陳(여양진씨 등 6본.고려중엽)
葉(경주섭씨.고종)
賓(수성빈씨.충렬왕 때)
朱(신안주씨 등 4본.1213년)
宣(보성선씨.1382년)
唐(밀양당씨.고려 말)
李(상산.고려 말)
明(연안명씨.1371년)
昇(창평승씨.1371년)
睦(사천목씨.고려)
墨(광령묵씨.고려)
凡(안주범씨.우왕 때)
燕(곡산연씨.고려)
芮(의흥예씨.고려)
陳(양산진씨등2본.공민왕)
秦(진주진씨.고려)
溫(금구온씨 등 2본.고려 말엽)
尙(목천상씨.미상)
.......소계 : 50성 84본.....
..........몽골계 : 연안 인씨(延安 印氏)..................
시조 인후는 1275년 제국공주를 따라 고려에 귀화.
평양군, 자의도첨의사사를 거쳐 검교정승을 지냈다.
아들 인승단이 충목왕 때 좌정승으로 연안부원군에 봉
...........................................................
여진계 : 청해 이씨(淸海 李氏)
일본계 : 우록 김씨(友鹿 金氏 : 사성 김해 김씨)
...........위그루계 : 경주 설씨(慶州)..............
원효대사 아들 설총이 시조로 되어있는 경주 설씨.
신라 왕실에서 경주 설씨를 하사받은 위구르 귀화인.
......................................................
...............아랍계 : 덕수 장씨(德水 張氏)............
평택시 팽성읍은 600년전 고려에 귀화한 아랍인 마을.
고려말 의랑 벼슬을 지냈던 덕수 장씨의 중시조 장우.
아직까지도 팽성읍의 주민 70%는 덕수 장씨인 집성촌.
이조로 정권이 바뀌어도 고려를 향한 충절을 지킨 가문.
............................................................
...............베트남계 : 화산 이씨(花山 李氏)..............
13세기 초 고려 고종 때 안남국(安南國. 현 베트남)의 왕
이천조가 트란 왕조에게 권력을 빼앗기자 둘째 왕자 이용상
1226년(고려 고종 13년) 배타고 황해도 옹진군 화산으로 피난.
고종은 이를 가상히 여겨 화산군에 봉하고
그곳을 식읍으로 하사하여 화산 이씨가 유래.
국수, 쌈, 목기.등 한반도 문화에 큰 영향력.
.............................................................
밀양 대씨는 패망 발해 후손들이 밀양에 정착.
우리나라의 성씨는 275성이고, 본관은 3349본.
우리나라에서 100만명 이상 성씨는 5 개 성씨
'김해 김씨, 밀양 박씨, 전주 이씨 등.'
귀화 성씨로는 기자(箕子)를 시조로 모시는 여러 성씨들
희귀 귀화성씨 대부분 역사적인 사건과 관련있는 성씨들
천녕 견씨(川寧 堅氏)가 대표적인 그러한 사례.
왕건이 후백제 견훤의 아들 신검을 토벌할 때
고려 대상(大相) 견권을 시조로 모시고 있었다.
아자개를 시조로 모시는 견씨
견훤을 시조로 모시는 견씨 등.
대구시 달성군 가창면 우록리 녹동서원 옆
김충선 기념관(임진왜란 당시 귀화한 왜장).
희귀 성씨 중에는 옛 외국 왕족의 성씨도 많다.
개성 내씨(開城 乃氏)는 원래 개성 왕씨였는데,
이조 개국후 탄압을 피해 개성 내씨로 바꾼 성씨.
밀양 대씨(密陽 大氏)는 발해의 국성(國姓)에서 유래.
시조 대중상(大仲象)은 그 아들이 대조영(大祚榮)이다.
발해가 망한 후 그 후손이 경남 밀양에 정착한 귀화성씨.
역사적인 사건과 관련 있는 귀화 성씨들도 참 많다.
개성 노씨 시조 노은경(路誾儆)은 원나라 한림 학자
고려 공민왕 때 노국대장 공주를 따라와 개성에 정착
강음 단씨(江陰 段氏)의 시조 단희상
임진왜란 때 명나라 구원병으로 왔다가
이조에 귀화해 강음에 정착한 귀화 성씨.
임진왜란 때 가등청정(加藤淸正)의 부장 김충선(金忠善)
사야가는 귀화 후 선조로부터 김충선이란 이름을 하사받고
'진주 목사' 장춘점(張春點)의 딸을 아내로 맞아 들였다.
연안 인씨(延安 印氏) 시조 인후는 몽골인
아들 인승단이 충목왕 때 연안 부원군에 봉.
온양 방씨(溫陽 方氏) 중간 시조로 알려진 방운
고려 성종 때 온수(온양)군에 봉해지자 온양을 본관
남양 방씨는 고려 때 벽상공신을 역임한 방계홍을 1세
개성 방씨도 고려 때 원나라 노국 공주를 따라 온 방두현
각각 방씨 시조로 삼고 있다는 점에서 모두 천계는 아니다.
지씨의 대표격인 충주 지씨(忠州 池氏) 지용수(池龍壽)
고려 공민왕 때 홍건적을 물리친 공으로 일등공신에 책록
두 글자 이상을 쓰는 복성(複姓) 중 남궁(南宮)
독고, 사공(司空), 선우(鮮于) 제갈(諸葛) 황보(皇甫)
그 외 51명의 연안 단(單)씨와 36명의 한산 단(端)씨 등
교동 뇌씨(喬桐 雷氏)는 강화도 교동이 연산군을 비롯해
여러 선비들의 귀양지였다는 점에서 귀양 갔던 선비의 후예.
우리나라 성씨에 관한 족보를 보면 삼한시대의 형성과정이 보이는듯.
...............삼한시대부터 한반도 성씨 유래.....................
기자조선 영역은 요하 하류, 해성, 압록강 중류, 청천강 상류
B.C 3세기 흉노족에게 시라무렌하 영역을 잃고 연 한 진 때 쇠퇴.
기자조선 후예는 행주 기씨 , 서씨 , 태원 선우씨 , 청주 한씨
그외 해주, 태인 경, 토산 궁(弓), 봉화 금, 밀양, 함평 노(魯)
고구려 고씨(高句麗 高氏)·
백제 여씨(百濟 餘氏) ·
신라 김씨(新羅 金氏) 주류.
고구려는 을(乙)·예(禮)·송(松)·목(穆)·우(于)·주(周)·
마(馬)·손(孫)·동(董)·예(芮)·연(淵)·명림(明臨)·을지
백제는 사(沙) · 연(燕)·협(협)·해(解)·진(眞)·국(國)·목(木)
묘(苗)·왕(王)·장(張)·사마·수미(首彌)·고니(古이)·흑치(黑齒)
신라(新羅)는 박(朴)·석(昔)·김(金)·이(李)·
최(崔)·정(鄭)·손(孫)·배(裵)·설(薛)·요(姚)
우리나라 성씨의 유래는 백제 근초고왕 4세기 초.
그 이유는 그 이전까지는 모계사회 풍습이 있었고
그 이후부터 한반도에 부계사회가 뿌리내렸던 때문.
한반도 성씨는 중국 고대 패망 왕조 국가를 총 망라.
즉, 중국에서 이주해온 유민들이 그만큼 많다는 증거.
백성이란 100 성씨 씨족들이 모여 이룬 나라의 구성원.
씨족마다 풍습 문화이 다르고 가옥 구조도 천태만상.
한반도는 고대 국가, 8도 지방마다 색다른 가옥구조
전세계에서 가장 천태만상 가옥 전시장 같은 한반도.
.................우리나라 주거환경 특징................
구석기시대 인간은 동굴이나 바위틈 그늘에서 살았다..
그후 나뭇가지 원추형 뼈대와 나뭇잎 등으로 만든 가옥.
제 4 빙하기 이후 신석기시대에는 가축을 기르고 농사
집단 공동생활을 하기 시작하며 반 지하 타원형 주거지.
원형, 타원형, 방형으로 바뀌었고, 말기에긴 네모꼴 형태.
청동기 시대(B.C 10세기경)에는 나즈막한 언덕에 10∼20호.
많게는 100호 정도의 마을을 형성하며 농경 어업 또는 목축.
주거지가 커졌으며 기거, 취사, 작업, 저장 등으로 나뉜 벽체
고조선 시대 움집은 지하를 깊게 파고 기둥을 세워
서까래를 걸쳐 지붕을 짜고 풀 흙 등을 덮은 주거지.
지붕이 땅에서 떨어지는 반 움집의 형태가 생겨났다.
이때 비로소 여자는 안쪽 깊은 곳을 차지하고
중간은 작업실, 입구는 남성 및 야외 생활도구
고구려 주거지는 온돌과 지붕에는 기와를 사용했다.
백제는 고구려와 유사했고 산 중턱에 살았다는 기록
신라는 기후가 따뜻한 지방이므로 평상 위에서 생활
고려는 백성은 움집 형태였고 귀족은 기와집 형태.
이조시대에는 고려 때 주거지 구조를 그대로 계승
목조가구식 온돌과 마루가 있는 민도리집 양식이다.
이조 건축은 규모가 작고 검소하면서 위엄을 갖췄다.
건물 자체의 균형 뿐만 아니라, 주위 환경과의 조화.
..............................................................
'족보는 전 세계에서 가장 잘 정돈된 우리나라.'
2천년 혈통을 족보로 만들어 대물림한 유일한 나라.
현재 국립 중앙도서관 자료실엔 600종, 13,000권 소장
원래 중국 6조(六朝)시대에 시작된 족보는 왕실 계통 기록.
한반도에서 족보가 보편화된 시기는 1565년(조선 명종20년) 이후
<문화유씨 가정보>에 민족혈통을 수록하자 명문가문도 족보 간행
17세기 이후에 여러 양반 가문들이 다투어 족보를 만들기 시작했다.
이조 초기에 간행된 족보 대부분은 관계 자료를 충실히 보완한 내용.
이조 중기에 들어서자 조상을 미화하고, 조상벼슬을 과장하거나 조작.
심지어 명문 가문의 족보를 사고 팔거나, 훔치는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
한편, 사대주의 사상에 물들어
중국에서 유래된 족보도 많았다.
이조시대 초기까지만 해도 양반은 국가의 지배 계층.
이조시대 후반부터 양반 계층 숫자는 점점 더 늘어난다.
양반 상민의 신분격차가 없어질 무렵 너나 없이 양반 주장.
이조시대 말기에는 매관매직, 족보를 사고 파는 행위도 성행.
......................................................................
'한반도에서는 언제부터 성씨를 쓰게 되었을까?'
.......................................................................
우리나라 민족은 누구나 성씨를 사용하고 있다.
아울러, 그 성과 본관의 유래가 담긴 족보가 있다.
족보는 한반도의 역사 전통 사회구조 파악에 길잡이.
'고대부터의 혈연과 지연도 알 수 있는 족보.'
성씨는 출생 혈통 겨레(족) 소속집단 국가를 나타내는 호칭.
즉, 혈연집단인 씨족에서 비롯되어 소속 국가까지 알려준다.
하여 성씨는 거슬러 올라갈수록 그 뿌리가 하나로 모아진다.
성씨는 한자로 이름 앞에 붙여 본관과 함께 사용한다.
하여, 같은 성씨라도 혈연 관계가 없는 타 성씨와 구별.
성씨는 대대로 갈라져 같은 조상이라도 성씨가 달라지고
같은 성씨이면서도 그 조상이 혈연과 무관한 경우도 많다.
부 또는 모 성을 따르기도 하며 모성 변성, 사성, 자칭성 탓.
중국의 고대사회에서는 남자는 씨, 여자는 성으로 호칭했다.
즉, 부계사회는 씨를 사용했고, 모계사회는 성으로 호칭했다.
훗날 성씨가 합쳐졌고, 씨는 신분의 고귀함을 나타내는 호칭.
귀한 신분은 씨를 사용, 천한 신분은 이름만 있고 씨는 없었다.
고려 초기(10세기) 지배층이 부계 혈통을 표시하는 성을 사용.
성은 사회구성원이고 명은 개인을 가리키는 이름으로 씌여졌다.
하여, 성은 본관을 의미하고 씨는 높임 말의 의미로서 사용했다.
씨는 이조시대에 들어와 양반의 부인을 부를 때 경칭으로 씌였다.
한반도는 삼국시대 전후부터 성을 쓴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반도에서 중국식 한자 성을 쓴 시기는 고구려 장수왕 시대.
그당시 중국에 보내는 국서(國書)에 고(高)씨의 성을 사용했다.
백제는 근초고왕 때부터 여(餘)씨, 무왕 때부터 부여씨(扶餘氏)
신라는 진흥왕 시대부터 김씨 성을 사용했던 역사기록이 있다.
그러나, 한반도에서 누구나 모두 성을 사용한 것은 아닌 듯.
성씨(姓氏)가 보편화 된 것은 고려 중기 문종(文宗) 9년(1055)
성을 쓰지 않는 사람은 과거급제 자격을 주지 않는 법령 이후.
성씨 유래와 족보들을 보면, 한반도가 한 핏줄 만은 아닌 듯.
동아시아의 수많은 고대국가들로부터 유래된 성씨의 흔적이다.
서해 지역이 육지였던 시점에서부터 여러 민족이 살았던 한반도.
지구온난화 현상으로 빙하가 녹아 해수면 아래로 잠긴 서해 지역.
.........................................................................
'그 저지대 민족들은 어디로 뿔뿔이 흩어졌을까?'
..........................................................................
덧 말.
조선시대 초기에만 만해도 성씨가 있는 양반은 10%
조선시대 중기에 들어와 양반이 족보를 가지게 되면서
평민들도 구전 자료에 의하여 족보를 만들기 시작하였고
토착민들은 지역 별 동일 씨족으로 족보를 가지게 되었다.
집성촌을 이루지 못하고 생활한 유랑민이거나
원래 천민은 성씨없이 돌쇠,떡쇠, 개똥이, 삼돌이 등
성씨 없이 이름만 불리웠는데 조선후기에 양반 도움으로
성 하나 만은 가지게 되었고. 1909년 일제가 민적법 시행시
성씨가 없던 천민들에게 원하는 성씨의 호적을 일제가 주었다.
그 때 가장 인기 있던 성씨가 "김이박 등.
그래서, 유명한 성이 더욱 흔해지게 된 것.
일제가 성이 없던 밑바닥 천민(노비)계층에게
유명 성씨의 호적을 준 것은 조선 양반성씨들이
씨족별로 단결하는 것을 방해하기 위한 조치였다.
노비를 양민화 시켜
수탈 대상을 늘이기 위한
식민통치정책의 일환이였다.
일례로 김좌진 장군댁 노비 100명도
안동김씨 호적을 만들어 가졌다 한다.
조선시대 양반집 법도는 엄격한 유교의 윤리로
양반 행세하기는 행동거지가 참 어렵고 엄했다.
따라서 천민은 흉내낼 필요성을 느끼지 못는 사회
현재 품성과 관계없이 성씨로 양반입네 떠드는 사람은
양반집 "돌쇠"거나, 그 마을 "개똥이"였을 가능성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