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과 칭찬에 집착하는 욕망의 심리학
남들에게 인정받고 싶은 나, 진짜 속마음은 뭘까?
누구나 가졌지만 아무도 찾지 못한 내 안의 진짜 마음 '인정욕구'를 이해하는 심리 수업
저자는 인간과 사회의 아픔을 위호하는 심리학 강연으로 유명한 일본의 심리학자.
인정욕구는 절대 나쁜 것이 아닙니다. 인정욕구는 누구에게나 존재하며, 의식하지 못했지만 우리는 어릴 때부터 '인정'받고자 여러 방면에서 도전하고 노력하면서 성장해왔습니다. 학교에서는 좋은 성적을 거둬서 칭찬받겠다는 일념으로 더 열심히 공부하고, 직장에서는 유능한 사람으로 평가받기 위해 노력합니다. 이러한 노력은 결국 우리를 성장시킵니다. 이렇듯 인정욕구에서 비롯된 행동은 나쁜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성장하고 싶다면 반드시 필요한 욕구이지요. 하지만 무엇이든 적당해야 합니다. 잘하고자 하는 노력도, 인정받고 싶은 마음도 과하면 독이 됩니다. 이 책은 인정중독에 빠져 인정욕구에 휘둘리는 이들을 '남'이 아닌 '나'로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인정욕구는 채워야 하는 것 : 문제행동의 이면에도 인정욕구가 있다. 사랑받고 싶다는 마음이 강한 시대
인정욕구로 괴로워하는 사람들 : 습관적으로 감정을 숨기고 호의를 베푼다. 호언장담하여 자신을 궁지로 몰아넣는다. 지나친 티내기로 미움을 사지만, 그래야 직성이 풀린다. 친구에게도 속마음을 터놓지 못한다. 착한 사람으로 보이고 싶다. 능력 있는 사람의 트집을 잡는다.
인정욕구의 정체 : 자아 이미지는 타인의 시선으로 만들어진다. 인정욕구의 이면에 잠재된 '무시불안'. 무시당하고 싶지 않은 마음에 핑계를 댄다. 인정욕구는 자아 형성의 원동력. '관계'를 소중하게 여기며 살아간다. 외국인들이 놀라는 동양인의 예의범절.
인정욕구를 현명하게 다루는 법 : 나를 지키며 배려하기.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 인정욕구 이용하기. 답답함의 이면에 숨은 인정욕구를 깨닫자. 근거 없는 예측은 절대 금물. 억지로 좋은 사람인 척 연기하지 않기. 진솔한 인간관계 만들기. 자기제시가 필요하다. 모두에게 사랑받으려고 애쓰지 않기. 내 안에 있는 '유기불안'을 체크해보기. 상대방 그 자체를 보기. 먼저 상대방을 '인정해주자'고 다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