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락·지옥 만들기는 인간의지에 달려있습니다
불교를 말하면 극락을 생각하고,
극락을 말하면 불교는 피안을 위한
현실 부정적 ‘독트린(doctrine)’을
가진 종교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불교가 종교라는 것은 두말할 나위도 없습니다.
그러나 불교가 현실 부정적 가르침이라는 말은
불교를 이해하지 못했다는 반증이 됩니다.
부처님 오신 날이면, 고타마 싯다르타가 룸비니 동산에서
일곱 걸음을 걸으시면서 ‘천상천하유아독존’이라고
외치셨다는 것을 쉽게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 한마디야말로 불교의 생명을
갈무리하고 있는 근원인 것입니다.
사후에 극락을 가기 위한 노력으로 불교를 믿는다고 하면
불교는 벌써 3000년 가까운 역사를 무시하고
인간 사회에서 완전히 소외당하고 말았을 것입니다.
싯다르타 태자가 태어난 것은 세계가 열린 것이고
태자가 대지 위에 일곱 걸음을 걸은 것은
그의 세계를 건설한 것이며 천상천하유아독존이라고
부르짖은 것은 세계의 지배자이자
창조자임을 갈파한 것입니다.
어찌 태자만 그러하겠습니까.
우리 모두가 모태에서 태어날 때 부르짖은 고성(高聲)이
저 태자의 소리와 다르지 않으며
태자의 위치와 조금도 다를 것이 없는 것입니다.
경전에 따르면 태자는
처음 허무와 회의를 느끼고 출가했다고 합니다.
눈 쌓인 숲 속에서 6년 동안 고행하면서
그가 깨달은 것이 무엇이겠습니까.
결코 신비스럽고 불가능한 것이 아닙니다.
그가 존재하고 인식하는 세계의 제일 원인이 바로
그 자신임을 깨달은 것입니다.
가슴이 덜컥하고 눈에서 섬광이 번쩍이는 순간
그는 이 세상 그 누구도 경험하지 못한 '
대절망을 맛보았을 것입니다.
그리고 그는 또 한번 가슴이 미어지는
소리를 고함쳤을 것입니다.
“천상천하유아독존!”
인간에게는 아무런 보장도 없었습니다.
인간은 광야의 십자로에 그저 던져져 있었습니다.
태자는 대지를 굴러 다지면서
걸음을 옮겼고 위치를 설정해 세계를 창조했습니다.
이것이 인간인 것입니다.
인간은 제 자신의 세계를 스스로 창조합니다.
인간은 자신의 의지에 따라 그 사회를
극락이나 지옥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인간에게는 단지 자유만이 있는 것입니다.
인간이 본래 향유하고 있는 자유를
어떻게 구사할 것인가 생각하는 것도 역시 자유입니다.
따라서 사회를 한탄하지 말고 자신을 격려하시기 바랍니다.
인간은 자신의 주재자요 자신이 처한 세계의 주재자며,
모든 현실의 원인이 되기 때문입니다.
육조단경에 이르기를
“미혹한 사람은 염불하여 극락세계에 가기를 원하고,
깨달은 사람은 그 마음을 깨끗하게 밝힌다”고 했습니다.
부처님께서는 “그 마음 깨끗함을 따라서 불국토도 깨끗하느니라.
마음에 다만 깨끗하지 않음이 없으면
서방정토도 여기서 멀지 않고,
마음에 깨끗하지 못한 생각이 일어나면 염불을 해도
서방정토에 왕생하기 어렵다. 바로 알아라.
마음 밖에 특별히 정토가 없으리라”고 하셨습니다.
만법이 하나로 돌아가니 그 하나는 어디로 돌아가겠습니까.
공부를 짓되 화두를 참구하지 아니하고,
비고 고요한 것을 지켜 앉아 있지 말며,
화두를 생각지도 말며 의심 없이 앉아 있지도 말아야 합니다.
잡아들면 분명히 심묘한 것이 있을 것이며
그 가운데 특별한 소식도 있을 것이니
이 도리를 알면 몸 전체에 환희가 충만할 것입니다.
태어나되 온 곳을 알지 못하니 생대(生大)라 하는 것이요,
죽어가되 가는 곳을 알지 못하니 사대(死大)라 하는 것입니다.
납월 30일이 닥치면 오직 손발을 버둥거릴 뿐이며
나아가 앞길이 망망하여 업을 따라 보를 받게 되니
참으로 요긴한 일은 생사의 지배를 받는 데 있습니다.
망념을 제거하고 본래면목을 알게 되면
생사에서 자유스러워질 것입니다.
불교의 교의가 각(覺)을 촉구하고
안락한 내세를 위해 오늘의 선행을 가르치는 것도
인간의 노력여하에 따라 인간이 향상될 수 있기 때문이며
현실에 대한 개척이 미래의 보장이 됩니다.
모든 생명력을 다하여 이 순간을 사는 것,
그것이 불교인 것입니다.
해마다 되풀이되는 부처님 오신날을
의례적인 의식을 집행하고 즉흥적인 행사나 하는 날로만
생각해서는 안 됩니다.
어느 순간, 어느 날이라고 그러지 않는 것은 아니나
적어도 이날만큼은 우리 모두가
생의 환희를 느끼는 날이 되어야 하고
자신에게 가장 충실한 날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내년이면 또 그날이 올 것입니다.
그러나 이것은 관념입니다.
내일에 속지말고 오늘을 잡아야 합니다.
거기에서 생명의 빛이 솟는 것입니다.
모셔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