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경주지진에 이어 또 다시 원전 인근 지역인 포항애서 지진일 발생하면서 원전의 안전성이 재 부상되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세계에서도
유래를 찾아 볼 수 없을 정도로 경주 월성과 울산서생, 부산기장 지역에 우리나라 원전 절반인 16기가 밀접해 있기 때문이다. 이번 포항지진은
원전이 밀집해 있는 울산으로써는 단순히 지나칠 문제가 아니다. 그동안 논란이 돼왔던 양산단층의 시작부분에서 발생한 지진이기 때문이다. 또
경주지진과 달리 진앙이 지표와 가까워 포항시내 많은 건물이 금이 가고 파손되는 등 지진의 충격이 컸다. 이 같은 상황이라면 경주 월성원전은 물론
양산단층대 위에 위치해 있는 고리 서생 원전의 안정성을 의심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최근 울산시가 원전 안전도시 구현을 위해 울산과학기술원(UNIST)에 의뢰한 종합계획 수립용역 보고서에서 울산의 방재물품 부족과
방사능 누출에 따른 구체적인 대피 시나리오 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 보고서에서 연구팀은 "울산은 국내 24기의 원전 중 절반 이상인
16기가 근거리에 운영되고 있는 세계 최고의 원전 밀집지역"이라며"특히 방사선 비상계획 구역확대(원전 반경 30km 이내)에 따라 울산은
117만 인구가 방사선 방호환경에 들어가지만, 보유중인 방재물품은 보호 장구 6만 9천여개, 마스크10만 7천여개로 턱없이 부족해 100만
세트를 추가로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또 정부의 대응 매뉴얼에 각 기관별 수행 내용이 명시돼 있지만, 도로 사정과 인구밀집 등
울산의 특성이 고려된 구체적인 대피 시나리오가 없어 117만명 시민의 대피나 보호조치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분석하고 있다. 그러면서 울산형 대피
시나리오 확립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보고서 내용대로라면 현 상태에서 원전사고가 발생할 경우 대형 참사를 면키 어려운 상황이다. 이번 용역을 수행한 연구팀은 우선 현장
방사능방재지휘센터를 조속히 설립해 원전사고 대응력을 보다 강화해야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또 유관기관인 교육청, 경찰청, 군부대와의 비상연락체계를
구축해 구체적이고 즉각적인 대비 체제를 갖춰야한다고 주문했다. 아울러 방사능방재 교육훈련 도 시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울산시는 이번 용역결과를
토대로 울산에 맞는 원전사고 비상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기사입력: 2017/11/23 [20:08] 최종편집: ⓒ 광역매일 http://www.kyilbo.com/sub_read.html?uid=207099§ion=sc30§ion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