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子曰 不仁者不可以久處約 不可以長處樂 仁者安仁 知者利仁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 어질지 못한 사람은 역 곤궁함을 오래 견디지 못하고 즐가도 오래 누리지 못한다. 그러나 어진 사람은 仁을 편안하게 여기고 지혜로운 사람은 仁을 이롭게 여긴다.”라고 하셨다.
○ 約, 窮困也. 利, 猶貪也, 蓋深知篤好而必欲得之也. 不仁之人, 失其本心, 久約必濫, 久樂必淫. 惟仁者則安其仁而無適不然, 知者則利於仁而不易所守, 蓋雖深淺之不同, 然皆非外物所能奪矣. 約이란 곤궁함이다. 利는 탐내는 것과 같으니, 깊이 알고 독실하게 좋아하여 반드시 그것을 얻고자 한다는 말이다. 어질지 못한 사람은 그 본심을 잃어버리기에 오랫동안 곤궁하면 반드시 넘치고, 오랫동안 즐거우면 반드시 지나치게 된다. 오직 어진 사람만이 곧 그 인을 편안히 여겨서 가는 곳마다 그렇지 않음이 없다. 지혜로운 자는 곧 인을 이롭다 여겨 지키는 바를 바꾸지 않으니, 대개 비록 깊고 얕음이 같지 않지만, 그러나 모두 외물이 능히 빼앗을 수 있는 바가 아니다.
雙峯饒氏曰 知者之於仁 如小人之貪利 皆深知篤好 必欲得之 쌍봉요씨가 말하길, “지혜로운 자는 仁에 대하여 마치 소인이 이끗을 탐하는 것과 같으니, 모두 그것을 잘 알고 돈독하게 좋아하여 반드시 얻고자 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南軒張氏曰 不仁者勉强而暫處 則有之 差久則移於約 樂無所不至矣 남헌장씨가 말하길, “어질지 못한 사람은 억지로 하여 잠시 거처하는 것은 있을 수 있지만, 점차 오래되면, 곤궁함에서 벗어나게 되고, 즐기는 것 역시 이르지 않는 곳이 없게 될 것이다.”라고 하였다.
雙峯饒氏曰 濫如水之泛濫 淫如水之浸淫 久約者爲饑寒所逼而不能自守 以至於蕩於禮法之外 如水之溢出外去 故曰濫 久樂者 爲富貴所溺而不能自守 不知不覺至於驕奢 如水之浸入裏來 故曰淫 濫字是窮斯濫矣之濫 淫字是富貴不能淫之淫 쌍봉요씨가 말하길, “濫은 마치 물이 범람하는 것과 같고, 淫은 마치 물이 점점 스며드는 것과 같은 것이다. 오랫동안 곤궁한 자는 배고픔과 추위에 핍박을 받아 자신을 지킬 수가 없어서, 예법의 밖에서 방탕한 지경에 이르고야 마니, 마치 물이 밖으로 흘러넘치는 것과 같다. 그래서 넘친다고 말한 것이다. 오랫동안 즐거워하는 자는 부귀에 빠져들어 자신을 지킬 수가 없어서, 부지불식간에 교만하고 사치하는 지경에 이르고야 마니, 마치 물이 점점 안으로 스며들어오는 것과 같다. 그래서 빠져든다고 말한 것이다. 濫자는 곤궁하면 예법 밖으로 넘쳐 멋대로 한다의 濫의 뜻이고, 淫자는 부귀로도 지나치게 빠지게 못함’의 淫과 같은 뜻이다.”라고 하였다.
吳氏曰 約與豊對 樂與憂對 對擧之互文也 不仁者不可一日處 聖人之言待人以厚 故以久長言之爾 오씨가 말하길, “約(곤궁함)은 豊과 댓구를 이루고, 樂(즐거움)은 憂(근심)과 댓구를 이루니, 짝지어서 거론한 互文이다. 어질지 못한 사람은 단 하루라도 거처할 수 없지만, 성인의 말씀은 남을 후덕함으로 대하기 때문에, 오래할 수 있음(久長)으로써 말했을 따름이다.”라고 하였다.
雲峯胡氏曰 仁義禮智 皆吾本心而仁統三者 仁一失則三者俱失矣 所以於上章焉得知則曰失其是非之本心 此於不仁則直曰失其本心 集註之精密如此 운봉호씨가 말하길, “仁義禮智는 모두 내 본심이지만, 仁이 나머지 셋을 통솔하는 것이니, 仁을 일단 잃는다면, 나머지 셋도 다 함께 잃는 것이다. 그래서 윗 장의 ‘焉得知(어찌 지혜로울 수 있겠는가?)’에서는 그 是非의 본심을 잃는다고 말했지만, 여기의 不仁에서는 곧장 그 본심을 잃어버린다고 말했으니, 집주의 정밀함이 이와 같은 것이다.”라고 하였다.
東陽許氏曰 不仁者久約則憂患而諂諛 卑屈之態生 苟且邪僻之行作 久富貴則佚樂而驕矜 縱誕之氣長 踰節凌分之事興 約者日流於卑下 樂者日過於僭躐 是濫與淫意象 동양허씨가 말하길, “어질지 못한 자가 오랫동안 곤궁하면, 근심하고 걱정하여 아첨하고 비굴한 태도가 생겨나고, 구차하고 간사하며 편벽한 행실을 지어내고, 오랫동안 부귀하면, 편안하고 즐거워하여 교만하고 뽐내며 방종하고 거짓말하는 기운이 자라나서, 절도를 뛰어넘고 분수를 업신여기는 일이 일어나게 된다. 곤궁한 자는 날로 비루하고 저질로 흘러 빠질 것이고, 즐거워하는 자는 날로 참월하고 단계를 뛰어넘는 것에 지나치게 될 것이니, 이것이 바로 濫과 淫의 뜻과 형상이다.”라고 하였다.
朱子曰 仁者溫淳篤厚 義理自然具足 不待思而爲之而所爲皆是義理 所謂仁也 知者知有是非而取於義理以求其是而去其非 所謂知也 주자가 말하길, “어진 사람은 온화하고 순박하고 돈독하고 후덕하여 義理가 자연스레 충분히 갖추어지므로, 생각하길 기다리지 않고 행하더라도 행한 바가 모두 義理이니, 이른바 仁이라는 것이다. 지혜로운 사람은 옳고 그름이 있음을 알아서, 의리에서 취하여 그 옳은 것을 구하고, 그 그른 것은 제거하는 것이니, 이른바 지혜라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仁者安仁 如孟子說動容周旋中禮者 盛德之至也 哭死而哀非爲生者也 經德不回 非以干祿也 言語必信 非以正行也 這只順道理合做處便做 更不待安排布置 어진 사람은 仁을 편안하게 여기니, 예컨대 맹자가 말한 ‘行動과 容貌와 일처리가 모두 禮에 들어맞는 사람은 성대한 덕이 지극한 사람이니, 죽은 사람에게 곡하고 애통해하는 것은 살아있는 사람을 위한 것이 아니고, 떳떳한 德을 잡고서 굽히지 않는 것은 이로써 녹봉을 구하는 것이 아니며, 말을 하면 반드시 미더운 것은 이로써 행실을 바로잡는 것이 아니다,’라는 것과 같다. 이것은 그저 道理에 순응하여 마땅히 해야 할 부분을 곧바로 행하는 것으로서, 또 무슨 안배와 포석을 기다려야 하는 것이 아니다.
深謂仁者 淺謂知者 仁者之心便是仁 知者未能無私意 只是知得私意 不是著脚所在 又知得無私意是好 所以千方百計亦要克去私意 깊은 것은 어진 사람을 말한 것이고, 얕은 것은 지혜로운 사람을 말한 것이다. 어진 사람의 마음은 그 자체로 어질지만, 지혜로운 사람에게는 아직 私意가 없을 수는 없다. 이 사람은 그저 私意를 알아볼 뿐이지, 발을 붙여야 할 곳이 어디인지 아는 것은 아니다. 또한 私意가 없는 것이 좋다는 것을 알기에, 이 때문에 온갖 계책으로 또한 사의를 없애고자 하는 것이다.
慶源輔氏曰 無適不然 無所往而不安也 不易所守 知而弗去是也 경원보씨가 말하길, “無適不然이란 어디를 가더라도 편안하지 않음이 없다는 것이고, 不易所守란 이를 알고서 떠나지 않는다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胡氏曰 舜之飯糗茹草若將終身 被袗衣鼓琴若固有之 此安仁者之久處約長處樂也 原憲環堵 閔損汶上 魯之季文子 齊之晏平仲 此利仁者之久處約長處樂也 호씨가 말하길, “순임금은 미숫가루를 밥 삼아 먹고 풀을 먹는 것을 마치 장차 평생토록 하려는 듯이 하였고, 좋은 옷을 입고 거문고를 타는 것을 마치 본래부터 갖고 있었던 것처럼 하였는데, 이것이 바로 仁을 편안하게 여기는 사람이 오래토록 곤궁함에 처하고 오랫동안 즐거움에 처한 사례이다. 원헌의 環堵(작은 집에 거처함), 민손이 벼슬을 피해 汶水가로 도망가고, 노나라의 계문자나 제나라의 안평중의 所爲는 바로 仁을 이롭게 여긴 사람이 오랫동안 곤궁함에 처하고 오랫동안 즐거움에 처한 사례이다.”라고 하였다.
雙峯饒氏曰 安仁者 心與仁一 仁卽我 我卽仁 故曰其仁 卽仁者之仁也 利仁者 心與仁猶二 於仁猶有間 故曰於仁 猶未是仁 不過利於仁耳 쌍봉요씨가 말하길, “仁을 편안히 여기는 사람은 마음과 仁이 하나여서, 仁이 곧 나고, 내가 곧 仁이기 때문에, ‘其仁’이라 말한 것이니, 이는 곧 어진 사람의 仁이라는 것이다. 仁을 이롭게 여기는 사람은 마음과 仁이 아직도 둘이어서, 仁에 있어서 여전히 간극이 있는 것이다. 그래서 ‘於仁’이라고 말한 것이니, 아직도 仁이 아니라 仁에 대하여 이롭게 여기는 것에 불과할 따름이다.”라고 하였다. |
2 | ○ 謝氏曰: “仁者心無內外遠近精粗之間, 非有所存而自不亡, 非有所理而自不亂, 如目視而耳聽, 手持而足行也. 知者謂之有所見則可, 謂之有所得則未可. 有所存斯不亡, 有所理斯不亂, 未能無意也. 安仁則一, 利仁則二. 安仁者非顔ㆍ閔以上, 去聖人爲不遠, 不知此味也. 諸子雖有卓越之才, 謂之見道不惑則可, 然未免於利之也.” 사씨가 말하길, “仁이라는 것은 마음에 안과 밖, 멀고 가까움, 정밀하고 거칢의 차이가 없어, 보존하는 바가 있지 않아도 저절로 없어지지 않으며, 다스리는 바가 있지 않아도 스스로 어지러워지지 않는데, 이는 마치 눈으로 보고 귀로 들으며, 손으로 잡고 발로 걷는 것과 같이 자연스러운 것이다. 知라는 것은 그것을 일컬어 본 바가 있다고 말하면, 괜찮지만, 체득한 바가 있다고 말한다면, 그것은 안 된다. 보존하는 바가 있어야 없어지지 않고, 다스리는 바가 있어야 어지러워지지 않으니, 이것은 아직 의도함이 없기란 불가능한 것이다. 仁을 편안하게 여기면, 곧 나와 합쳐져 하나이고, 仁을 이롭다 여기면, 곧 나와 구별되어 둘이다. 仁을 편안하게 여기는 사람 중에 안회, 민자건 이상으로서 성인과 거리가 멀지 않은 사람이 아니라면, 이러한 맛을 알지 못한다. 제자들은 비록 탁월한 재능이 있으니, 그들을 일컬어 도를 보고 미혹되지 않는다고 말한다면, 그것은 괜찮지만, 그러나 그것을 이롭게 여기는 수준은 아직 면하지 못하였다.”라고 하였다.
朱子曰 上蔡見識直是高 諸解中未有及此者 주자가 말하길, “상채의 식견은 그야말로 높으니, 여러 풀이 중에서 이것에 미치는 것은 아직 없었다.”라고 하였다.
慶源輔氏曰 存言其體 理言其用 知者有所操存其體 斯不亡 有所經理其用 斯不亂 仁者則不待如此 一體一用皆自然而然 경원보씨가 말하길, “보존한다는 것은 그 體를 말한 것이고, 다스린다는 것은 그 用을 말한 것이다. 지혜로운 자는 그 體를 붙잡아 보존하는 바가 있어야 사라지지 않고, 그 用을 다스리는 바가 있어야 어지러워지지 않는다. 그러나 어진 사람은 이렇게 함을 기다리지 않고서도, 하나의 體와 하나의 用이 모두 자연스럽게 그렇게 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雙峯饒氏曰 心無內外遠近精粗之間 是說他仁熟處 他人於此處 能存 於彼處或不能存 於此處能理 於他處或不能理 唯仁者內面如此 外面亦如此 遠近精粗無適不然 內謂存處時 外謂應事接物時 近謂日用常行處 遠謂非日用常行處 精如治詩書禮樂等事 粗如治錢穀甲兵等事 存是心存 理是事理 쌍봉요씨가 말하길, “마음에 內外와 遠近과 精粗의 차이가 없다는 것은 그 仁이 무르익은 부분을 말한 것인데, 타인은 이 부분에 있어서 능히 보존할 수 있다가도 저 부분에 있어서는 간혹 능히 보존할 수 없고, 이곳에 있어서 능히 관리할 수 있다가도 저곳에 있어서는 간혹 능히 관리할 수 없기도 한다. 오직 어진 사람만이 내면이 이러하면 외면도 역시 이러한데, 遠近과 精粗에 있어서도 어디를 간들 그러하지 않음이 없는 것이다. 안이란 보존하여 처할 때를 말하고, 밖이란 일에 응하고 외물에 접할 때를 말하며, 가까운 것은 일상생활에서 늘 행하는 부분을 말하고, 멀다는 것은 일상생활에서 늘 행하는 부분이 아님을 말한 것이다. 정밀한 것은 詩와 書, 禮樂 등을 다스리는 일과 같은 것이고, 거친 것은 돈과 곡식, 그리고 甲兵 등을 다스리는 일과 같은 것이다. 보존한다는 것은 마음을 보존하는 것이고, 다스린다는 것은 일을 다스리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朱子曰 吾心渾然一理 無內外遠近精粗 須知非顔閔以上 不知此味 及到顔閔地位知得此味 猶未到安處 주자가 말하길, “내 마음이 혼연히 하나의 이치가 되어 내외와 원근과 정조의 구별이 없다고 할지라도, 반드시 안회와 민자건 이상이 아니라면 이 맛을 알지 못하고, 안회와 민자건의 경지에 이르러 이 맛을 알아서 터득하였더라도, 그래도 편안히 여기는 부분에는 아직 이르지 못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라고 하였다.
仁知雖一 然世間人品所得自有不同 顔子曾子得仁之深者也 子夏子貢得知之深者也 仁과 知가 비록 하나라고 할지라도, 세간 사람들이 인품으로 터득한 바에는 저절로 같지 않음이 있는 것이다. 안자와 증자는 仁을 터득함이 깊은 사람이고, 자하와 자공은 지혜를 터득함이 깊은 사람이다.
或問而今做工夫 且須利仁 曰 惟聖人自誠而明 合下便自安仁 若自明而誠 須是利仁 혹자가 묻기를, “지금 공부를 하고 있는데, 또한 반드시 仁을 이롭게 여겨야 합니까?”라고 하였다. 말하길, “오직 성인만이 정성을 다함으로부터 밝을 수 있기에, 원래 곧바로 저절로 仁을 편안히 여길 수 있다. 그러나 만약 밝음으로부터 정성을 다하는 경우라면, 반드시 仁을 이롭게 여겨야 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勉齋黃氏曰 安仁利仁 則所存者天理 故安於義命所當然而物欲不能以累其心 所以處約樂之久而不爲之動也 면재황씨가 말하길, “仁을 편안하게 여기고 仁을 이롭게 여기는 것은 보존되는 것이 天理이기 때문에, 義命의 당연한 바를 편안히 여기면서도 물욕이 그 마음에 누를 끼치지 못한다. 따라서 곤궁함이나 즐거움에 처하기가 오래되어도, 그것에 의해 동요되지 않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吳氏曰 易繫論語多以仁知並言 樊遲亦再問仁知 大抵學問不出知行 知主知而仁主行也 오씨가 말하길, “주역 계사와 논어에서 仁과 知(지혜)를 나란히 말하는 경우가 많은데, 번지도 역시 재차 仁과 지혜를 물었다. 대저 학문이란 알고 행하는 것을 벗어나지 않지만, 지혜는 아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仁은 행하는 것에 주안점을 둔다.”고 하였다.
雲峯胡氏曰 不仁者失其本心者也 安仁者本心非有所存而自不失 利仁者能存其本心而惟恐失之 嗚呼 安之者不可遽及 失之者可爲戒 而守之者可爲法矣 운봉호씨가 말하길, “어질지 못한 자는 그 본심을 잃어버린 사람이다. 仁을 편안하게 여기는 사람은 본심을 보존하는 바가 있지 않더라도 저절로 잃지 않으나, 仁을 이롭게 여기는 사람은 그 본심을 능히 보존할 수 있더라도, 오직 그것을 잃을까 두려워한다. 오호라! 편안하게 여기는 사람은 갑자기 그 수준에 미칠 수는 없지만, 잃어버린 사람은 경계로 삼을 수 있고, 지키는 사람은 법으로 삼을 수 있다.”고 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