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봉은불자 원문보기 글쓴이: 도문2
선을 사랑하고, 시를 사랑하고, 만해를 사랑하고, 설악의 아름다움을 사랑했던 무산 스님이 5월26일 입적했다. |
천방지축 기고만장
허장성세로 살다보니
온몸에 털이 나고
이마에 뿔이 돋는구나
억!
-설악무산 스님 열반송(2018. 4. 5.)
선사로서, 시인으로서 아득한 경지에서 유유자적하며 격외가를 부르던 설악무산 스님이 5월26일 오후 5시11분경 속초 신흥사에서 입적했다. 세납 87세, 법납 60세.
조계종 원로의원이자 제3교구본사 신흥사 조실인 무산 스님의 빈소는 신흥사에 마련됐으며, 영결식은 5월30일 조계종 원로회의장으로 엄수될 예정이다.
‘조오현’이라는 필명으로 널리 알려진 무산 스님은 1932년 경남 밀양시 상남면 이연리에서 태어나 1937년 밀양 종남산 은선암에서 불연을 맺었다. 1959년 27세 때 성준 스님을 은사로 발심출가해 직지사에서 사미계를, 1968년 범어사에서 석암 스님을 계사로 구족계를 수지했다. 이후 불교신문 주필, 법보신문 논설위원을 비롯해 제8‧11대 중앙종회의원과 제3교구본사인 신흥사 주지와 계림사, 해운사, 봉정사 주지 등을 지내기도 했다.
스님은 최근까지 백담사 경내 무문관인 ‘무금선원(無今禪院)’에서 정진할 정도로 일생을 수행자로 살았던 선사였다. 1981년 국제포교사로 미국에서 3년간 명상과 설법으로 한국 선의 정수를 알리던 스님은 1989년 낙산사에 주석하며 정진하던 중 마침내 깨달음의 노래를 부를 수 있었다.
밤늦도록 책을 읽다가 밤하늘을 바라보다가
먼 바다 울음소리를 홀로 듣노라면
천경(千經) 그 만론(萬論)이 모두 바람에 이는 파도란다
무산 스님이 대중에게 본지풍광을 드러낸 것은 1990년대 후반부터다. 1998년 무금선원을 개원한데 이어 2002년 백담사에 조계종 기본선원을 열어 후학들을 지도해 왔다. 입제와 해제 때면 종종 벼락같은 법어를 내려 불교계와 세상을 일깨웠다. 또 만해 스님의 자유·평등·평화·생명존중사상을 선양하기 위해 1999년 만해 스님 탄생 120주년을 맞아 백담사에서 ‘제1회 만해축전’을 개최했다. 세계평화와 인권, 학술분야에 앞장선 단체와 개인에게 만해대상을 시상하면서 불교의 위상을 높이는 데도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스님은 불교학자와 문인들에 대한 격려와 후원에도 늘 적극적이었다. 1999년 ‘불교평론’과 2001년 만해 스님이 창간했던 ‘유심’ 복간을 통해 학문과 시를 세상과 소통할 수 있도록 이끌었다. 또 2003년에는 인제군 북면 용대리 백담사에 만해마을을 만들어 만해 스님의 민족정신과 문학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노력해왔으며, 2013년에는 만해마을을 동국대에 무상 기증해 세간의 관심을 모았다.
무산 스님은 세연을 거두기 달포 전 시자를 불러 ‘天方地軸 氣高萬丈/ 虛張聲勢로 살다보니/ 온몸에 털이 나고/ 이마에 뿔이 돋는구나/ 억!’이라는 열반송을 남겼다. |
스님은 한국을 대표하는 시조시인이기도 했다. 1968년 ‘시조문학’을 통해 등단한 스님은 1977년 첫 시집 ‘심우도’를 출간한 이후 50여년동안 ‘산에 사는 날에’(2000) ‘만악가타집’(2002) ‘절간이야기’(2003) ‘아득한 성자’(2007) ‘비슬산 가는 길’(2008) 등 6권의 시집을 발간하기도 했다. 이 같은 작품 활동으로 스님은 1992년 현대시조문학상을 시작으로 남명문학상(1995), 가람문학상(1996), 한국문학상(2005), 정지용문학상(2007), 공초문학상(2008)등을 수상하기도 했다.
특히 스님의 문학세계를 다룬 ‘조오현 선시 연구’(김민서, 경기대대학원), ‘조오현 시조에 나타난 형식미학과 생명성 연구’(유순덕, 경기대대학원), ‘설악 조오현 선시조 연구’(배우식, 중앙대대학원) 등 박사학위논문을 비롯한 연구논문이 수십 편에 이른다. 또 스님은 백유경 선해(禪解) ‘죽는 법을 모르는데 사는 법을 어찌 알랴’(1993), 선을 쉽게 풀어쓴 ‘선문선답’(1994), ‘벽암록 역해’(1999), ‘무문관 역해’(1999) 등 저술도 남겼다. 2011년에는 조계종으로부터 포교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무산 스님은 생전에 ‘부음(訃音)을 받는 날’이란 시를 통해 자신의 죽음을 이렇게 노래했다.
내가 죽어보는 날이다
널 하나 짜서 그 속에 들어가 눈을 감고 죽은 이를
잠시 생각하다가
이날 평생 걸어왔던 그 길을
돌아보고 그 길에서 만났던 그 많은 사람
그 길에서 헤어졌던 그 많은 사람
나에게 돌을 던지는 사람
나에게 꽃을 던지는 사람
아직도 나를 따라다니는 사람
아직도 내 마음을 붙잡고 있는 사람
그 많은 얼굴들을 바라보다가
화장장 아궁이와 푸른 연기,
뼛가루도 뿌려본다
권오영 기자 oyemc@beopbo.com
첫댓글 {열반송}
천방지축 기고만장
허장성세로 살다보니
온몸에 털이 나고
이마에 뿔이 돋는구나
억!
-설악무산 스님 열반송(2018. 4. 5.)
나무아미타불...()()()..두손을 모읍니다...고맙습니다...
스님께서도 극락왕생 하소서_()_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_()()()_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_()_
나무아미타불 극락왕생 하소서()()()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_()()()_
저한테는 무산스님 보다는 오현스님으로 기억이 남습니다.
스님의 극락왕생을 기원드립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_()__()_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