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liverguide
 
 
 
카페 게시글
이식후 Talk 수술후 15일째인데 혈장교환술 계속 하고있어요
해피바이러스 추천 0 조회 1,050 14.07.18 21:33 댓글 6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4.07.19 01:41

    첫댓글 고생많으시네요.
    그런데 저는 암센타에서 했는데요.
    암센타 상담시 혈액형이 달라도 요즘은 혈장교환술 안한다고 하더라구요.
    수술3일전에 면역억제제만 먹고 수술한다고 상담 받았거든요.
    혈장교환술을 하나 하지않나 차이가 없어서 면역억제제만 투여한다고 들었어요.
    저는 o형끼리 하긴 했지만, 아들이혈액형이 달라서 상담 받았는데~
    아직도 다른병원은 혈장교환술을 하나 보군요.

    제가 잘못 상담받은건지 헷갈리네요.

    아무튼 고생많으십니다.
    잘견디어서 건강하시길 기원 합니다.

  • 14.07.20 20:36

    이식 전에는 항체형성억제제(리투시맙)를 투여하며 ‘항 A형 항체치’를 낮추기 위해 O형인 수혜자의 혈액에 원래 존재하는 ‘항 A형 항체’를 제거하기 위해 혈액을 체외로 뽑아내 혈장을 제거하고 AO형의 혈장을 투여하는 ‘혈장교환술(plasma-pheresis)’을 시행해 수혜의 혈중에 ‘항 A형 항체치’를 낮추는 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식 후 거부반응의 원인이 항 A형 항체치 상승에 있다고 보는 것 같습니다. 이식 후에도 종종 혈장을 교환하곤 하는데 횟수가 상당히 많은 것을 보면 혈장교환이 잘 이루어 지지 않는 모양입니다. 이식 전에 하는 교환술에서도 종종 있는 일인데 혈장교환이 원하는 수준까지 이루어지지 않으면

  • 14.07.19 11:28

    이식 자체가 불가능하여 포기하기에 이릅니다.

  • 14.07.20 20:03

    ABO 혈액형 부적합 간이식 후 시행한 혈장교환술은 혈액형 항체 역가가 1:16 이상(lg G 또는 lg M type 중 높은 역가 기준)으로 상승해 AMR(급성 항체매개성 거부반응)발생 위험이 있는 경우, 그리고 최대 1개월 범위 내에서만 급여를 인정합니다.

  • 14.07.20 15:31

    저도 부적합수술을한사람입니다
    저는 수술전12회했는데 11회차까지 항체가떨어지면 다시오르고 해서 수술불가하다고했는데
    12회차에 1:32로떨어지자마자 바로 응급수술했고요
    수술후 중환자실에서 3번했고요 병실 로 와서3번했읍니다
    그리고 1:60에서 퇴원한것같읍니다
    저도 궁금해서 교수한테물어보니 수술후 2주정도 만 지나면 혈액형이 맞지않아도
    맞는사람과 수술한것 똑같다고 들었읍니다

  • 14.07.20 20:02

    ABO 부적합 간이식후 항체 매개성 거부반응은 3-4주내 대부분 발생하며 이후에 동종응집소가 상승하더라도 이식편에 대한 면역학적 관용이 이루어져 이식편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