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youtu.be/WCmUWNUzaqo?si=ZEslF2oik2AwOGlu
Nino Rota - Romeo And Juliet (1968) Theme
김종태 <오라고 하셔도 갈 수가 없어요>
스무이레 새벽입니다
이제야 보고 싶다고
다 괜찮다고
다 잊자고
다 그런거라고 하시면서
오라고 하셔도 갈 수가 없어요
가녀린 초승엔 <아직>이라며 고개 저으시고
통통한 보름엔 <너무 환해 부끄럽다>며 좀 기다리라시고
쭈그렁 하현 때에는 <보기 싫다>고 손사래치시더니
이제 미늘 없는 낙시바늘 그믐처럼 되어
당신을 잡을 수도 없게 되니
오라고 이젠 오라고 초록불을 켜고 오라고 하셔도
갈 수가 없어요
이젠 갈 수가 없어요
저 길을 건너기 전에
저 강을 건너기 전에
저는 보이지 못할 겁니다
해가 뜨고 있어요
세월이 가고 있어요
이젠 더 이상 곁에 있을 수가 없어요
해가 뜨면 전 보이지가 않아요
하루가 가면 전 사라진답니다
* <로미오와 줄리엣>은 1968년까지 13번이나 영화화됐다.
이후 5~6번에 걸쳐 로미오와 줄리엣을 현시류에 맞게 영화화했는데,
이런 경우다.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나 혼합된 장르를 섞어 만든 영화들이다.
아마 20여 편이 넘을 '로미오와 줄리엣' 이리라---
<로미오와 줄리엣>의 매력은 어디에 있을까.
배우들이다. 타이틀롤을 맡은 레오나드 화이팅(로미오 역) 17세, 올리비아 핫세 16세---
싱싱한 감각을 자랑하는 프랭크 제피렐리의 연출이다.
그가 새롭게 창조해 낸 셰익스피어의 비련극은 당대 영화들 중 최고다.
배역도 셰익스피어의 극에 충실해 그 나이 또래를 출연시킨 점은 제피렐리가 아니었다면 상상불허---
또 다른 매력은 니노 로타의 음악이다.
로미오와 줄리엣이 만나는 파티장면에서 불려지는 'What Is Youth'는 영화 내내 다른 스타일로 변주 돼
심금을 울린다. 니노 로타 아니면 생각할 수 없는 효과음악이다---
니노 로타는 영화음악의 제왕이다.
프랭크 제피렐리는 무대연출가 답게 대담한 실험과 해석은 그가 약동적이자 감각적인 영상의 일인자임을 여실히
보여준다, 제피렐리답다.
*니노 로타는 1911년 12월 3일 태어나 1979년 4월 10일 67세로 눈을 감았다
*'대부'로 골든 글로브상 수상
'대부 2'로 아카데미 작곡상 수상
*니노 로타는 이탈리아 감독 페데리코 펠리니의 영화에 음악을 담당했다.
'백인추장'(1951)
'길'(1954, 젤소미나)
'카비리아의 밤'(1957)
'달콤한 인생'(1959)
'보카치오 70'(1962)
'8과 1/2'(1963)
'영혼의 줄리에타'(1965)
'사티리콘'(1969)
'아마코드'(1973)
'카사노바'(1976)
'오케스트라 리허설'(1979) 등등
여타 영화음악
'전쟁과 평화'(1956)
'태양은 가득히'(1960)
'레오파드'(1963)
'로미오와 줄리엣'(1968)
'워털루'(1970)
'대부'(1972)
'대부 2'(1972)
'나일 살인 사건'(1978) 등등
첫댓글 니노 로타의 '길'과 '대부' 등은 오래오래 기억될 시네마뮤직이다.
GODFATHER – ORCHESTRAL SUITE (1972) / NINO ROTA
https://youtu.be/GOcUpMetHB0?si=8mNLwGp3CG1cwPIJ
P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