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 李杏才 발원으로 창건 牧隱 李穡(1328-1396) 이 지은 記文. 1481년 여지승람에 存在.
1569년(선조2) 板刻된 月印釋譜板本(보물 582호) 현재 甲寺 보관 중. 기타 많은 경전 출판 1565 (명종20) 高峰禪要 1566 大慧書狀 1567 父母恩重經 1568 蒙山和尙六道普說 1569 金剛頂瑜伽最勝秘密成佛隨求다라니 1571 四十二章經 1572 禪宗永嘉集 1574 水陸無遮平等齋儀撮要 1581 法華經 1614 緇文經訓 등
화재. 性能과 克察 모연 중창 쌍계사중건비 1739 (영조5) 건립. 金樂曾撰 李重華書
조선후기 양식을 간직한 아름다운 가람구조
□ 鳳凰樓 누각건물이나 실제는 2층이 아니고 마루를 지표면에서 80센티 정도 높게 시설 - 누각처럼 보임.
누마루 안쪽 창방부에 순하게 생긴 19세기 도깨비 얼굴 [민중화되고 토속적인 자취]
□ 大雄殿 (보물 408호) 정면5칸 측면 3칸 단층팔작지붕. (단아한 조선후기 건물)
화려한 다포계 공포 英祖時代. 꽃창살문 독특. 다섯칸씩 모두 열짝 문에 모란 연꽃 국화무늬 섬세하게 조각 높은 우물천정. 화려한 닫집
釋迦 藥師 彌陀三尊佛 奉安 석가여래좌상 높이 180센티 무릎 폭 130센티 원만하신 상호 항마촉지인 약사여래좌상 아미타여래좌상 왼손 무릎위에서 엄지와 중지 맞대는 中品下生印
독립된 후불탱화 3 점 영산회상도. 가섭과 아난 팔대보살 십대제자[본존 어깨 좌우제자 두분 -뒤로 돌아선 자세] 1923년 11월 조성
오른쪽 세 번째 기둥 - 굵은 칡넝쿨. 노인들이 이 기둥을 안고 기도하면 죽을 때 고통을 면하게 된다고.
극락회상도 1923년 조성 약사여래도
□ 冥府殿 어리숙한 仁王像
□ 應眞殿
□ 부도 9기 (문화재자료 80호) 석종형 翠峰堂 慧燦(尋口堂 悲찬 ?)
2. 탑안이 寺址 (양촌면 양촌리) 석탑의 존재에서 유래. 석탑 1기 -일제시대 외부 반출. 탑의 위치 추정헐 수 있다. 서측 산곡간에 많은 암자 있었다고. 현재 옛 암자 터에 예배의 단이 마련되어 있다. 큰 규모 사찰.
3. 갓점 寺址(양촌면 인천리) 인천리 중심부에서 개설 쪽으로 2키로 가면 서북으로 형성된 계곡 말단부. 200여평 면적
[벌곡면]
1. 안터 寺址 (벌곡면 조평리) 마을 뒷산 계곡지역. 300평 암자형
2. 舊 孤雲寺址 (벌곡면 양산리) 고운사 마을 서단 산 중턱. 현재 민가 2동과 祭壇. 1200평. 절터 후면 僧塔.
3. 大芚山 靈隱寺址 (벌곡면 덕곡리) 조선시대 창건. 신경준(1712-1781)의 伽藍考에 존재. 여지도서 연산현 寺刹條 충청도읍지 호서유지에 "靈隱寺在大芚山" 석종형 僧塔 1기
최근 조영된 靈住寺 주변 많은 암자 거느린 큰 절있을 듯.
4. 孤雲寺址 (벌곡면 수락리) 구고운사에서 조선중기 이곳으로 이건 대둔산 북쪽 입구 月城峰 남동쪽 동향 800 평 여지도서 연산현 사찰조 "新孤雲寺在大芚山"
5. 수락리 마애불 (벌곡면 수락리 산 14-1) (문화재 자료 276호) 여말 선초 작품. 벽면에 음각. 전장 2.7미터 가슴높이 99센티. 대둔산 정상부 위치.
[夫赤面]
1. 덕평리 석조여래입상(부적면 덕평리) (유형 55호) 무릎 이하 매몰. 佛身 만도 1.95미터 巨像. 雲際寺址 (개태사 다음으로 큰 절) 두부 다소 마멸. 풍만하나 도식적. 수인은 施無畏印과 與願印으로 추정 고려시대 무신 정공권(? - 1382) 의 시에 소개되는 유명한 불상
2. 아게울 절터 (부적면 신교리 33) 아게울 마을 동쪽 300미터 북쪽계곡 구릉 서면 하단부 200 여평
3. 탑정리 석탑(부적면 탑정리) (유형 60호) 934년 후백제 전승지에 개태사 건립 개태사의 암자의 하나인 적사암 승려 대명비구 입적. 사리 봉안한 탑. 이형적인 석탑(탑 양식 변천사에 참고되는 탑) 부도탑 형식을 갖춘 탑.
4. 신풍리 마애불상 (부적면 신풍리) (유형 54호) 거대한 바위 면에 얕은 線刻. 높이 3.5미터 거구. 도식화되고 지방화된 고려시대 지방 양식. 舟形光背 - 頭光 부위 3 구의 化佛.
5. 高正山 永恩庵址 (부적면 신풍리) 고려 창건 추정. 인법당 뒤편 암벽에 마애불.
6. 계백장군묘 (부적면 신풍리) (기념물 74호) 수락산 기슭. 오래 전부터 "계백장군묘" "백제의총" "말무덤" 1965년 계백장군 묘로 인정. 계백 ( ? - 6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