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의 질병과 예방 | |
예방접종이란? |
|
질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 세균 등 항원(antigen)이 침입하면 생체의 면역체계에서 이 항원과 싸울 수 있는 B임파구가 항원과 결합하여 활성화 된 후 세포분열을 시작하여 형질세포(plasma cell)를 만듭니다. 형질세포는 감마 글로불린을 만들어 면역 글로불린으로 작용하며 체액성 면역의 주역이 됩니다. B임파구는 기억세포(memory cell)로 임파절에 남아있다가 기억해 두었던 항원과 다시 접촉했을 때 바로 형질세포로 변하여 항체를 분비합니다.
예방접종은 이러한 기억세포(memory cell)를 활용하는 방법으로서 항원을 화학적으로 생독화(live vaccine) 또는 사독화(killed vaccine)시켜서 생체에 접종시 질병을 일으키지 않고 항체(antibody)만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질병 중에는 한번 감염되면 평생 면역되는 것도 있지만 대부분은 면역체계의 기억이 소실되어 항체가 사라지므로 항상 일정한 항체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보통 1년에 1~2회씩 추가 접종을 실시합니다. |
|
|
백신프로그램 |
|
|
연 령 |
. |
FCRVP (4종혼합 백신) |
FeLV (고양이백혈병 바이러스) |
FIP (고양이전염성 복막염) |
Rabies (고양이 광견병) |
Ringworm (곰팡이성 피부병) |
4~6주 |
면혁기능 항진제 |
. |
. |
. |
. |
. |
6~8주 |
. |
1차 |
. |
. |
. |
. |
11주 |
. |
2차 |
1차 |
. |
. |
. |
14주 |
. |
3차 |
2차 |
. |
1차 |
. |
16주 |
. |
. |
. |
1차 |
. |
1차 |
19주 |
. |
. |
. |
2차 |
. |
. |
특징 |
. |
3주간격 3회 |
3주간격 2회 |
3주간격 2회 |
. |
. |
추가접종 |
. |
매년 1회 |
매년 1회 |
매년 1회 |
매년 1회 |
매년 1회 |
중요성 |
. |
⊙ |
√ |
√ |
⊙ |
√ | |
|
|
범백혈구 감소증(Panleukopenia) |
|
'고양이홍역'이라고 불리는 전염성이 높은 바이러스로 주로 어린고양이에게 폐사를 일으킬만큼 치명적입니다. 사람이나 강아지에겐 감염되지 않습니다. 임상증상으로 발열, 식욕부진, 구토, 침울, 쇠약,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개에 있어 Parvo virus처럼 외부 환경에서도 저항력이 강해 사람의 옷이나 신발 손을 통해서도 옮겨질 수 있으므로 감염된 고양이가 있는 장소를 방문한 후에는 철저한 소독이 필요합니다. |
|
|
바이러스성 비기관염(FVR-Feine viral rhinotracheitis) |
|
'고양이홍역'이라고 불리는 전염성이 높은 바이러스로 주로 어린고양이에게 폐사를 일으킬만큼 치명적입니다. 사람이나 강아지에겐 감염되지 않습니다. 임상증상으로 발열, 식욕부진, 구토, 침울, 쇠약,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개에 있어 Parvo virus처럼 외부 환경에서도 저항력이 강해 사람의 옷이나 신발 손을 통해서도 옮겨질 수 있으므로 감염된 고양이가 있는 장소를 방문한 후에는 철저한 소독이 필요합니다. |
|
칼리씨바이러스(FCV-Feline calcivirus) |
|
칼리씨바이러스는 구강점막과 호흡기에 감염됩니다. 구강, 비강 그리고 혀에 궤양이 생기는 것이 특징입니다. 식욕부진 침울, 발열, 타액분비, 비루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
|
|
Chalamydia vaccine |
|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는 Chalamydia Psittaci세균이 주요 원인체입니다. 클라미디아 백신은 지속시간이 길지않고 백신의 예방효과가 불완전하며 백신자체에 대한 부작용의 가능성이 높아 추천하지 않습니다. |
|
고양이 백혈병바이러스(FeLV) |
|
타액, 콧물, 뇨, 변 그리고 벼룩에 의해서 감염되며, 어린 고양이는 주로 수유 시 모유를 통해 감염됩니다. 인간에 있어 에이즈(AIDS)와 같이 체내 면역계를 억압하므로 2차 감염에 따라 다양한 발병 양상을 보입니다. 개나 사람에게는 감염되지 않습니다. 어느 나이든지 발생 가능하지만 특히, 어린 고양이나 나이든 고양이에게 주로 발생합니다. 건강해 보이는 100마리의 고양이 중에 대략 1~2마리의 고양이가 감염돼있습니다. 감염 후 혈중에 바이러스를 보유한 고양이의 99%가 감염 후 5년내에 폐사합니다. 임상증상으로는 발열, 빈혈, 식욕저하, 의기소침이 관찰되며 확실한 치료법이 없고 대부분 극심한 통증 후에 폐사합니다. |
|
고양이 전염성복막염(FIP) |
|
코로나바이러스로서 고양이간에 감염된 고양이의 체액을 통해 배출된 바이러스를 섭취, 흡입함으로써 감염됩니다. 발병은 연령과는 상관없으나 70%이상이 어린 고양이부터 3년령 고양이에서 발생하며 대형의 캐터리와 같은 많은 고양이를 키우는 곳세서 발생빈도가 높습니다. 많은 고양이를 키우는 곳에서는 감염 후 치사율이 5%에 이르나 단독으로 집에서 키우는 고양이의 경우 감염, 치사율이 1/50000보다 작습니다. 따라서 다른 고양이와 접촉이 없는 가정고양이의 경우 백신을 권하지는 않습니다.
임상증상으로는 바이러스가 거의 모든 장기를 손상시키기 때문에 복수, 발열, 식욕저하, 체중감소 등이 관찰됩니다. 병의 발전 양상에 따라 습성형과 건성형으로 구분합니다. 습성형 : 복부와 흉부에 염증이 생기고 장액이 축적되어 흉수와 복수가 관찰됩니다. 건성형 : 장액이 축적되는 증상이 관찰됩니다. |
|
고양이 켄넬코프(FeBt) |
|
고양이에 있어 가장 일반적인 질병인 상부호흡기감염(upper respiratory infection-URI)의 주된 원인체입니다. 최근 보고에 의하면 85%의 고양이가 이 세균에 노출돼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전문 캐터리와 같은 많은 고양이를 키우는 곳에선 많이 발병하나 가정고양이의 경우 백신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임상증상으로는 식욕저하, 재채기, 콧물, 기침, 호흡곤란, 발열, 눈꼽, 무기력 등이 관찰됩니다. |
|
고양이 광견병(Rabies) |
|
광견병은 개뿐 아니라 고양이 등 모든 온혈동물에 치명적인 전염병으로 고양이에게도 광견병 예방주사 접종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고양이는 가축전염병예방법상 가축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아 주인이 자율적으로 예방접종을 실시해 주어야 합니다. 감염된 동물의 타액속의 바이러스가 교상에 의한 상처를 통해 감염됩니다. 임상증상으로는 신경세포에 친화적인 바이러스로 뇌와 척수로 이동하여 공수병(반사하는 물질에 대한 과민반응, 목의 통증으로 인해 물을 못 마심), 마비, 광분, 이식증을 일으킵니다. |
|
곰팡이(Ring Worm) |
|
털관리가 잘 안되거나 목욕 후 털의 건조가 제대로 되지 않은 경우 발생하는 곰팡이성 피부병입니다. 주로 털이 많이 빠지고 가려움증을 동반하며 몸 전체로 번집니다. 탈모 부분은 회색을 띠거나 피부에 하얀 비듬이 많이 나와서 동전 모양을 보입니다. 고양이털은 섬세하고 촘촘하여 목욕 후 습기가 남아 있지 않도록 주의를 해야 합니다. 피부 진균증에 걸리면 먹는 약, 약용샴푸와 연고를 함께 사용해서 치료하는 것이 빠른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평소에 햇볕을 많이 받도록 해야하고, 통풍이 잘되는 곳에 머무르게 합니다. |
|
회충(Roundworm) |
|
개의 경우 모체가 roundworm(회충)에 감염되었을 경우 임신 42일이 되기 이전에 이미 태아에게 감염된다. 어린 강아지 내에서 성숙과정을 거친 후 태어난지 3주가 되면 변을 통해서 충란이 배출되기 시작합니다. 고양이의 경우도 비슷하지만 개의 경우처럼 자궁내의 감염이 아니라 수유 중에 유즙을 통해서 전파가 됩니다. 유충이 어미고양이의 유선조직에서 기생하다가 수유에 의한 자극으로 유즙으로 배설됨으로써 애기 고양이에 감염됩니다.
회충은 다른 동물뿐 아니라 사람에게도 감염됩니다. 특히, 분변-손가락-입의 경로를 통해서 어린이이게 감염되면 유충은 눈과 뇌를 타겟으로 삼고 이동하므로 심각한 상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강아지의 경우 3주전부터 충란을 배출하기 전에 규칙적으로 구충제를 먹여야 하고 주변환경을 청결히 해야합니다. 물론 최상의 방법은 어미 개나 고양이에 있는 회충을 구제하는 것이지만 아직 확실한 효과를 낼 수 있는 약제가 개발되어 있지 않습니다.
현미경을 통한 분변검사에서 충란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간혹 드물게 어린 강아지나 고양이는 구토나 변을 통해서 1~10인치 크기의 마치 스파게티국수 가닥모양의 성충을 배출합니다. 애기 고양이나 강아지에게서 성충이 발견된다면 100% 어미에게도 회충이 있다고 봐야합니다. 임상증상으로는 설사, 어린강아지 고양이의 피모이상, 배만 불룩 나온(pot-bellied) 올챙이 모양의 배, 성장부진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 간, 폐, 뇌까지도 손상을 입힐 수 있습니다. |
|
|
촌충(Tapeworm) |
|
기생충은 종류에 따라 피부, 폐, 심장, 간, 소화기관내에 거의 모든 장기에 분포합니다. Roundworm(회충)과 Tapeworm(촌충)은 동물의 소화기관에 기생하는 대표적인 기생충으로서 설사, 피모의 이상, 발육부진 등의 증상을 나타냅니다.
촌충은 벼룩에 의해서 전파되며 주로 어린 고양이보다 성묘에 감염된다. 현미경을 통한 분변검사로는 충란을 관찰하기가 힘듭니다. 따라서 진단은 축주의 관찰에 의존적입니다. 변이나 항문주위에 성충의 분절이 하얀 오이씨 모양, 혹은 쌀알모양을 하고 꼼찍꼬질 움직이는 게 관찰됩니다. 이러한 분절은 사람이나 개에게는 감염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주변의 벼룩이 분절 혹은 충란을 먹었을 경우 벼룩 안에서 성숙과정을 거치게 되고 이 벼룩을 다른 애완동물이 먹을 경우엔 감염이 됩니다. 따라서 촌충의 치료에 있어서 벼룩의 구제가 중요한 것입니다. 촌충의 치료를 위해선 반드시 수의사와 상담 후 벼룩구제 및 방역에도 신경을 써야 합니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