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불일(浴佛日), 불탄일(佛誕日)로 불리는 4월 초파일
음력 4월 8일은 석가모니, 즉 부처님의 탄신일로 불교 신자들의 가장 큰 명절이다. 기록에는 이날을 흔히 ‘욕불일’ 또는 ‘불탄일’이라고 씌어져 있고, 스님과 불교도들은 이미 고려시대부터 불교명절로 맞이하였다. 그러나, 조선시기에 이르러서는 유교를 통치 이념으로 받아들이는 반면 불교를 억제하게 되었다. 그에 따라 일반인들은 그것을 불교와 직결시키지 않고 일반 명절로 맞이하였으며, 단지 불교도들만이 불교적 행사를 하는 명절로 받아들였다. 이날의 불교적 행사로는 제물을 차려놓고 부처에게 제를 올리며, 욕불예식 즉 부처를 목욕시키는 의식으로 불상을 가마에 태워가지고 절간 마당을 빙빙 돌며 물을 뿌려주는 행사들을 치른다. 불교도들은 절로 부처님을 찾아가서 불공을 드리고 탑돌이도 한다. 탑돌이란 절에 있는 탑을 둘러싸고 빙빙 도는 것을 말하는데, 이 탑돌이를 하는 이유는 이것을 성의껏 많이 하면 죽어서 「극락세계」로 간다는 설교를 믿기 때문이다.
초파일 · 고려시대 때부터 이어져온 불교명절 범패는 절에서 주로 재물 올릴 때 부르는 노래
|
초파일에 하는 놀이 등놀이 와 불꽃놀이
이날 하는 놀이로는 등놀이와 불꽃놀이가 있다. 등놀이는 도시의 불교도들과 상인들 사이에서 성행했던 것으로 장대에 여러 가지 등을 식구 수대로 달아 놓고, 장대 끝에는 꿩의 꼬리를 꽂고 비단으로 만든 깃발을 달아 그 날을 즐기는 놀이이다.
또한 등은 여러 가지 형태를 만드는데, 연꽃, 수박, 마늘 등으로 식물을 형상화한 것과 용, 학, 잉어, 거북이 등 동물을 형상화한 것, 그리고 별과 물체를 형상화한 동물 등이 있다. 등에는 글도 써 넣었는데, 그 내용은 각자의 안녕과 부귀를 염원하는 것이다.
불꽃놀이는 종이에 화약을 싸서 새끼에 매어 늘어놓고 한 끝에 불을 달아 화약이 연달아 튀면서 줄불이 비처럼 쏟아 내리는 것을 보고 즐기는 놀이이다. 불꽃을 잘 만들어 불화살이 날게 한 것도 있다. 이와 같이 사람들은 화약이 터지면서 불꽃이 날리고 동시에 불화살이 이리저리 날아 불야성을 이룬 그 밑으로 오가면서 등을 바라보며 그 날을 즐긴다.
제를 올릴 때 하는 불교음악 범패
범패는 절에서 주로 제를 올릴 때 부르는 노래로 범음(梵音), 어산(魚山), 인도(印度)소리라고도 하며, 리듬과 화성이 없는 단성선율(單聲旋律)로서 매우 정대한 불교음악이다.
범패의 종류는 네 가지가 있는데, 안채비들이 부르는 안채비 소리와 겉채비들이 부르는 홋소리 및 짓소리, 그리고 대중들에게 포교를 목적으로 축원(祝願)을 하는 화청(和請)이나 회심곡(回心曲) 등이다.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요령을 흔들면서 낭송하는 것은 안채비 소리에 속하며, 이를 통상 염불(念佛)이라고 한다
범패의 역사는 『삼국유사(三國遺史)』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는데, 이것은 이미 경덕왕 19년(760년) 무렵에 범패승이 있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그러나 범패를 들여온 경로와 그 제자들을 양성한 분명한 기록은, 신라의 고승(高僧) 진감대사(眞鑒大師)로 부터이다. 하동 쌍계사에 있는 진감대사 ’대공탑 비문’에 의하면, 804년 당나라에 갔다가 830년에 귀국한 후 옥천사에서 수많은 제자들에게 범패를 가르쳤다고 한다. 이러한 역사적 기록들을 보아도 불교의식 음악인 범패는 이미 지금으로부터 천년이 훨씬 넘은 음악임을 알 수 있다.
매년 4월 초파일에는 장인굴곡(長引屈曲)하며, 유현청화(幽玄淸和)한 범패를 감상해 보자
이와 같이 종교 의식음악인 범패의 음악적 특징으로는 유현청화하여 속되지 않고, 장인굴곡하여 유장하고 심오한 맛이 있음을 들 수 있겠다.
즉 인공적이기 보다는 자연적이며, 소박하면서도 품위를 잃지 않아 의젓하고 그윽한 맛을 풍기는 불교의식 음악 범패를 감상하며 부천님의 오심의 의미를 다시 한번 되새겨 보도록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