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본문내용
역대상 4장
1 유다의 아들들은 베레스와 헤스론과 갈미와 훌과 소발이라 ㅇ유다의 아들들 - 여기서 '아들들'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브네이'는 (1) 문자 그대로 '아들들'이란 의미로 해석할 수도 있으나 (2) '후손들'이란 의미로도 해 석할 수 있다. 그런데 여기서는 후손들이란 의미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왜냐하 면 본절에 소개된 인물들은 베레스(Perez)만을 제외하고는 모두 유다의 후손들이기 때문이다(창 10:31, 32;출 9:4;레 25:46 등). 한편, 본절에서부터 23절까지는 유다의 단편적인 족보가 소개되어 있는데, 이는 2장의 유다 족보를 보충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족보는 이곳 이외에 성경 어디에도 나타나지 않는다는 특징을 지닌다. ㅇ베레스 - 유다가 며느리 다말(Tamar)과 관계하여 낳은 아들이다. 2:4 주석 참조. ㅇ헤스론 - 베레스의 아들로서 이름의 뜻은 '울타리'이다. 2:5 주석 참조. ㅇ갈미 - 이 자에 대해서는 학자들 간에 서로 상충된 의견을 보이고 있다. 즉, 일부 는 이 갈미(Carmi)를 '헤스론의 아들 갈렙'(2:18)으로 보고 필사자가 오기(誤記)한 경 우라고 주장한다(Payne, Curtis). 반면에 또 다른 학자들은 이자를 2:7에 나오는 세라 의 후손 '가르미'와 동일 인물이라고 주장한다.(Keil, Bertheau, O Zockler). 그런데 본절이 유다 베레스 헤스론 훌 소발로 이어지는 유다의 직계 족보를 언급하고 있 는 것임에 비추어 볼 때 양 견해 중 비교적 전자가 더 타당성이 있다. 물론 이에 맞서 카일(Keil) 등은 본 족보를 반드시 베레스와 헤스론의 혈통에 맞추어 해석할 필요가 없다고 강변(强辯)하면서 다음과 같은 주장을 한다. 즉, 본 족보(1-23절)의 초점은 이 스라엘 내에서 탁월했던 유다의 여러 가족들을 소개하는 데 있지 직계 후손으로 이어 지는 어느 한 조상의 후손들을 소개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는 주장이다. 이는 분명 히 맞는 이야기이다. 그러나 본문은 이를 위하여 먼저 유다 베레스 헤스론 갈렙 훌로 이어지는 유다의 5대 직계손을 언급한 다음에 소발의 후손(2-4절), 아스훌의 후 손(5-8절), 야베스의 후손(9-12절) 및 기타 여러 후손(13-23절)을 소개하고 있는 것이 다. 이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본장 1-23절 문단 강해를 보다 참조하라. ㅇ훌 - 갈렙의 아들이자 모세의 성막 건축을 담당했던 브사렐(출 31:2-5)의 조부(祖 父)이다. 2:19주석 참조. ㅇ소발 - 훌이 자신의 아내 에브랏(일명 에브라다)에게서 낳은 아들이다. 소발 (Shobal)은 기브온 족속의 옛 성읍인 '기럇여아림'의 창건자이다. 2:50 주석 참조. 2 소발의 아들 르아야는 야핫을 낳았고 야핫은 아후매와 라핫을 낳았으니 이는 소라 사람의 족속이며 ㅇ본절은 2:52에 나오는 소발 자손의 계보를 보충하고 있는 부분이다. ㅇ르아야 - '르아야'는 2:52의 '하로에'와 동일 인물이다. 참고로 '르아야'는 '여호와께서 공급하셨다'는 뜻이며 '하로에'는 '선견자'란 뜻이다. 2:52 주석 참조. ㅇ야핫 - 야핫(Jahath)이란 이름의 뜻은 '붙잡으시리라'이다. 그런데 이와 동일한 이 름을 지닌 자는 레위 자손 가운데서도 3명이나 나타난다(23:10;24:22;대하 34:12). ㅇ아후매와 라핫...이는 소라 사람의 족속이며 - 아후매(Ahumai)와 라핫(Lahad)이 소 라 족속의 조상임을 의미하는 말이다. 한편 갈렙의 후손 소라 족속은 소라(Zorah) 땅 에 거주 하였는데 그곳은 예루살렘 서쪽 약 20km지점이다. 삿 13:2 주석 참조. 3 에담 조상의 자손들은 이스르엘과 이스마와 잇바스와 저희의 매제 하술렐보니와 ㅇ3, 4절은 훌의 아들 에담(Etam)의 자손들에 대하여 소개하고 있다. ㅇ에담 조상의 자손들 - 에담은 훌의 아들이다. 그의 후손들은 예루살렘 남쪽 유다 산지의 에담 성에 거주하였다(대하 11:6). ㅇ이스르엘 - 에담의 아들인 이스르엘(Jezreel)은 또한 유다 지파의 산성 이름이기도 하다(수 15:56). 다윗의 아내 아히노암은 바로 이곳 이스르엘 출신의 여인이었다 (3:1). ㅇ이스마와 잇바스와...하술렐보니 - 이스르엘과 함께 이들은 에담 족속의 조상 또는 그 지도자들을 의미하는 이름들일 것이다(Keil, Lange). 4 그돌의 아비 브누엘과 후사의 아비 에셀이니 이는 다 베들레헴의 아비 에브라다의 맏아들 훌의 소생이며 ㅇ그돌의 아비 브누엘 - 브누엘(Penuel)은 훌의 또 다른 아들이다. 그리고 '그돌의 아비'는 그돌(Gedor)을 창설하고 그곳에 정착한 사람이란 뜻이다. 그돌은 헤브론 근처 유다 산지의 성읍으로서(수 15:58) 오늘날의 베들레헴 근처 길벳 그둘(Khirbet Gedur) 이다. 한편, 18절에서는 그돌의 또 다른 조상 예렛(Jered)이 소개되어 있다. 이로써 우리는 그들의 거민들이 두 가족의 후손들로 형성되었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Lange, Keil). ㅇ후사의 아비 에셀 - '그돌의 아비 브누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후사(Hushah) 역시 한 장소의 지명이다. 그렇지만 그곳의 위치나 그밖의 사항에 대해 알려진 것은 없다. 다만 성경에는 다윗의 용사 십브개가 후사 사람인 것으로 나와 있을 뿐이다 (11:29;20:4;삼하 21:18;23:27). ㅇ베들레헴의 아비 에브라다의 맏아들 훌의 소생 - 여기서 훌(Hur)이 베들레헴의 조 상으로 기록된 것은 그의 아들 살마(Salma)가 베들레헴의 창설자였기 때문이다(2:51). 한편 에브라다(Ephratah)는 갈렙이 거느렸던 여러 아내 중 한 사람으로 일명 에브랏 (Ephrath)으로 불리웠던 여인이다. 2:19주석 참조. 5 드고아의 아비 아스훌의 두 아내는 헬라와 나아라라 ㅇ드고아의 아비 아스훌 - 아스훌(Ashur)은 헤스론의 유복자(遺腹子)이며(2:24) 훌의 삼촌이다. 그리고 드고아(Tekoa)는 예루살렘 남쪽 16km 지점에 위치한 유다 성읍이다. 2:24 주석 참조. 6 나아라는 그로 말미암아 아훗삼과 헤벧과 데므니와 하아하스다리를 낳았으니 이는 나아라의 소생이요 ㅇ헤벨 - 헤벨(Hepher)은 성읍 헤벨의 창설자이든지 아니면 그곳의 조상일 것이다 (Lange). 헤벨은 여호수아가 쳐서 멸망시킨 가나안 족속의 왕도(王都)로서(수 12:17) 유다 남부 답부아 근처에 위치하였다. ㅇ하아하스다리 - 이는 '아(하)스달의 자손'(one descended from A(ha) shtar)이라는 뜻이다. 따라서 하아하스다리(Haahashtari)가 개인 이름인지 아니면 '아하스달 족속' 을 가리키는 것인지는 분명치 않다(Payne, O. Zockler, Keil & Delitzsch). 7 헬라의 아들들은 세렛과 이소할과 에드난이며 ㅇ세렛 - 세렛(Zereth)이란 이름의 뜻은 분명치 않다. 그러나 그는 야곱의 손자로서 세렛 가족의 시조였던 세렛(Sered)과는 분명히 구별된다(창 46:14). 8 고스는 아눕과 소베바와 하룸의 아들 아하헬 족속들을 낳았으며 ㅇ고스 - 여기서 고스(Coz)와 아스훌(5절)과의 관계가 정확하게 언급되어 있지는 않 다. 그러나 고스는 헬라(Helah)가 아스훌에게서 낳은 아들들(7절) 중의 한 명인 것으 로 추측된다. 한편 그의 이름과 유사한 '학고스'는 레위 자손이다(스 2:61;느 3:4). ㅇ아눕 - 그는 아마도 유다의 아납(Anab) 성읍의 조상일 것이다(수 11:21). 한편 그 밖의 고스의 아들들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9 야베스는 그 형제보다 존귀한 자라 그 어미가 이름하여 야베스라 하였으니 이는 내가 수고로이 낳았다 함이었더라 ㅇ야베스는 그 형제보다 존귀한 자라 - 야베스(Jabez)에 대해 우리가 달리 알 수 있 는 사항은 없다. 다만 훌의 후손들 중 서기관 족속이 야베스라는 곳에 거하였다는 사 실이 성경에 언급되어 있을 뿐이다(2:55). 만일 야베스가 2:55의 지명 야베스와 어떤 연관이 있다면 그는 훌의 아들 소발(2:50)의 후손이 될 것이다. 그런데 일부 학자들은 '그 형제보다 존귀한 자'라는 본절에 의거하여 야베스가 고스(8절)의 형제이거나 아니 면 고스의 아들 중 하나일 것이라고 추측한다(Keil, Lange). 한편 야베스는 고통이란 뜻의 '아차브'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고통의 아들'이란 뜻이다(Lange). 10 야베스가 이스라엘 하나님께 아뢰어 가로되 원컨대 주께서 내게 복에 복을 더 하사 나의 지경을 넓히시고 주의 손으로 나를 도우사 나로 환난을 벗어나 근심이 없게 하옵소서 하였더니 하나님이 그 구하는 것을 허락하셨더라 ㅇ야베스가...하나님께 아뢰어 - 여기서 '아뢰다'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카라' 는 '브르짖다'는 뜻이다. 이는 곧 야베스가 절박한 심정으로 하나님께 간절히 도 움을 간청하였음을 의미한다. ㅇ환란을 벗어나 근심이 없게 하옵소서 - 여기서 '근심'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오추 비'는 곧 '나의 고통'이란 뜻이다. 이는 곧 그의 이름의 뜻과 유사하다. 아무튼 본절로 보아 야베스는 자기에게 있는 심적, 육적 고통을 하나님께 호소하였음 을 알 수 있다. ㅇ하나님이 그 구하는 것을 허락하셨더라 - 여기서 '허락하셨더라'에 해당하는 히브 리어 '야베'는 '이루다', '가져오다'는 뜻이다(창 18:19;출 35:29;겔 33:2). 따라서 본절은 야베스가 구하는 대로 하나님께서 다 이루어 주셨음을 보여준 다. 우리는 여기서 진정과 간절함으로 구하는 기도가 응답받는 모범적인 신앙의 한 면 을 발견하게 된다. 즉, 고통의 아들은 기도로써 다른 형제보다 더 존귀하고 명성있는 자(9절)가 되었던 것이다(Keil). 이와 관련해서는 삼상 1:9-18 강해, '기도와 기도의 응답'을 보다 참조하라. 11 수하의 형 글룹이 므힐을 낳았으니 므힐은 에스돈의 아비요 ㅇ수하의 형 글룹 - 이는 헤스론의 아들 갈렙(2:18)이나 여분네의 아들 갈렙(15절)과 는 분명히 다른 사람이다. 한편 수하(Shuhah)라는 이름은 본절 이외의 다른 곳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그 이름의 뜻은 '의기 소침'이다. 12 에스돈은 베드라바와 바세아와 이르나하스의 아비 드힌나를 낳았으니 이는 다 레가 사람이며 ㅇ이르나하스 - 사해 남쪽 아라비아 광야 서부에 위치한 오늘날의 길벳 나하스 (Khirbet Nahas)이다. 한편, 이르나하스(Ir-nahash)의 뜻은 '악마의 성읍'이다. ㅇ레가 사람 - 레가(Rechah)는 유다의 한 성읍으로 생각되나 그 위치는 알 수 없다. 그런데 어떤 사본에는 '레가'가 '레갑'(Rechab)으로 기록되어 있으니 레가를 레갑과 동일 인물로 볼 경우 본절은 2:55과 연결되어 질 수 있다. 한편 레갑 족속은 모세의 장인 호밥이 속했던 족속으로 겐 족속 혹은 미디안 족속이라고도 하며 이스라엘 민족 에게 쉽게 동화되어 여호와 하나님을 충성스럽게 섬겼던 족속이다(창 15:19;삿 1:16;4:11;렘 35:2). 이같이 이스라엘의 순수 혈통에 속하지 아니한 자들도 계보에 포 함되었다는 사실에서(17, 18절), 우리는 이방 세계를 향한 하나님의 영원하신 계획을 엿볼 수 있다(사 9:1;42:1, 6). 한편 구약 성경에서 이방인으로서 언약 백성의 계열에 든 대표적 인물들로서는 다말(창 38장:마 1:3), 라합(수 6:22, 23;히 11:31), 룻(룻 4:13; 마 1:5) 등이 있다. 13 그나스의 아들들은 옷니엘과 스라야요 옷니엘의 아들은 하닷이며 ㅇ그나스의 아들들 - 혹자는 그나스(Kenaz)가 헤스론의 후손이라고 주장하나(Keil, Lange) 본 문맥에서 그나스와 헤스론의 관계를 맺어주는 어떠한 근거를 발견할 수 없 다. 반면, 그나스는 남부 팔레스틴의 이방 족속으로서(창 15:19) 겐 족속과 갓몬 족속 사이에 거주한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여기서 '그나스의 아들들'이란 말은 본래 그 나스 족속에 속했으나 여호와의 종교로 개종하여 유다 지파 사람이 된 외국인 곧 '게 르'를 의미하는 것 같다(Payne). 한편, 그나스는 일명 그니스(Keniz)로 표기 되기도 하였다(수 14:6). ㅇ옷니엘 - 가나안 정복시 유다 지파가 분배받은 땅에서 잔존해 있던 이방인들을 몰 아내는 데 혁혁한 공을 세운 인물이다(수 15:13-19). 또한 그는 이스라엘의 최초의 사 사이기도 하다(삿 3:9). 본서 기자는 바벨론 귀환 후의 유다인들에게 가나안 정복 당 시의 기상과 신앙을 되새기게 함으로써 그들로 민족 재건에 솔선하게끔 하기 위해, 유 다 지파의 용장(勇將)이었던 옷니엘을 소개한 것으로 보인다. 14 므오노대는 오브라를 낳았고 스라야는 요압을 낳았으니 요압은 게하라심의 조상이라 저희들은 공장 (工匠)이었더라 ㅇ요압은 게하라심의 조상이라 - 여기서 '게하라심'은 '장인 (匠人)들의 골짜기'라는 뜻이다. 이는 곧 그곳에 거주하던 자들의 직업에 따라 지명이 형성된 경우이다. 요압(Joab)은 이곳 게하라심에 마을을 건립한 창립자이다. 그런데 게하라심의 위치가 어디인지는 알려진 바가 없다. ㅇ저희들은 공장이었더라 - '공장'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하라쉼'은 '파다', '새기다'는 뜻의 동사 '하라쉬'에서 파생된 말로서 금속을 조각하 는 전문 세공인을 의미한다(29:5;호 8:6;사 40:19). 그런데 이 말은 때에 따라 대장장 이(삼상 13:19)나, 목수, 건축가(왕하 12:12)를 의미하기도 한다. 이처럼 개종한 그나 스 족속의 자손들은 게하라심에 모여 전문적인 기능을 발휘하였다. 한편 이밖에도 본 장에 열거된 유다 지파의 계보 내에는 방직업자(21절), 옹기장이와 정원사(23절) 등과 같은 여러 직업이 나와 있다. 이와 관련 성경에 소개된 직업들을 참고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5 여분네의 아들 갈렙의 자손은 이루와 엘라와 나암과 엘라의 자손과 그나스요 직 종 성 구 직 종 성 구 간 수 행16:23 사 관 삼하8:16 감 역 관 삼하20:24 상 인 느13:20 객 점 창42:27 서 기 관 삼하8:17 고리대금업 출22:25 세 탁 자 사7:3 고 지 기 스1:8 교 사 왕하2:3 구리장색 딤후4:14 시 인 민21:27 군 사 마8:9 악 사 시68:25 금 장 색 느3:31 어 부 사19:8 농 부 왕하25:12 옷감장수 행16:14 동산지기 요20:15 요 리 사 삼상8:13 랍 비 마23:7-8 장막짓기 행18:3 마 부 삼상8:11 장 인 잠26:10 목 수 삼하5:11 청 지 기 창43:16 목 자 창13:7 파 수 꾼 삼상14:16 무 녀 사57:3 포도원지기 아1:6 문 지 기 삼하18:26 피 장 행9:43 배만드는자 왕상9:26 향제조자 삼상8:13 법 률 사 단3:2 항 해 사 시107:23 변 사 행24:1 환 전 상 요2:14,15 복 술 사 신18:10 ㅇ여분네의 아들 갈렙 - 헤스론의 아들 갈렙(2:18)이 아니라 그 유명한 모세의 정탐 꾼 갈렙을 가리킨다(민 13:6). 그는 사사 옷니엘의 큰아버지이기도 하다(수 15:17). 즉, 옷니엘의 아버지 그나스는 갈렙의 아우였다. 수 15:17 주석 참조. 그런데 옷니엘 은 갈렙의 딸 악사를 아내로 맞이하였다(수 5:16-19). 16 여할렐렐의 아들은 십과 시바와 디리아와 아사렐이요 ㅇ십 - 그는 유다 산지의 성읍인 십(Ziph)의 창설자이다. 그런데 헤스론의 아들 갈렙 의 아들인 메사(Mesha) 또한 십의 창건자였다. 2:42 주석 참조. 그러므로 이 두 사람 은 어떤 식으로든 제각기 십의 건설에 관여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한편 십은 헤브론 남동쪽 6.4km지점에 위치한 오늘날의 텔 지프(Tell Zif)이다. 17 에스라의 아들들은 예델과 메렛과 에벧과 얄론이며 메렛은 미리암과 삼매와 에스드모아의 조상 이스바를 낳았으니 ㅇ에스드모아 - 헤브론 남쪽으로 14.4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오늘날의 에스 세무아 (es Semua)이다. 본래 유다 지파의 성읍이었으나 후에 제사장 아론 자손에게 할당되었 다(수 21:14). ㅇ이스바 - 메렛(Mered)이 바로의 딸 비디아에게서 낳은 아들이다(18절). 18 이는 메렛의 취한 바로의 딸 비디아의 아들들이며 또 그 아내 여후디야는 그돌의 조상 예렛과 소고의 조상 헤벧과 사노아의 조상 여구디엘을 낳았으며 ㅇ메렛의 취한 바로의 딸 비디아 - 메렛이 취한 비디아(Bethiah)는 분명 애굽 여인이 며 바로 왕의 딸이다. 왜냐하면 바로 뒤이어 소개된 메렛의 또 다른 아내 '여후디야' (Jehudijah)는 '유대 여인'이란 뜻으로 바로의 딸과 대조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한 편 메렛이 어떻게 바로의 딸을 아내로 맞아들일 수 있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혹자는 메렛이 당시 애굽의 총리였던 요셉(창 41:41-45)의 영향으로 바로의 딸을 취할 수 있 었을 것이라고 추측하기도 한다(Payne). 만일 그것이 사실이라면 메렛은 이스라엘인들 의 애굽 체류 초기 시대(약 B.C.1800년이전)의 인물인 셈이다. ㅇ여후디야 - '여후디야'는 '유대 여인'이란 뜻으로서 '바로의 딸'이 란 말과 대구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이는 개인의 고유한 이름이 아닐 수도 있다 (Wycliffe Bible Commentary). ㅇ그돌의 조상 예렛 - 그돌(Gedor)은 헤브론 근처 유다 산지에 위치한 성읍이다. 이 에 관해서는 4절 주석을 참조하라. ㅇ소고 - 유다 산지의 남단(南端)에 위치한 곳이며 에스드모 지역에 있는 열 한 성읍 중의 하나이다(수 15:48). 이곳은 헤브론 서남쪽으로 16km 정도 떨어진 곳으로 오늘날 의 길벳 슈웨이케 (Khirbet Shuweikeh)이다. ㅇ사노아 - 유다 산지의 촌락에 있는 한 성읍이다(수 15:55-57). 훗날 바벨론 포로에 서 돌아와 예루살렘 성읍을 재건한 자들 중에는 이곳 사노아(Zanoah) 거민들도 있었다 (느 3:13). 19 나함의 누이인 호디야의 아내의 아들들은 가미 사람 그일라의 아비와 마아가 사람 에스드모아며 ㅇ나함의 누이인 호디야의 아내 - 여기서 호디야(Hodiah)는 나함의 '누이' (아훗)로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뒤따르는 '아내'(에쉐트)라는 말로 미 루어 보아 그는 실상 남자인 것 같다(Keil, Lange). 한편 그와 동일한 이름은 레위 자 손 가운데서도 찾아볼 수 있다(느 8:7;9:5;10:10). ㅇ가미 사람 그일라의 아비 - 가미 사람(the Garmite)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하가르 미'는 '뼈대', '골격'을 의미하는 '게렘'에서 파생된 말인듯 이 보인다. 그렇다면 이는 이 족속의 골격이 장대했거나 힘이 뛰어났음을 보여주는 말 일 것이다. 한편, 그일라(Keilah)는 헤브론 북서쪽 13.6km에 위치한 오늘날의 길벳 킬 라(Khirbet Qila)인 것으로 알려진다. 이곳은 유다의 성읍 중 하나였다(수 15:44;느 3 :17, 18). 20 시몬의 아들들은 암논과 린나와 벤하난과 딜론이요 이시의 아들들은 소헷과 벤소헷이더라 ㅇ이시 - 이름의 뜻은 '유익한 자'이다. 그런데 그는 여라므엘 자손 압바임의 아들 이시(Ishi, 2:31)나 세일 산에서 아말렉 족속을 쳐부순 시므온 사람 이시(42절)와는 다른 사람이다. 21 유다의 아들 셀라의 자손은 레가의 아비 에르와 마레사의 아비 라아다와 세마포 짜는 자의 집 곧 아스베야의 집 족속과 ㅇ유다의 아들 셀라 - 셀라(Shelah)는 가나안 사람 수아의 딸이 유다로 말미암아 낳 은 세번째 아들이다. 그에게는 형 에르와 오난이 있었는데 하나님 보시기에 악하므로 진노의 죽임을 당하였다. 2:3 주석 참조. ㅇ마레사의 아비라아다 - 마레사(Mareshah)는 유다의 저지대에 있던 성읍으로서 훗날 르호보암 왕에 의해 요새화 되었다(대하 11:5, 8). 그곳은 엘류데로 폴리스 남동쪽으 로 1.6km 지점에 위치한 오늘날의 '텔 산다한나'(Tell Sandahannah)이다. ㅇ세마포 짜는 자의 집 - 세마포(Linen)는 아마(亞麻)실로 짠 직물을 가리킨다. 고대 당시 아마 초목은 값비싼 농작물이었던 까닭에 왕실과 부유한 사람들, 그리고 제사장 등과 같은 극소층만이 착용할 수 있었다. 한편 아마 실로 베를 짜는 일은 주로 여인들 이 담당하였는데(출 35:25) 하나님께로부터 부여받은 특별한 재능으로도 이해되었다 (출 35:35;38:23). 출 27:9 주석 참조. 본절은 르우벤 지파 아스베야의 집안이 바로 이 같은 직조업에 종사하였음을 보여 준다. 22 또 요김과 고세바 사람들과 요아스와 모압을 다스리던 사람과 야수비네헴이니 이는 다 옛 기록에 의지한 것이라 ㅇ고세바 - 유다 평지에 위치한 마을이다. 이는 곧 그일라 북서쪽 4km지점에 위치한 악십(Achzib)과 동일한 성읍인 것으로 추정된다. ㅇ모압을 다스리던 사랍 - 모압은 사해 동쪽에 위치한 고원 지대이다(신 1:5). 사랍 (Saraph)은 이곳 영토를 다스리다가 유다 지파의 지경으로 옮겼을 것이다. ㅇ야수비네헴 - 이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야슈비 레헴'은 '그가 레헴으로 돌아왔다'는 뜻이다. 만일 이 해석이 옳다면 사랍은 모압에서 레헴으로 돌아 온 것이 된다. 그런데 레헴(Lehem)에 대해서는 전혀 알려진 바가 없다. ㅇ이는 다 옛 기록에 의지한 것이라 - 여기서 말하는 옛 기록이 어느 시대의 어떤 기 록인지는 알 수 없다. 다만 추측컨대 이는 역대로부터 전해져 내려 오던 유다 지파의 족보 따위일 것이다. 23 이 모든 사람은 옹기장이가 되어 수풀과 산울 가운데 거하는 자로서 거기서 왕과 함께 거하여 왕의 일을 하였더라 ㅇ이 모든 사람은 옹기장이가 되어 - 여기서 이 모든 사람이 21, 22절에 기록된 셀라 의 모든 자손을 의미하는지 아니면 22절에 기록된 자손들만을 의미하는지는 결정하기 애매하다. 혹자는 21절에서 '세마포 짜는 자의 집'이란 말이 나오므로 이는 22절에 기 록된 자손들만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Bertheau). 그러나 거기서 세마포 짜는 자의 집은 '아스베야의 집'에만 해당되므로 우리는 이 말이 21, 22절에 나오는 사람 전체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Keil, Lange). ㅇ수풀과 산울 가운데 - 이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느다임 우그데라' 는 지명으로 해석하는 것이 더 옳은 듯하다. 왜냐하면 이 중 그데라는 유 다의 저지대 구릉지(세벨라)에 있는 14 성읍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수 15:36). 따라서 '수풀'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느다임도 지명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The Wycliffe Bible Commentary). 이에 따라 현대의 몇몇 영역본들은 본절을 'at Netaim and Gederah'로 번역하고 있다(NIV, Ling Bible). ㅇ거기서 왕과 함께 거하여 왕의 일을 하였더라 - 본절은 이 옹기장이들이 왕과 친분 을 나누며 그와 함께 살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다만 왕의 농장이나 경작지 에서 봉사하면서 본연의 옹기장이 일에 종사했음을 의미한다. 사실 유다의 모든 왕들 이나 왕족들은 토지를 소유하였으며 그곳에 일꾼을 두어 자신의 토지를 소유하였으며 그곳에 일꾼을 두어 자신의 토지를 경작하게 하였다(27:25-31;삼하 13:23;대하 26:10). 바로 이와 같은 왕의 농장에서 이들은 왕을 위해 종사했던 것이다. 한편, 왕 국 분단의 기간 동안에(B.C. 930-586) 옹기 만드는 수공업이 왕의 후원을 받아 대대로 계승되어 내려왔다는 사실은 오늘날 고고학적 연구 결과에 의해 입증되었다(R.A. Stewart Macalister). 24 시므온의 아들들은 느무엘과 야민과 야립과 세라와 사울이요 ㅇ시므온의 아들들 - 시므온(Simeon)은 야곱이 레아를 통해 낳은 둘째 아들로서(창 29:33) 세겜의 왕자가 그의 누이 디나를 강간했을 때 레위와 함께 속임수로 세겜족을 학살한 인물로 유명하다(창 34:24-30). 이러한 행위로 말미암아 그는 임종(臨終)하는 야곱으로부터 그의 자손들이 가나안 땅 전역에 흩어지게 될 것이라는 예언을 듣게 되 었다(창 49:5-7). 한편 시므온 지파 중 일부 자손들은 유다 서남부의 건조한 땅에 정 착하였는데 그것도 실은 유다 지파의 기업 중에서 양도받은 땅이었다(수 19:1-9;15:26 , 28-32;삿 1:3). 때문에 그후 유다 지파 내에서의 시므온 지파는 유다가 주도권을 장 악하면서 유다 지파 내에 융화되었다(수 21:9;삿 1:17). 한편, 본절로부터 43절까지에 나오는 시므온 지파의 족보는 창 46:10;출 6:15;민 26:12-14에 나오는 족보보다 더 자 세하다는 특징을 지닌다. ㅇ느무엘과 야민과 야립과 세라와 사울이요 - 본래 시므온의 아들은 모두 여섯이다 (창 46:10;출 6:15). 그러나 여기서는 그중 종족을 형성하지 못한 오핫(Ohad)은 제외 되었고 종족을 형성한 다섯 아들들만이 소개되어 있다(민 26:12-14). 한편, '야립' 은 다른 곳에서는 '야긴'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필사자에 의한 오기임이 분명하다(Keil). 이밖에도 다른 곳에서 본절의 느므엘(Nemuel)은 여무 엘(Jemuel)로, 세라(Zerah)는 스할(Zohar)로 각기 기록되어 있기도 하다(창 46:10). 25 사울의 아들은 살룸이요 그 아들은 밉삼이요 그 아들은 미스마요 ㅇ사울 - 가나안 여인의 소생이다(창 46:10). 즉 시므온은 가나안 여인에게서 사울 (Saul)을 낳았다. 이 사울은 이스라엘의 초대왕 '기스의 아들 사울'(삼상 9:1, 2)과는 구별된다. ㅇ밉삼...미스마 - 이들은 아브라함의 서자(庶子)인 이스마엘의 후손들과 이름이 동 일하나 전혀 다른 인물들이다(1:29, 30;창 25:13, 14). 26 미스마의 아들은 함무엘이요 그 아들은 삭굴이요 그 아들은 시므이라 ㅇ시므이 - 이름의 뜻은 '유명한 자'이다. 그런데 다윗 시대 당시 다윗을 저주했던 베냐민 지파 사람도 시므이(Shimei)이다(삼하 16:5-8). 그리고 레위의 후손 가운데도 동일한 이름의 소유자가 몇 명 있다(6:42;23:7, 9;25:17;대하 29:14;31:12). 27 시므이는 아들 열 여섯과 딸 여섯이 있으나 그 형제에게는 자녀가 몇이 못되니 그 온 족속이 유다 자손처럼 번성하지 못하였더라 ㅇ시므이는 아들 열 여섯과 딸 여섯이 있으나 - 시므온의 자손들 중 가장 크게 번성 한 시므이의 가족을 소개하고 있다. 아마도 이들을 통해 시므온 지파의 명맥이 유지되 었던 것 같다(Keil). ㅇ그 형제에게는 자녀가 몇이 못되니...번성하지 못하였더라 - 여기서 '그 형제'란 시므이의 형제란 의미보다는 시므이 외에 그밖의 모든 시므온 자손들을 의미하는 것으 로 보아야 한다. 왜냐하면 본절에는 '온 족속'이란 말이 나오기 때문이다. 한편, 모세 의 인구 조사에서도 시므온 지파의 수는 실제로 유다 지파의 수보다 훨씬 적게 계수되 었다(민 1:23, 27). 28 시므온 자손의 거한 곳은 브엘세바와 몰라다와 하살수알과 ㅇ브엘세바 - 유다 네겝 지방의 성읍인 브엘세바(Beer-sheba)는 이스라엘 영토의 최 남단에 위치하고 있다(삿 20:1;삼상 3:20;삼하 3:10;24:7). 그곳은 곧 헤브론 서남쪽 55km 지점이다. 때문에 '단에서 브엘세바까지'라는 말은 이스라엘 전국토를 가리키는 관용적인 표현으로 곧잘 사용되었다(21:2;대하 30:5). 한편 브엘세바는 남부 유다의 행정 중심지이기도 하였다(대하 19:4). ㅇ몰라다 - 브엘세바에서 가까운 네겝 지방의 성읍이다. 이곳은 바벨론 포로 귀환 때 에 유다 사람들이 정착한 곳이기도 하다(느 11:26). 한편 혹자는 헤스론의 장남 여라 므엘의 아들 몰릿(2:29)에서 '몰라다'(Moladah)란 지명이 유래되었다고도 추측한다 (Baly). ㅇ하살수알 - 브엘세바와 인접한 곳이다. 본래 유다 지파의 성읍이었으나(수 15:28) 후일 시므온 지파에게 주어졌다(수 19:3). 29 빌하와 에셈과 돌랏과 ㅇ빌하 - 추측컨대 수 15:29의 바알라(Baalah)와 동일 지역인 듯하다. 바알라는 에돔 경계 인근의 성읍이다. ㅇ에셈 - 이스라엘 최남단의 성읍으로 브엘세바 남동쪽 19.2km 지점에 위치하였다. ㅇ돌랏 - 남부 유다의 성읍으로 일명 엘돌랏(Eltolad)이라고도 불리웠다(수 15:30). 그 위치는 브엘세바에서 남동쪽으로 약 20km 지점이다. 30 브두엘과 호르마와 시글락과 ㅇ브두엘 - 헤브론 남쪽의 오늘날의 길벳 엘 카랴테인(Khirbet el-Qaryatein)이다 (Grolenberg). ㅇ호르마 - 브엘세바 근처의 성읍이다. 이곳 역시 본래는 유다 지파의 성읍이었으나 (수 15:30) 이후에 시므온 지파에게 할당되었다(수 19:4;민 14:45;삼상 30:30). ㅇ시글락 - 유다의 네겝 지방의 성읍으로서 헬 베이트 미르심에서 서남방쪽으로 8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오늘날의 텔 엘 쿠웨일페(Tell el-Khuweilfeh)이다. 이곳은 사울 시대에 블레셋의 수중으로 들어갔으나 다윗 당시 다시금 가드 왕 아기스에게서부터 되 돌려 받았다(12:1, 20;삼상 27:6;30:1-30). 31 벧말가봇과 하살수심과 벧비리와 사아라임이니 다윗왕 때까지 이 모든 성읍이 저희에게 속하였으며 ㅇ벧말가봇 - 이 지명의 의미는 '병거의 집'이다. 그런데 수 15:31에는 맛만나 (Madmannah)로 소개되어 있다. 추측컨데, 이 성읍이 병거의 집(창고)으로 사용되었을 때 본래의 이름인 맛만나가 벧말가봇(Bath-marcaboth)으로 바뀐 듯하다(Keil). ㅇ하살수심 - '말의 촌락'이란 뜻이다. 그런데 수 15:31에서는 산산나(Sansannah)로 기록되어 있다. 이 역시 벧말가봇과 같은 경우로 해석할 수 있다. 한편 벧말가봇과 하 살수심(Hazar-susim)의 정확한 위치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ㅇ벧비리 - 분명치는 않지만 아마도 '벧 르바옷'(수 19:6)에 대한 바벨론 포로기 이 후의 이름인 듯하다(Payne). ㅇ사아라임 - 수 19:6에서는 사루헨(Sharuhen)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곳은 가사 남쪽 약 30km지점이다. ㅇ다윗왕 때까지 이 모든 성읍이 저희에게 속하였으며 - 혹자는 본절을 삼상 27:6과 관련시켜 해석한다(Curtis, The Wycliffe Bible Commentary). 즉, 삼상 27:6에는 가드 왕 아기스가 시글락(Ziklag)을 다윗에게 주었으며 그 후로 시글락이 유다왕에게 속하 게 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 구절에 근거하여 일부 학자들은 본문(28-31절)에 언급 된 성읍들의 소유가 다윗 왕 때에 시므온 지파에서 유다 지파로 넘어간 것으로 이해한 다. 그러나 보다 더 우월한 견해는 다윗 통치하에서 유다 지파의 지배권이 강해지자 압력 에 의해 시므온 지파 사람들이 그 성읍들을 떠나 다른 곳으로 이주해 버린 것으로 해 석하는 것이다(Keil, Lange). 32 그 향촌은 에담과 아인과 림몬과 도겐과 아산 다섯 성읍이요 ㅇ그 향촌은...다섯 성읍이요 - 이 성읍들은 다윗 때에 이주하지 않고 그대로 남아서 지켰던 시므온 지파의 성읍들이다(Keil). 한편, 본절에는 다섯 성읍이 언급되었으나 병행 구절인 수 19;7에서는 도겐(Tochen)이 제외된 채 네 성읍만이 언급되었다. 아마 도 도겐은 가나안 기업 분배 당시에는 성읍으로서의 규모를 갖추지 못했으나 점차 성 읍으로서의 규모를 갖추었기에 본절에 언급된 듯하다. ㅇ에담 - 이는 베들레헴과 드고아 사이에 있는 에담(Etam)이 아니고(대하 11:6) 유다 남부 지방에 있는 성읍이다(삿 15:8, 11). ㅇ아인과 림몬 - 이 둘은 한지역으로 합쳐져 아인림몬, 또는 에느림몬으로 불려지기 도 하였다(느 11:29). 이곳은 브엘세바 북동쪽 14km지점이다. ㅇ아산 - 네게브 남서쪽에 위치한 유다의 성읍이다(수 15:42). 또한 이곳은 레위인의 성읍이기도 하였다(6:59). 33 또 그 각 성읍 사면에 촌이 있어 바알까지 미쳤으니 시므온 자손의 주소가 이러하고 각기 보계가 있더라 ㅇ바알까지 미쳤으니 - 시므온 지파의 경계를 보여주고 있는 구절이다. 한편 바알 (Baal)은 네게브 남쪽에 위치한 바알랏 브엘(Baalath-beer)과 동일한 성읍인 것으로 추정된다(수 19:8). ㅇ주소 - 이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모솨브'는 '거주하다'는 의미의 동사 '야솨브'에서 파생된 말로 정착지를 의미한다. 34 또 메소밥과 야믈렉과 아마시야의 아들 요사와 35 요엘과 아시엘의 증손 스라야의 손자 요시비야의 아들 예후와 ㅇ스라야의 손자...예후 - 예후(Jehu)란 이름의 뜻은 '그는 여호와이심'이다. 성경에 는 이와 동일한 이름의 소유자가 몇 명 나온다. 곧 하나니의 아들이자 선지자인 예후 (왕상 16:1), 북이스라엘의 10대 왕인 예후(왕상 19:16), 유다 지파 예후(2:38) 등이 다. 36 또 엘료에내와 야아고바와 여소하야와 아사야와 아디엘과 여시미엘과 브나야와 37 또 스마야의 오대손 시므리의 현손 여다야의 증손 알론의 손자 시비의 아들 시사니 ㅇ시사 - 본절에는 시사(Zeza)의 계보가 상세히 언급되어 있다. 그러나 정작 그의 행 적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한편 그의 이름의 뜻은 '풍부'이다. 38 이 위에 녹명된 자는 다 그 본족의 족장이라 그 종족이 더욱 번성한지라 ㅇ다 그 본족의 족장이라 - 여기서 '족장'이란 실제로 한 족속의 족장을 가리키기보 다는 단지 한 족속에서 갈라져 나온 '소가족(小家族)의 우두머리'를 가리킨다(Keil & Delitzsch, Vol. III. p.101). 39 저희가 그 양떼를 위하여 목장을 구하고자 하여 골짜기 동편 그돌 지경에 이르러 ㅇ그돌 지경 - '지경'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마보'는 도시(삿 1:24)나 성전(대하 23:13)의 입구를 가리키는 말로서 그곳으로 들어가는 길목을 의미한다. 한 편, 여기서 그돌(Gedor)은 유다 산지에 위치한 그돌과는 다르다(4, 18절). 왜냐하면 시므온 지파 사람들이 유다 지파에 속한 성읍을 정복하였을 리 만무하기 때문이다. 그 런데 본절의 그돌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다만 70인역(LXX)에서 이를 블레셋 방향의 가사 남부 성읍인 '그랄'이라고 기록하고 있을 뿐이다. 그러나 본절의 '그돌' 을 70인역에서처럼 '그랄'과 동일시할 수 있는 개관적 근거가 없 기 때문에(Keil, Lange), 그것만 가지고서는 그돌의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다. 그렇 지만 시므온 지파의 공격대가 이곳에서 세일 산으로 향했다는 구절로 보아(42절) 이곳 은 사해를 내려다볼 수 있는 지역이었던 것으로 추측된다(Payne). 40 아름답고 기름진 목장을 발견하였는데 그 땅이 광활하고 안정하니 이는 옛적부터 거기 거한 사람은 함의 자손인 까닭이라 ㅇ그 땅이...안정하니 - '안정'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쉐케트'는 본래 '쉬 게 하다', '진정시키다'는 뜻으로 여기서는 전쟁이나 다툼이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수 11:23). ㅇ이는 옛적부터...까닭이라 - 한글 개역 성경의 본 번역은 앞 문장과의 연결 관계상 다소 애매하다. 따라서 '그때까지 거기에는 함족이 살고 있었다'로 번역 한 공동 번역 및 Living Bible을 참조하면 이해에 도움이 될 것이다. ㅇ함의 자손 - 이들은 함 족속(Hamites) 가운데서도 특별히 가나안 땅에 거하던 가나 안 족을 의미한다(Keil, Lange). 왜냐하면 이들이 옛적부터 이곳에 거주하였다고 되어 있기 때문이다. 창 10:6 주석 참조. 41 이 위에 녹명된 자가 유다 왕 히스기야 때에 가서 저희의 장막을 쳐서 파하고 거기 있는 모우님 사람을 쳐서 진멸하고 대신하여 오늘까지 거기 거하였으니 이는 그 양떼를 먹일 목장이 거기 있음이며 ㅇ유다 왕 히스기야 때에...진멸하고 - 본절은 히스기야 당시(B.C.728-687)의 역사적 한 단편을 보여 준다. 즉, 당시 앗수르는 지중해로부터 바사에 이르기까지의 대 제국 을 건설하여 날로 확장일로에 있었다. 따라서 팔레스틴 지역은 언제 앗수르에게 짓밟 힐지 모르는 위기 상황 속에 빠져 있었다. 그러던 중, 앗수르왕 사르곤(B.C.722-705) 의 죽음과 더불어 팔레스틴 전역에서는 저항과 모반의 기운이 감돌았으며, 유다 왕 히 스기야는 그 저항 운동의 선봉이 되었던 것이다. 이때 그는 예루살렘을 비롯한 유다의 중심 성읍들을 요새화(要塞化)하였으며, 이 저항 운동에 가담하기를 거부한 나라들을 쳐서 굴복시켰다. 본절의 정복 기사는 바로 그러한 정벌 사업의 대표적 사료에 관한 것이다(왕하 18:7, 8). ㅇ모우님 사람 - 모우님인(Meunites)은 사해의 동남쪽에 위치한 마안(Maan) 성읍을 중심으로 에돔 동쪽 변경에 거주했던 족속이다. 이들은 비록 에돔(세일)족은 아니었으 나 에돔족과 동맹 관계가 있었다. 42 또 시므온 자손 중에 오백명이 이시의 아들 블라댜와 느아랴와 르바야와 웃시엘로 두목을 삼고 세일산으로 가서 ㅇ본절과 다음 절은 34-41절의 제 1차 이주와는 또 다른 시므온 지파의 제 2차 이주 에 대한 기록이다. ㅇ세일 산 - 에돔 지경(地境)의 산으로 아라바 저지대 동쪽에 위치해 있다. 본래 이 곳에는 호리족(Horites)이 거주하였는데 에서의 자손이 그들을 정복하고 대신 그곳에 거하였다(창 32:3;신 2:12). 43 피하여 남아 있는 아말렉 사람을 치고 오늘까지 거기 거하였더라 ㅇ피하여 남아 있는 아말렉 사람 - 예전에 사울(삼상 14:47, 48;15:7)과 다윗(삼상 30:17, 18;삼하 8:12)이 아말렉을 침공한 사건을 암시해 주는 말이다(Payne, Keil). 아말렉은 에돔족의 일족으로서 출애굽한 이스라엘을 최초로 대적한 족속이었다(출 17:8-16;민 24:20;신 25:17-19;삿 3:13;시 83:7, 11). 1:36 주석 참조. 그러나 시므온 지파는 그 같은 이스라엘의 원수를 갚으려는 목적보다는 좋은 초원을 얻기 위해 아말 렉의 잔여 인구를 진멸하였을 것이다(Payne). ㅇ오늘까지 거기 거하였더라 - 여기서 '오늘까지'라는 말은 본서를 저작하던 당시를 의미하는 말이다. 본서는 예루살렘 재건 시기인 B.C. 450년 경에 저작된 것으로 추정 된다. 따라서 본절은 그때까지 시므온 지파가 그곳에 안정되이 거하였음을 보여 주고 있다. 본서 서론, '기록 연대' 참조. |
다음검색
출처: 춘천 대우인력 김진규 원문보기 글쓴이: 대우인력 김진규
댓글
검색 옵션 선택상자
댓글내용선택됨
옵션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