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성산성(金城山城)은 전북 순창군 팔덕리 청계리와 도계(道界)의 접경을 이루는 남쪽에 있다. 산성산(山城 山)은 해발 603m의 최고봉을 위시하여 봉우리와 봉우리의 사이를 능선으로 연결하는 거대한 산괴이며, 때문에 많은 지봉(支峰)과 능선 계곡들을 거느리고 있다. 금성산성은 조선왕조의 말기까지 중요한 진영으로 경영되었으나 이후 폐허화되다시피 방치되었다.
금성산성의 축조시기는 삼한시대 또는 삼국시대에 건립되었다고 전하나 희박하고 문헌상 최초의 기록은『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에 고려 우왕 6년(1380) 왜구에 대비해 개축하면서 '금성(金城)'이라는 기록이 나온다. 그러나 고종 43년(1256) 몽고의 차라대군(車羅大軍)이 담양에 주둔하였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이미 13세기 중엽 산성이 축조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후 '금성산성(金城山城)'이라는 명칭이 등장한 것은 조선(朝鮮)의 태종(太宗) 시기로 1410년 2월 전라· 경상도의 12개 산성이수축된 기록에 '금성산성'이 들어 있다. 또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에는 '금성산성(金城山城)'이라하여 위치·규모·시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 地勝覽)에는 추월산(秋月山)에 석벽이 사방을 둘러 둘레가 9018尺, 13泉 이 있고, 연동사 (煙洞寺)가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입보농성(入保籠城)의 최적지로 산성의 보수가 이루어지고 그 중요성이 커진다.
임란 이후 장성의 입암산성(立岩山城), 무주의 적상산성(赤裳山城), 담양의 금성산성(金城山城)이 호남 의 3대산성으로 알려졌으며 이후 계속적인 수축이 이루어진다. 수축시기를 보면, 선조 30년(1597) 정유재란에 대비하기 위하여 광해군 2년(1610) 부사 최동립(府使 崔東立)이 개축 광해군 14년(1622) 순찰사 황근중(巡察使 黃謹中)이대장청(大將廳) 등 건립 효종 4년(1653) 성첩(城堞) 중수(重修) 금성산성은 담양에 읍성(邑城)이 없기에 전란시에 오랜 시간 농성하면서 인근의 구원 군이 도착할 시간적 여유를 가지기 위해서 보다 유리한 산상(山上)에 축조한 것이라 보여 진다.
따라서 금성산성은 읍성적 산성(邑城的 山城)으로 관리 운영되어 왔을 가능성이 크다.『금성진별장생안(金城鎭別將生案)』에는 영조18년(1742)부터 고종12년(1875)에 이르기까지 재임하였던 별장(別將)들의 명단이 있다. 산성의 형태(形態)는 지형적인 여건으로 보아 산성(山城)으로 분류되며, 지리적으로 내륙성(內陸城)이 고, 중복도(重複度)로 구분하며복곽식(複郭式)으로서 석성(石城)이다. 옛 문헌을 종합해 보면 외성(外城), 내성(內城), 성문(城門), 옹성(甕城), 망대(望臺) 등 갖추고 성내에는 사찰(寺刹), 민가(民家), 우물등과 그 위용은 대단하였을 것으로 추측한다. 금성산성의 전체길이는 7345m 이며, 외성(外城)이 6486m, 내성(內城)이 859m이다. 연면적은 1,197,478㎡(362,237평), 내성(內城)의 면적은 54,474㎡(16,478평)이다.
<금성산성 가는 길>
1. 교 통
담양→금성행 직행버스 이용 1일 20회 운영 소요 시간 20분 (첫차 : 06:40, 막차 : 19:40)
2. 안 내
담양읍→순창방면 국도 24호선 이용→금성면소재지 경유(석현교 지나 대지식당 앞에서 좌회전) 담양호 입구 군도 101호선이용 →금성산성 입구
3. 맛 집
·유진정: 오리탕 3∼4인분 기준 2만원∼3만원선 ☎(061)382-4258
·추월식당: 추어탕 1인분 5천원 ☎(061)382-4073
·꿈의궁전: 대나무통밥 1인분 5천원 ☎(061)381-9291
·금성가든: 봉어찜, 메기탕등 ☎(061)381-2500
4. 숙 박
·로빈여관: 객실수21☎(061)381-0207
·여관산하: 객실수28 ☎(061)383-9116
·그린파크여관: 객실수21 ☎(061)383-89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