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숙(成熟)한 인격(人格)에 이르는 길은 끝이 없는 도정(道程)이다. 끝이 없는 길이기에 종점(終點)을 경험할 수 없다. 어떤 일을 성취한 후에 성숙한 인간이 되었다고 생각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다. 그것은 마치, 2층 옥상에 올라가서 세상을 다 내다볼 수 있다고 자부하는 것과 흡사한 것이다. ( ) 성숙한 인격에 이르기 위해서는 평생토록 인격 도야에 힘써야 한다. |
1. 윗글을 세 부분으로 나눌 때 바르게 된 짜임은? [91. 행자부 9급]
① 이유-근거-강조 ② 전제-강조-단정
③ 단정-부연-결론 ④ 근거-이유-전제
⑤ 강조-단정-부연
2. 윗글에서 문맥으로 보아 밑줄 친 ㉠의 뜻과 같은 것은? [91. 행자부 9급]
① 好事多魔 ② 語不成說
③ 吳下阿蒙 ④ 井底之蛙
⑤ 金鳥玉兎
3. 윗글 ( )에 들어갈 알맞은 접속어는? [91. 행자부 9급]
① 또한 ② 더욱이
③ 그리고 ④ 한편
⑤ 그러므로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여라. [4~5]
사람은 ㉠언어로써 자기의 사상과 감정을 표현하여 전달한다. 언어 표현 방식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에서도 음성(音聲)으로 표현하는 방법은 매우 어렵다. 흔히, 음성 언어로 ㉡자기를 표현하는 것이 쉽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문자 언어(文字言語)보다 더 어렵다. 문자 언어일 때에는, 잘 짜여 있는 내용을 문장으로 적어 놓고, 발표하기 전에 수정하는 과정을 거치므로, 비교적 자기 뜻에 맞도록 표현할 수 있다. |
4. ㉠은 언어의 무엇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 것인가? [91. 행자부 9급]
① 방법 ② 내용
③ 형식 ④ 정의
⑤ 기능
5. ㉡을 달리 나타낼 때 가장 어울리는 것은? [91. 행자부 9급]
① 풍부한 어휘의 사용 ② 자신의 사상과 감정의 표현
③ 자기에게 어울리는 적절한 제스처의 사용 ④ 자신이 알고 있는 많은 이야깃거리의 동원
⑤ 자신의 사생활
6. ㉠, ㉡의 문맥적 의미를 바르게 지적한 것은? [92. 행자부 9급]
세시 풍속일(歲時風俗日)은, 1년간의 생활과정(生活過程)에 ㉠리듬을 주어, 다음 단계(段階)로 넘어가는 데 박차(拍車)를 가하는, 생활의 ㉡악센트와 같은 역할(役割)을 해왔다. 설을 맞아 심기일전(心機一轉)한다든지, 추석(秋夕)을 지내며 조상(祖上)과 추수(秋收)에 대한 감사(感謝)를 느끼게 된다든지 하는 것들은 그 한두 예라 하겠다. |
① 흥미-생동감 ② 흥미-생명력
③ 생동감-강조 ④ 운율-율동감
⑤ 변화-활력소
7. 다음 중 정책(政策) 명제에 속하는 것은? [92. 행자부 9급]
① 꽃은 아름답다.
② 바위는 단단하다.
③ 신문은 한글로 표기해야 한다.
④ 문학은 가치 있는 체험이다.
⑤ 인생은 살 만하다.
8. 다음과 같은 설명 방법은 무엇에 속하는가? [92. 행자부 9급]
조선의 백자를 외모, 빛깔, 재료, 제조법, 무늬 등으로 나누어 설명하겠다. |
① 정의(定義) ② 대조(對照)
③ 분류(分類) ④ 분석(分析)
⑤ 비교(比較)
9. 다음 글에 나타난 요소들을 잘못 말한 것은? [92. 행자부 9급]
모든 사회는 그 시대에 따르는 문제를 안고 있다. 우리가 사는 현대 사회도 여러 가지 과제를 지니고 있다. 그 문제가 무엇인가를 파악하고, 해결을 모색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시급하고 중요한 일이다. 그러나 이 모든 문제보다도 앞서는 것이 있다면, 그것은 개인과 사회를 어떻게 보는가 하는 것이다. |
① 상술(詳述) ② 대전제
③ 소전제 ④ 삼단논법
⑤ 주지(主旨)
10. 다음 중에서 논설문을 작성할 때의 요령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92. 행자부 9급]
① 핵심이 명확해야 한다.
② 사실과 의견이 포함되어야 한다.
③ 접속어의 기능이 뚜렷해야 한다.
④ 지시어의 구실을 잘 알고 써야 한다.
⑤ 때때로 정서적이며 함축적 언어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11. 다음 밑줄 친 부분이 나타내고자 하는 뜻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93. 행자부 9급]
단풍 든 시절의 한국의 산은 보고 있으면 동심(童心)으로 돌아가, 산 꼭대기부터 옆으로 누워 데굴데굴 굴러보고 싶은 그러한 산이다. |
① 부드럽다 ② 다정하다
③ 신비하다 ④ 친근하다
12. 다음과 같은 종류의 글을 쓰는 목적은? [93. 행자부 9급]
화랑도(花郞徒)란, 신라 때의 청소년들이 자신의 마음과 몸을 닦고 목숨을 바쳐 나라를 지키려던, 우리 고유의 정신적 흐름을 말한다. 그리고 이를 실천하기 위하여 조직한 단체를 화랑도(花郞徒)라 한다. 그 사회의 중심 인물이 되기 위하여 마음과 몸을 단련하고, 올바른 사회 생활의 규범을 익히며, 나라가 어려운 시기에 처할 때 싸움터에서 목숨을 바치려는 기풍은 고구려나 백제에도 있었지만, 특히 신라에서 가장 활발하였다. |
① 感動 ② 說得
③ 主張 ④ 理解
13. 다음 글에서 우리 민족이 갖추어야 할 점에 대해 강조한 것은? [93. 행자부 9급]
우리는 대체로 머리 끝에서 발 밑까지를 서양식(西洋式)으로 꾸미고 있다. “목은 잘라도 머리털은 못 자른다.”고 하던 구한말(舊韓末)의 비분강개(悲憤慷慨)를 잊은 지 오래다. 외양(外樣)뿐 아니라 우리가 신봉(信奉)하는 종교(宗敎), 우리가 따르는 사상(思想), 우리가 즐기는 예술(藝術), 이 모든 것이 대체로 서양적(西洋的)인 것이다. 우리가 연구하는 학문(學問)이 또한 예외가 아니다. 피와 뼈와 살을 조상(祖上)에게서 물려받았을 뿐, 문화(文化)라고 일컬을 수 있는 거의 모든 것이 서양(西洋)에서 받아들인 것들인 양 싶다. 이러한 현실(現實)을 앞에 놓고서 민족 문화(民族文化)의 전통(傳統)을 찾고 이를 계승(繼承)하자고 한다면, 이것은 편협(偏狹)한 배타주의(排他主義)나 국수주의(國粹主義)로 오인(誤認)되기에 알맞은 이야기가 될 것 같다. 그러면, 민족 문화의 전통을 말하는 것은 반드시 보수적(保守的)이라는 멍에를 메어야만 하는 것일까? 이 문제(問題)에 대한 올바른 해답(解答)을 얻기 위해서는 전통이란 어떤 것이며, 또 그것은 어떻게 계승되어 왔는가를 살펴야 할 것이다. |
① 보수성 ② 주체성
③ 배타성 ④ 포용성
14. 다음 중 논설문의 요건으로 볼 수 없는 것은? [93. 행자부 9급]
① 견해가 합리적이어야 한다. ② 어휘가 함축적이어야 한다.
③ 논거가 타당해야 한다. ④ 용어가 정확해야 한다.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여라. [15~17]
(가) 한 편의 글은 여러 단락으로 구성되므로, 글의 구조를 파악하려면 각 단락의 내용을 먼저 파악하여야 한 다. 각 단락의 요점(要點)을 요약한 다음, 그들을 다시 공통되는 내용끼리 묶으면 한 편의 글의 구성을 알 수 있게 되는데, 이에 의하여 전체의 내용 구조가 파악된다. 이 경우, ‘그러나, 그러면, 왜냐하면’ 등 의 연결어(連結語)들에도 유의(留意)하며 읽는 것이 글의 구조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주어진 글에 |
이러한 연결어가 나타나 있지 않을 경우, ㉠글을 읽는 사람이 이러한 연결어를 보충해 가며 읽는 것이 그 글의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서, 글의 구조를 파악해 가며 읽어야 그 글을 바르게 이해할 수 있다. 앞에서도 말한 바와 같이, 글의 구조에서 상위 구조에 속한 요소들이 하위 구조에 속한 요소들보다 더 잘 기억되어 머릿속에 남는다. 그런데 글을 읽는 과정에서 상위 구조의 내용을 암시적으로 상기시켰을 때, 그 글의 이해가 증진되기도 한다. 글을 읽기 전에 제목만을 보고 그 내용 체계를 스스로 구상해 보고 읽으면 내용의 이해뿐만 아니라 내용의 기억에도 도움이 된다.
(나) ㉡거대한 기계의 일부분은 그 부분만 분리되면 아무 쓸모 없는 고철이 될 수도 있다. 기계의 일부분은 전체의 체계 속에서만 진정한 기능(機能)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우리가 독서를 할 때에는, 이와 같이 어느 한 부분의 내용도 한편의 글이라는 전체의 구조 속에서 파악하여야만 그 바른 의미를 이해할 수 있 게 된다. |
15. 윗글의 내용으로 보아 바람직한 독서의 과정은? [94. 행자부 9급]
① 분석-종합-요약-이해 ② 분석-요약-종합-이해
③ 종합-분석-이해-요약 ④ 이해-분석-요약-종합
16. ㉠과 같은 사람의 성격을 가장 바르게 표현한 것은? [94. 행자부 9급]
① 주관적 ② 규범적
③ 능동적 ④ 독창적
17. 글 (나) 전체 내용에 대한 ㉡의 기능은? [94. 행자부 9급]
① 예시 ② 비유
③ 연역 ④ 은유
18. 다음 글의 논지로 알맞은 것은? [94. 행자부 9급]
학문이 실생활에 유용한 것도, 그 자체의 추궁(追窮)이 즐거움을 가져오는 것도, 모두가 학문이 다름 아닌 진리를 탐구(探究)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실용적이니까, 또는 재미가 나는 것이니까 진리요 학문인 것이 아니라, 그것이 진리이기 때문에 인간생활에 유용한 것이요, 재미도 나는 것이다. 유용하다든지 재미가 난다는 것은, 학문에 있어서 부차적으로 따라올 성질의 것이요, 그것이 곧 궁극적이라고 까지 말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
① 학문의 목적은 진리 탐구에 있다.
② 학문은 실생활에의 유용성을 추구하는 것이다.
③ 진리 탐구 자체는 부차적인 것이다.
④ 학문의 즐거움은 유용성에서 온다.
19. 작문에 있어서 ‘구상’의 기능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94. 행자부 9급]
① 글의 일관성을 유지하게 한다.
② 잘못 쓰여진 글을 바로 잡게 해준다.
③ 불필요한 내용의 반복을 막아준다.
④ 글의 전체적인 균형을 조절해 준다.
20. 아래의 글 중 ㉠에 함축되어 있는 작자의 생각은? [94. 행자부 9급]
황새도 영물(靈物)일까? 산골의 날씨는 무섭게 추워지는데, 짝을 버리고 혼자 떠날 수 없었던 애절한 황새의 정, 조류(鳥類)에 따라서는 암수의 애정(愛情)이 별스러운 놈도 있지만, 그것이 모두 그들의 생태요 본능(本能)이라 했다. 그러나, ㉠하찮은 그 본능이 오늘 따라 인간의 종교보다 더 거룩하고 예술보다 더 아름답게 느껴지는 것은 무슨 까닭일까? |
① 황새의 죽음에 대한 연민 ② 본능은 예술․종교보다도 거룩함
③ 인간의 비정한 현실 비판 ④ 황새의 사랑에 대한 예찬
21. 다음 중 교정부호가 잘못 설명된 것은? [95. 행자부 9급]
22. 밑줄 친 부분의 문맥적 의미로 바른 것은? [95. 행자부 9급]
二千萬(이천만) 各個(각개)가 人(인)마다 方寸(방촌)의 刃(인)을 懷(회)하고, 人類通性(인류통성)과 時代良心(시대양심)이 正義(정의)의 軍(군)과 人道(인도)의 干戈(간과)로써 護援(호원)하는 今日(금일), 吾人(오인)은 進(진)하야 取(취)하매 何强(하강)을 挫(좌)치 못하랴. 退(퇴)하야 作(작)하매 何志(하지)를 展(전)치 못하랴. |
① 마음속에 굳은 결심을 하고 ② 강한 무력으로 대항하고
③ 분노의 무기를 가지고 ④ 약속을 굳게 하고
23. 설명문의 작성 요령에 어긋나는 것은? [95. 행자부 9급]
① 문장은 쉽게 쓸 것 ② 주관적으로 서술할 것
③ 내용의 정확성을 기할 것 ④ 主述의 호응이 선명할 것
24. 다음에서 설명문의 제목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95. 행자부 9급]
① 인간의 특징 ② 어떻게 살 것인가?
③ 연극과 영화 ④ 문학의 구조
25.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은? [95. 행자부 9급]
인간의 창조적 활동은 각기 시대의 요구로서의 도전에 대한 응답의 몫을 담당하여 왔다. 이것이 다름 아닌 새로운 역사 형성의 추진력인 것이요. 힘을 북돋우어, 창조과정에 있어서 실적을 거두고 있는 국가, 민족이 비로소 그의 주체성을 살리고 있는 것이다. |
① 주체성 확립
② 새 역사창조를 위한 노력
③ 창조 활동의 의의
④ 창조의 조건
26. ㉠과 바꾸어 쓰기에 가장 적절한 것은? [95. 행자부 9급]
인간은 이 언어를 사용함으로써 자기의 경험(經驗)을 타인에게 전달(傳達)할 뿐만 아니라, 타인의 경험을 제삼자에게 전달할 수 있고, 이러한 소통(疏通)은 기억(記憶)을 낳게 했다. 또, 인간은 언어를 통하여 복잡한 사상(事象)을 ㉠추상화(抽象化)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고능력(思考能力)을 발달시킬 수 있다. 인간을 호모 사피엔스라 하는 이외에 호모 로퀜스(Homo loquens, 언어적 인간)라고 하는 까닭도 이러한 데에 있을 것이다. |
① 구상화 ② 구체화
③ 개별화 ④ 개념화
27. 다음 예문에서 나타내고자 하는 것은? [95. 행자부 9급]
이렇게 해서 짜인 전체, 다시 말하면 치밀한 내부조직을 가지고 있는 하나의 완성된 형체를 구조라고 한다. |
① 사실 ② 단정
③ 개념 ④ 주장
28. ‘호랑이와 고양이의 생태’라는 글을 쓴다고 할 때, 진술의 방법으로 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은? [96. 행자부 9급]
① 분류, 구분, 비교 ② 비교, 대조, 분석
③ 유추, 예시, 서사 ④ 서사, 묘사, 유추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29~31]
전통은 물론 과거로부터 이어 온 것을 말한다. 이 전통은 대체로 그 사회 및 그 사회의 구성원(構成員)인 개인(個人)의 몸에 배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스스로 깨닫지 못하는 사이에 전통은 우리의 현실에 작용(作用)하는 경우가 있다. ⓐ( )과거에서 이어 온 것을 무턱대고 모두 전통이라고 한다면 인습이라는 것과의 구별(區別)이 서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인습을 버려야 할 것이라고는 생각하지만, 계승(繼承)해야 할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여기서 우리는, 과거에서 이어온 것을 객관화(客觀化)하고, 이를 비판(批判)하는 입장에 서야 할 필요를 느끼게 된다. 그 비판을 통해서 현재(現在)의 문화 창조(文化 創造)에 이바지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 것만을 우리는 전통이라고 불러야 할 것이다. 이같이, 전통은 인습과 구별될뿐더러, 또 단순한 유물(遺物)과도 구별되어야 한다. 현재에 있어서의 문화 창조와 관계가 없는 것을 우리는 문화적 전통이라고 부를 수가 없기 때문이다. ⓑ( )어느 의미에서는 고정 불변(固定不變)의 신비(神秘)로운 전통이 존재(存在)한다기 보다 오히려 우리 자신이 전통을 찾아내고 창조한다고도 할 수가 있다. ⓒ( ), 과거에는 훌륭한 문화적 전통의 소산(所産)으로 생각되던 것이 후대(後代)에는 버림을 받게 되는 예도 허다하다. 한편, 과거에는 돌보아지지 않던 것이 후대에 높이 평가(評價)되는 일도 또한 한두 가지가 아니다. 연암의 문학은 바로 그러한 예인 것이다. ⓓ( )연암의 문학만이 아니다. 우리가 현재 민족 문화의 전통과 명맥(命脈)을 이어준 것이라고 생각하는 거의 모두가 그러한 것이다. 신라(新羅)의 향가(鄕歌), 고려(高麗)의 가요(歌謠), 조선 시대(朝鮮時代)의 사설시조(辭說時調), 백자(白磁), 풍속화(風俗畵) 같은 것이 다 그러한 것이다. |
29. 윗글의 제목으로 적당한 것은? [96. 행자부 9급]
① 전통과 인습의 차이 ② 전통 창조의 올바른 자세
③ 전통과 민족 문화와의 관계 ④ 전통의 본질과 그 계승의 의미
30. 다음 중 윗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96. 행자부 9급]
① 고유한 전통은 변질될 수 없다. ② 인습은 창조 정신이 결여된 것이다.
③ 전통은 문화 창조와 관련성을 지닌다. ④ 과거에서 이어온 것이 모두 전통이다.
31. ⓐ~ⓓ의 ( )안에 들어갈 말이 잘못 연결된 것은? [96. 행자부 9급]
① ⓐ : 왜냐하면 ② ⓑ : 그러므로
③ ⓒ : 따라서 ④ ⓓ : 비단
32. 주제를 설정할 때 가급적 피해야 할 점은? [96. 행자부 9급]
① 필자 자신이 잘 알고 있는 것을 택해야 한다. ② 가급적이면, 폭이 넓은 문제일수록 좋다.
③ 독자에게 흥미를 줄 수 있는 문제가 좋다. ④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주제가 좋다.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33~34]
인간의 특징으로 들어야 할 것은, 우선 인간이 언어를 가졌다는 것이다. 인간의 대뇌(大腦)에는 말을 하도록 작용하는 중추신경(中樞神經)이 있다. 이 신경(神經)의 작용으로 발음기관(發音器官)을 움직여서 말을 하게 되고, 또 청신경(聽神經)과 대뇌를 통하여 타인의 언어를 이해하는 것이나, 물론 다른 동물도 자신의 소리로써 그 나름의 신호를 교환한다. 침팬지는 수십 종의 소리를 내어 동료(同僚)를 부르거나 탓하며, 경계(警戒), 공포(恐怖), 고통(苦痛), 경악(驚愕), 기쁨, 슬픔 등을 표현한다고 한다. 그러나 이것은 감정의 직접적 표현에 불과하다. 인간의 언어는 이러한 감탄사(感歎詞)가 아니라, 세분된 음성으로 의미 있는 단어를 이루고, 이 단어를 일정한 법칙(法則)에 따라 운용(運用)함으로써, 복잡한 의미를 자유롭게 표현하는 상징적(象徵的)인 것이다. |
33. 윗글의 집필 의도를 바르게 말한 것은? [96. 행자부 9급]
① 가설의 검증 ② 주장의 설득
③ 정보의 전달 ④ 대안의 제시
34. 윗글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된 글의 전개 방식은? [96. 행자부 9급]
① 대상간의 차이점을 확인하는 방법 ② 대상을 그럴듯하게 그려내는 방법
③ 인과 관계에 따라 일의 선후를 밝히는 방법 ④ 시간 순서에 따라 일의 전말을 보여주는 방법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35~36]
(가) 자연에 인공이 끼어서는 자연이 아니다. 자연은 미추(美醜)를 초월(超越)한, 미 이전의 세계다. 사람의 꾀에서 생겨나는 인공의 미가 여기에는 있을 수 없다. 자연에는 오직 자연의 미가 있을 따름이며, 자연의 ⓐ攝理에 입각(立脚)한 만유 존재(萬有存在) 그 자체(自體)의 미가 있을 뿐이다. 미추(美醜)를 인식하기 이전, 미추의 세계를 완전 이탈(離脫)한 미가 자연의 미다. (나) 나는 언제나, 우리 민족 ⓑ更生의 도(道)가 생기(生氣)를 진작(振作)함에 있음을 역설(力說)해 왔다. 이 미 생기를 진작하였으면, 거기에는 반드시 진작된 생기를 인도(引導)할 이상(理想)이 있어야 한다. 만약, 이 이상이 수립(竪立)되지 못하였다 하면, 비록 생활의 의기(意氣)가 아무리 강력히 진작되었다 할 지라 도, 그 모처럼, 진작된 생기는 온전한 역량과 참된 자치를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고 부질없이 대양(大洋) 에 표류(漂流)하는 선박(船舶)과 같이 되고 말 것이다. 그러한즉, 우리의 민족의 원동력(原動力)은 생기 |
의 진작이요, 민족의 지남차(指南車)는 이상의 수립이다. |
35. (가)와 (나) 각각의 글에서 가장 핵심적인 어구를 골라 묶어 놓은 것은? [96. 행자부 9급]
① 인공의 미, 생기의 진작 ② 자연의 미, 이상의 수립
③ 미추의 세계, 생기의 진작 ④ 자연의 미, 생활의 의기
36. 밑줄 친 ⓐ, ⓑ의 독음을 바르게 적은 것은? [96. 행자부 9급]
① 섭리, 갱생 ② 섭리, 경생
③ 심리, 경생 ④ 심리, 갱생
37. 다음 글의 주인공(남산골 딸깍발이)의 성격이 될 수 없는 것은? [96. 행자부 9급]
겨울이 오니 땔나무가 있을 리 만무하다. 동지설상(冬至雪上) 삼척 냉돌에 변변치도 못한 이부자리를 깔고 누웠으니, 사못 뼈가 저려 올라오고, 다리, 핀 마디에서 오도독 소리가 나도록 온 몸이 곧아오는 판에, 사지를 웅크릴 대로 웅크리고 안간힘을 끙끙 쓰면서 이를 악물다 못해 이를 박박 갈면서 하는 말이 “요놈, 요 괘씸한 추위란 놈 같으니, 네가 지금은 이렇게 기승을 부리지마는, 어디 내년 오뉴월에 두고 보자.” |
① 꼬장꼬장한 고지식 ② 유유자적하는 생활 태도
③ 양반은 죽어도 겻불을 안 쬔다는 지조 ④ 사실로 졌지마는 마음으로 안 졌다는 앙큼한 자존심
38. 단락의 통일성을 고려하여 다음의 글을 퇴고하여 할 때 삭제해야 할 문장은? [96. 행자부 9급]
친한 친구간일수록 돈 거래를 삼가야 한다. ㉠사소한 금전 문제로 친구 사이의 관계가 멀어지는 경우를 주변에서 종종 보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는 어지간해서는 친구에게 돈을 빌리지 않을뿐더러 빌려주지도 않는다.㉢물론 돈이 친구와의 관계를 돈독하게 할 수도 있다. ㉣그래서 친한 친구가 돈을 꾸어 달라고 할 때는 난처하기 짝이 없다. |
① ㉠ ② ㉡
③ ㉢ ④ ㉣
39. 다음 중 논설문 쓰기에 가장 적합한 글감은? [96. 행자부 9급]
① 우크라이나는 어떤 나라인가? ② 한․일 간의 무역역조의 개선책
③ 청소년의 ‘스트레스’ ④ 곰의 생태
40. 다음 문장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97. 행자부 9급]
고인과 더불어 생각하는 곳에서 현대는 살이 찐다. 현대는 고인의 울력으로 아로새겨 지는 미래의 산실이요 창조의 길잡이이기 때문이다. |
① 앞의 문장과 뒤의 문장은 인과관계로 이어져있다.
② 온고지신이란 말과 뜻이 통한다.
③ 조상을 추모하고 공경하라는 말이다.
④ ‘울력’이란 여러 사람이 함께 하는 일이나 그 힘을 뜻한다.
41. 서사(敍事)의 3요소가 아닌 것은? [97. 행자부 9급]
① 시간 ② 의미(동기)
③ 움직임(행동) ④ 공간
42. 플로베르의 일물일어설과 가장 관계 깊은 것은? [97. 행자부 9급]
① 정확성 ② 일관성
③ 독창성 ④ 함축성
43. 다음의 설명 방법은? [97. 행자부 9급]
대상을 손가락으로 가리키듯이 지적해 보이는 설명 방법으로, 예로는 ‘저 수염이 많은 노인이 우리 마을 면장님이다.’를 들 수 있다. |
① 지정 ② 정의
③ 분류 ④ 분석
44. 아래의 정의에서 종차(種差)에 해당하는 것은? [97. 행자부 9급]
사람은 이성적인 동물이다. |
① 사람은 ② 이성적인
③ 동물이다 ④ 이성적인 동물이다
45. 논증의 3요소에 속하지 않는 것은? [97. 행자부 9급]
① 명제 ② 논거
③ 추론 ④ 논지
46. 다음 글의 짜임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98. 행자부 9급]
글의 구조적 특징(特徵)들은, 이야기를 이해하고 기억하는 데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 이야기의 구조는 상위 구조(上位構造)와 하위 구조(下位構造)들로 이루어지는데, 상위 구조에 속한 요소들, 즉 주제, 배경, 인물 등의 중요한 골자는 더 잘 기억되고, 더 오래 기억된다. 우리가 옛날에 읽었거나 들은 심청전(沈淸傳)을 기억해 보면, 심청이 효녀(孝女)라는 점, 뺑덕어멈의 품성(品性)이 좋지 못하다는 점을, 이를 뒷받침해 주는 구체적인 하나하나의 행동보다 더 잘 기억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
① 전제-주지-예시
② 주지-부연-예시
③ 전제-종합-첨가
④ 주지-상술-첨가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47~49]
(가) 이렇게 되면, 개인과 사회의 관계는 어떻게 되는가? 어떤 때는 서로가 조화를 이루며 서로 협조할 수 있 으나, 때에 따라서는 심한 대립과 반발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개인이 사회를 위하고, 사회가 개인을 위 할 때에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 ⓐ ) 개인이 사회를 거부하거나 사회가 개인을 부정할 때에는 갈 등과 모순을 피하지 못하게 된다.
(나) 전체주의 사회에서 개인들이 자유를 찾아 투쟁했던 역사를 본다든지, 독재 국가에서 지성인들이 처해 있 는 상황을 보면, 우리는 이러한 사실을 도저히 부정할 수가 없게 된다.
(다) 대체로, 이러한 갈등과 불행은 두 가지 경우에 초래된다. 하나는, 전체로서의 사회가 개체로서의 개인의 자유와 가치를 억압했을 때이며, 또 다른 하나는, 개인들이 스스로 속해 있는 사회에 반항을 하며 대립을 일으켰을 때이다. 어떤 사람은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라는 말을 사용했다. ( ⓑ ) 도덕적인 사회와 비도덕적인 개인도 문제가 될 수가 있다. 그러나 현대는 사회를 중심으로 삼고 있기 때문에 전자에 더 큰 어려움이 있는 경우가 많다.
(라) 또, 이러한 관계는 역사의 과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도 있다. 새로운 역사가 시작된 뒤, 당분간은 개 인과 사회가 동질적인 내용을 위해 조화와 협력을 이룰 수 있다. ( ⓒ ) 어느 정도 세월이 흐르게 되면, 사회는 반드시 현상을 유지하려는 보수적인 세력과 그에 항거하는 새로운 세력으로 나뉘게 된다. 이 때, 새로운 이념과 방향을 추구하는 개인은 언제나 기성의 것에 대해 반발하게 마련이다. 그것은 정치, 경제, 문화 등 모든 면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
47. (가)~(라) 중 현대 사회가 지나치게 거대화되었다고 보는 필자의 관점이 드러난 곳은? [98. 행자부 9급]
① (가) ② (나)
③ (다) ④ (라)
48. ⓐ, ⓑ, ⓒ에 들어갈 말을 순서대로 잘 연결한 것은? [98. 행자부 9급]
① 그러나-그렇다면-그러나 ② 그리고-그러므로-그런데
③ 그러나-그래서-그렇지만 ④ 그리고-그러나-그래도
49. 밑줄 친 부분과 같은 관계를 일컫기에 가장 적당한 말은? [98. 행자부 9급]
① 절충적 ② 상보적
③ 쌍방적 ④ 교차적
50. 밑줄 친 ‘퇴영적(退嬰的)’의 상대어로 알맞은 것은? [98. 행자부 9급]
창조라고 하면 이상하게 못마땅한 것처럼 대하는 사람도, 그 자신의 생활이 구습(舊習)의 퇴영적(退嬰的)인 반복이나 외래 풍조의 모방에 불과하다는 평을 받는다면, 아마도 속으로는 매우 섭섭함을 느낄 것이다. 이것은 생활의 의의(意義)가 반복이나 모방에 있다기보다도, 날로 새로워져 가는 개척과 창조에 있음을 말하는 것이다. |
① 진취적(進取的) ② 진보적(進步的)
③ 혁신적(革新的) ④ 고답적(高踏的)
51.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99. 행자부 9급]
우아함이 지나치면 고독을 면치 못하고 소박함이 지나치면 생활에 활기가 떨어진다. 활기란 흥이 있는 곳에서 나오는데 흥이란 없는 것도 있는 척할 때 더 난다. 겸손이 지나치면 비굴함이 되고 긍지가 지나치면 교만이 된다. 겸손이란 여유 있는 것이어야 하고 긍지는 남이 매겨 주는 가치라야 한다. 엄격한 예의는 방색(防塞) 같은 것이나 우정이 오가지 않고 소탈함이 지나치면 대면하는 사람의 심정을 예민하게 파악하지 못하여 폐가 되는 경우도 있다. 욕심이 많으면 만족하는 일이 없고 욕심이 너무 없으면 이룸이 적다. 만족의 덕을 익히지 않으면 계급이 아무리 높아도 불만이요, 그래서 권력자는 폭군이 되고 폭군은 이웃까지 지배하려 한다. |
① 인생살이의 요령 ② 지나침을 피하여
③ 편안한 생활을 위하여 ④ 안빈낙도(安貧樂道)의 삶
52. 다음 광고문의 특징을 바르게 지적한 것은? [99. 행자부 9급]
아이들이 귀엽고 사랑스러울 때, 그리고 아빠의 정을 표시하고 싶을 땐 나는 꼭 〇〇 아이스크림을 사 가지고 갑니다. 〇〇 아이스크림은 아이들이 무척 좋아해요. |
① 모방 심리를 자극하고 있다.
② 상품 구매를 강요하고 있다.
③ 타사의 제품과 비교하고 있다.
④ 제품의 우수성을 밝히고 있다.
53. 다음 글을 서두에 두고 한 편의 글을 쓸 때 결론의 자리에 올 수 있는 표현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99. 행자부 9급]
쑥이 삼밭에 나니 받쳐 주지 않아도 스스로 곧고, 흰 모래가 진흙 속에 있으니 더불어 검어진다. |
① 건강하고 바람직한 환경이 제공될 때, 훌륭한 인간성이 형성될 수 있다.
② 역경에 굴하지 않고 그것을 딛고 일어설 때 인생의 성공을 기약할 수 있다.
③ 한 사람의 영웅보다는 다수의 평범한 서민들이 역사 발전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
④ 물질 중심에서 벗어나 인간 중심의 가치관을 지향할 때 인간 소외 현상은 극복될 수 있다.
54. 다음 밑줄 친 부분에 나타난 역사관과 유사한 것은? [99. 행자부 9급]
한국의 바람직한 미래상을 그리는 데 있어서, 우리가 완전한 백지 상태를 출발점으로 삼기는 어려울 것이다. 역사라는 것은 과거로부터의 연속일 수밖에 없는 까닭에, 지금까지 걸어온 길을 완전히 무시하고 새로 출발한다는 것은 가능하지도 않고 바람직하지도 않다. 오랜 역사를 가진 한국의 전통 속에 살려야 할 유산이 적지 않다는 사실을 감안할 때, 우리의 미래상이 과거와 현재를 존중해야 할 이유는 더욱 뚜렷하다. |
① 역사는 과거와 현재와의 끊임없는 대화이다.
② 인간은 역사의 관찰자이기 이전에 역사의 창조자이다.
③ 역사는 덧붙여지는 것이 아니라 다시 쓰여지는 것이다.
④ 역사를 논할 때 가정(假定)을 고려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
55. 다음 글에 드러난 글쓴이의 태도를 바르게 지적한 것은? [99. 행자부 9급]
우리 나라에도 전혀 수레가 없음은 아니나 그 바퀴가 온전히 둥글지 못하고, 바퀴 자국이 틀에 들지 않으니, 이는 수레가 없음과 마찬가지이다. 그런데 사람들이 늘 하는 말에 “우리 나라는 길이 험해서 수레를 쓸 수 없다.”하니, 이 무슨 말인가? 나라에서 수레를 쓰지 않으니까 길이 닦이지 않을 뿐이다. 만일 수레가 다니게 된다면 길은 저절로 닦이게 될 테니 어찌하여 길거리의 좁음과 산길의 험준함을 걱정하리오? 전(傳, <중용>)에 이르기를 “배와 수레가 이르는 곳, 서리와 이슬이 내리는 곳”이라 하였으니, 이는 수레가 어떠한 먼 곳이라도 이를 수 있다고 하는 말이다. -박지원, ‘거제(車制)’- |
① 억압적 현실과 대립하고 있다. ② 현실의 문제로 고뇌하고 있다.
③ 말보다는 실행을 강조하고 있다. ④ 일상의 고정 관념을 깨뜨리고 있다.
56. 다음 ( )안에 들어갈 적합한 말은? [99. 행자부 9급]
인간과 자유와의 근본적 관계에 대하여 무엇보다도 웅변적으로 이야기해 주고있는 것은 성서(聖書) 속에 있는 낙원 추방의 신화(神話)이다. 신화도 인류 역사의 시초는 선택이라는 행위에 있다고 말하고 있다. ( ) 신화는 이 최초의 자유의 행위가 얼마나 깊은 죄(罪)이었으며, 또 그 결과로서의 고뇌(苦惱)가 얼마나 큰 것이었는가를 강조한다. |
① 예컨대 ② 그러므로
③ 그러나 ④ 심지어
57. 다음은 우리 사회 구성원들이 일반적으로 지니고 있는 욕망에 관한 글이다. 여기서 드러나는 궁극적인 욕망 은?
[99. 행자부 9급]
돌잡이란 첫돌을 맞은 아이 앞에 여러 물건들을 늘어놓고 아이가 잡는 것을 가지고 아이의 장래를 점치는 우리 나라의 풍속이다. 이때 아이가 부를 상징하는 떡이나 돈, 장수를 상징하는 실이나 국수를 잡는 것보다 책이나 붓을 잡는 것을 부모는 가장 좋아한다. 책이나 붓은 학문을 하여 벼슬길로 나가는 것을 가리키기 때문이다. |
① 자식을 교육시키려는 욕망 ② 학문을 발전시키려는 욕망
③ 부자가 되려는 욕망 ④ 권세를 얻으려는 욕망
58. 다음 글을 가장 새겨 읽어야 할 사람은? [99. 행자부 9급]
세상에선 흔히 백락(伯樂)이 있은 다음에야 천리마가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천리마는 항상 있으되 백락은 항상 있지는 아니하므로 비록 명마가 있을지라도 다만 마부의 손에 욕을 보아 마판과 죽통 사이에 고개를 처박고 죽어갈 뿐 천리마의 이름을 마침내 듣지 못하고 만다. 천 리를 달리는 말은 한 번 먹음에 조 한 섬을 다 먹을 때도 있거늘 말을 먹이는 자가 능히 천 리를 달릴 수 있음을 모르고 먹이니, 이 말이 비록 천 리를 달릴 수 있는 능력이 있어도 배불리 먹지 못함에 힘이 모자라 그 재주의 아름다움이 바깥에 나타나지 못할 뿐 아니라, 또한 보통 말과 같고자 할지라도 먹는 것이 모자라 보통 말만큼도 되지 못하니 어찌 그 말에게 천 리를 달리길 바랄 수 있으리요? |
① 부패한 관리 ② 인사권을 가진 사람
③ 범죄를 다스리는 경찰관 ④ 민원 부서에 종사하는 공무원
59. 논설문(論說文)의 요건에 들지 않는 것은? [98. 행자부 9급]
① 명료성(明瞭性) ② 타당성(妥當性)
③ 논리성(論理性) ④ 함축성(含蓄性)
60. 밑줄 친 부분의 문맥적 의미로 가장 적절한 것은? [99. 행자부 9급]
나는 일찍이 맹자(孟子)의 “내 뜻으로써 남의 뜻을 거슬러 구한다.”는 이의역지(二意逆志) 네 글자로 독서의 비결로 삼았다. 고인이 지은 글에는 의리와 사공(事功)뿐만 아니라 시문을 짓는 방법이나 기승전결 등 문장의 말기(末技)라도 모두가 각각 그 뜻이 담겨져 있지 않는 것이 없다. 이제 나의 뜻으로써 고인의 뜻을 받아들여 빈틈없이 합하고 흔연히 들리면, 이는 고인의 정신과 식견이 내 마음속에 침투해 들어온 셈이 된다. 비유컨대, 굿을 하는 무당이 신이 내려 혼령이 몸에 붙으면 훤히 깨달아져 그것이 어디로부터 온 것인지 알지 못하는 것과 같다. 능히 이와같이 되면, 장구(章句)에 의지하거나 묵은 자취를 답습하지 않아도 모든 변화에 적응하되, 이리 가나 저리 가나 근원을 찾게 될 것이니 나도 또한 고인이 되는 것이다. 이처럼 독서한 연후라야 가히 자연의 기교를 체득할 수가 있다. |
① 지혜와 식견을 갖추게 된다. ② 과거의 역사를 이해하게 된다.
③ 역사적 인물로 추앙받게 된다. ④ 글을 짓는 능력을 얻게 된다.
61. 다음 글의 주제로 알맞은 것은? [99. 행자부 9급]
今日(금일) 吾人(오인)의 朝鮮獨立(조선 독립)은 朝鮮人(조선인)으로 하야금 正堂(정당)한 生榮(생영)을 遂(수)케 하는 同時(동시)에, 日本(일본)으로 하야금 邪路(사로)로서 出(출)하야 東洋(동양) 支持者(지지자)인 重責(중책)을 全(전)케하는 것이며, 支那(지나)로 하야금 夢寐(몽매)에도 免(면)하지 못하는 不安(불안), 恐怖(공포)로서 脫出(탈출)케 하는 것이며, 東洋平和(동양 평화)로 重要(중요)한 一部(일부)를 삼는 世界平和(세계평화), 人類幸福(인류 행복)에 必要(필요)한 階段(계단)이 되게 하는 것이라. |
① 독립 선언의 정당성 ② 독립 쟁취의 신념
③ 조선 독립의 의의 ④ 우리 민족의 결의
62. 다음 글 (가)와 (나)에 공통된 논지전개 과정을 바르게 정리한 것은? [99. 행자부 9급]
(가) 인공 위성을 이용한 원격 측정 기술은 각종 전자파 센서를 이용하여 대기중의 오존이나 수증기와 같은 구성 물질의 전 지구적 분포를 측정하는데 커다란 역할을 할 것이다. 미국은 적도를 따라 바다에서의 강 수량을 측정할 수 있는 극초단파 센서를 장착한 인공위성을 쏘아 올릴 예정이고, 오존이나 수증기 연직 분포를 인공위성에서 측정할 수 있는 방법 등을 연구 개발 중이다. 우리 나라도 최근에 과학 로켓 1호와 2호에 오존 측정 기기를 장착하여 오존의 연직 분포 측정에 성공하였는데, 대기 오염 측정 기기나 기상 측정 기기가 개발되어 우리 나라 인공 위성에 장착될 날도 멀지 않았다. (나) 지상에서 레이저 광선을 발사하여 대기 중의 구성 물질을 측정하는 원격 측정 기술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 방법은 각 기체 분자가 가지고 있는 광학적 특성을 이용한 것인데, 대기 중에서 반사되어 오는 분광(spectrum)의 성분을 분석하여 아황산 가스나 오존과 같은 대기 오염 물질의 농도 및 그 연직 분 포를 측정하는 것이다. 21세기에는 원격 측정 기술을 비롯한 측정 과학 기술이 크게 발전하여 전 지구적 인 환경 감시 기능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
① 주지-예시-부연 ② 전제-상세화-주지
③ 전제-현실비판-대안의 제시 ④ 일반적 진술-구체적 진술-미래의 전망
63. 다음 글에 이어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0. 1. 행자부 9급]
새말은 그 구성 재료에 따라 완전히 새롭게 창조된 뿌리로 된 것과 이미 있던 말을 재료로 하여 만들어진 것이 있다. 또한 새말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서 외국어로부터의 차용어가 있다. 완전히 새로운 뿌리가 창조되는 일은 그리 흔하지 않다. 있다고 해도 의성어나 의태어 계통인 것이 많다. 6․25 때 처음으로 미군 제트전투기가 등장했다. 이 제트기는 당시에 어느 비행기보다도 빨랐으며 눈 깜짝할 사이에 ‘쌕쌕’ 소리를 내며 사라져 갔다. 그때 사람들은 이 비행기를 ‘쌕쌕이’라고 했다. 예전에 노를 젓던 나룻배나 돛단배가 모터에 의해 추진되는 배로 바뀌고 규모도 커졌다. 이 배가 움직일 때 내는 소리를 본떠서 ‘똑딱이’, ‘똑딱선’ 혹은 ‘통통배’라는 말이 생겨났다. ‘깍두기’도 무를 써는 소리를 따서 만들어진 말일 것이다. ‘쌕쌕이’, ‘똑딱이’, ‘깍두기’의 ‘-이’는 예전부터 있던 접미사지만 ‘쌕쌕’, ‘똑딱’, ‘통통’, ‘깍둑’은 의성어로서 새로 생긴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① 새말 형성의 의의 ② 기존 어휘를 재료로 만든 말
③ 외국어를 차용한 새말 ④ 새롭게 창조된 말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64~65]
(가) 현대 사회가 해결해야할 또 하나의 과제는 물질적인 것과 정신적인 것 사이의 균형을 회복하는 일이다. (나) 그러나 현대 사회로 넘어오면서부터 모든 것이 물질 만능주의로 기울어지고 있다. 그것은 세계적인 현상 이며, 한국도 예외는 아니다. 물론, 그 중요한 원인이 된 것은 현대 산업 사회의 비대성(肥大性)이다. (다) 산업사회는 기계와 기술을 개발했고, 공업에 의한 대량 생산과 소비를 가능케 했다. 사람들은 물질적 부 를 즐기는 방향으로 쏠렸는가 하면, 사회의 가치 평가가 생산과 부(富)를 표준으로 삼기에 이르렀다. (라) 그 결과로 나타난 것이 문화 경시의 현실이며, 그것이 심하게 되어 인간 소외(人間疎外)의 사회를 만들 게 되었다. |
64. 윗글에서 다음의 내용이 이어질 곳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2000. 1. 행자부 9급]
옛날에는 오히려 사회 생활의 비중을 정신적인 것이 더 많이 차지해 왔다. 종교, 학문, 이상 등이 존중되었고, 그 정신적 가치가 쉬 인정받았다. |
① (가)의 뒤 ② (나)의 뒤
③ (다)의 뒤 ④ (라)의 뒤
65. 윗글의 (라)를 통해 글쓴이가 궁극적으로 강조하고자 하는 바는? [2000. 1. 행자부 9급]
① 정신 문화에 대한 관심을 갖자. ② 우리 고유의 민족 문화를 계승하자.
③ 우리의 전통 철학을 배우자. ④ 철학은 민족문화의 양상을 결정한다.
66. 서사의 방법으로 글을 전개시키기에 가장 적절한 것은? [93. 9 서울시 9급]
① 의복 ② 농촌의 생활과 도시의 생활
③ 설악산의 아침 ④ 나의 학창 시절
67. 실용적인 글을 쓸 때, 가능한 한 쓰지 말아야 할 의미 영역은? [93. 9 서울시 9급]
① 사전적 의미 ② 문맥적 의미
③ 함축적 의미 ④ 개념적 의미
68. “다만 양복꼴이나 머리를 덥수룩하게 하고 다니는 것으로 보아 무어라 뜯으러 다니는 위인”에 나타난 인물 묘사는?
[93. 9 서울시 9급]
① 성격 묘사 ② 행동 묘사
③ 행동 묘사 ④ 외양 묘사
69. 글의 전개 방식에 있어서, 복잡한 것을 단순한 요소나 부분들로 나누는 지적 작용을 무엇이라 부르는가?
[93. 9 서울시 9급]
① 분석 ② 분류
③ 유추 ④ 대조
70. 설명의 방법이나 유의점으로 거리가 먼 것은? [93. 9 서울시 9급]
① 일상생활과 관계 있는 예를 찾아서 이용한다. ② 표현이 정확해야 한다.
③ 사실과 의견을 구별해서 말해야 한다. ④ 말하는 내용이 함축성이 있어야 한다.
71. 다음은 주제와 설명 방법을 서로 연결한 것이다. 적당하지 않은 것은? [94. 4 서울시 9급]
① 울릉도의 겨울 풍물-묘사 ② 고등학생들이 즐겨 부르는 노래-서사
③ 조선시대 시조(時調)의 주제별 개관-분류 ④ 고양이와 호랑이의 공통점과 차이점-비교․대조
72. 다음 문장이 ‘참’일 때, 이 문장으로부터 이끌어 낼 수 있는 올바른 결론은? [94. 4 서울시 9급]
낙태 반대론자는 모두 인본주의자이다. |
① 낙태 찬성론자는 모두 인본주의자가 아니다. ② 인본주의자는 모두 낙태 반대론자이다.
③ 인본주의자가 아니면 낙태 반대론자이다. ④ 어떤 인본주의자는 낙태 찬성론자이다.
73. 단어의 의미는 사전상의 지시적 의미와 문맥상의 함축적 의미로 나뉜다. 다음 중 지시적 의미가 주로 쓰이는 글의 종 류는? [94. 4 서울시 9급]
① 설명문 ② 희 곡
③ 경수필 ④ 소 설
74. 다른 사람의 설명(說明)을 들을 경우, 청자(聽者)가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할 사항은? [94. 4 서울시 9급]
① 어떤 소재를 사용하고 있는가 ② 정확하고 적절한 표현을 하고 있는가
③ 무슨 정보를 이야기하고 있는가 ④ 객관적인 입장에 서 있는가
75. 다음과 같이 어떤 대상이나 생각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공통적 특성에 근거하여 구분 짓는 지적 작용은?
[94. 9 서울시 9급]
시(내용상):서정시, 서사시, 극시 |
① 대조(對照) ② 비교(比較)
③ 예시(例示) ④ 분류(分類)
76. “아는 것이 힘이다.” 라는 베이컨의 말은 학문의 어떤 점을 강조한 말인가? [95. 3 서울시 9급]
① 실용성 ② 윤리성
③ 합리성 ④ 실증성
77. ‘독서와 생활’이라는 제목으로 글을 쓸 때, 결론에서 다루어야할 내용은? [95. 3 서울시 9급]
① 독서의 가치 ② 독서의 중요성과 실천
③ 훌륭한 사람들의 독서 경험 ④ 산문에 실린 책 광고 이야기
78. 작문의 일반적인 절차가 바르게 된 것은? [95. 3 서울시 9급]
① 주제 설정-제재 수집-구성-집필-퇴고 ② 제재 수집-주제 설정-구성-퇴고-집필
③ 주제 설정-구성-제재 수집-집필-퇴고 ④ 구성-제재 수집-주제 설정-집필-퇴고
79. 특정 문제를 해결하거나 해명하려는 목적으로, 주어진 문제에 대하여 특별히 관심이 있거나 경험이 있는 사 람을 배심 원으로 뽑아, 청중 앞에서 각자의 지식. 견문을 발표하고, 여러 가지 의견을 제시해 함께 생각하는 공동 토의는?
[95. 3 서울시 9급]
① 포럼 ② 심포지엄
③ 패널 ④ 원탁토의
80. 다음 중 정의의 방법에 알맞은 것은? [95. 3 서울시 9급]
① 문학은 언어로 표현되는 예술이다. ② 축구는 운동 경기의 일종이다.
③ 정치가는 정치를 하는 사람이다. ④ 타조는 하늘을 날지 못하는 새다.
81. 논설문의 서론의 내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96. 4 서울시 9급]
① 논제 제기 ② 논거 제기
③ 과제 제시 ④ 집필 동기
82. 사회자의 위치가 중요한 공개토의 방식은? [96. 4 서울시 9급]
① 심포지엄 ② 포럼
③ 패널 ④ 원탁토의
83. 다음 문맥에 맞도록 ꎴꎵ 안에 넣을 때 가장 잘 어울리는 단어는? [96. 4 서울시 9급]
독서를 교향악에 비유하는 것은 독서는 ꎴꎵ적 활동이기 때문이다. |
① 예술 ② 종합
③ 분석 ④ 감상
84. 독서의 방법 중 올바르지 못한 것은? [96. 4 서울시 9급]
① 자기의 배경지식을 최대한 활용한다. ② 문장의 판독에 치우친다.
③ 목적의식을 갖고 읽는다. ④ 적극적이며 능동적인 자세로 읽는다.
85. 다음 중 가치 명제는? [96. 4 서울시 9급]
① 사람은 고운말을 써야한다. ② 대한민국은 문제가 없다.
③ 말은 우리의 주체성과 민족성이다. ④ 우리는 국어 순화에 노력해야 한다.
86. 다음 글 중 ( ) 안에 들어갈 접속사로 적당한 것은? [96. 4 서울시 9급]
문화란 사회 안에 존재하는 것이며, 인간만이 가지는 것이다. ( ) 인간이 문화라고 하는 대기(大氣) 속에서 살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은 그리 오래된 일이 아니다. |
① 그러나 ② 그런데
③ 또한 ④ 그러므로
87. 다음 중 설명의 범위에 들지 않는 것은? [96. 12 서울시 9급]
① 기계의 조작법 ② 설악산의 가을 정경
③ 주체적 문화 창조 ④ 물가 오름세의 원인
88. 다음 중 비공식적 모임에서 적합한 토의 형식은? [96. 12 서울시 9급]
① 원탁토의 ② 심포지엄
③ 패널(배심토의) ④ 포럼(공개토의)
89. 소설 읽기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은? [96. 12 서울시 9급]
① 경제의 직접적 경험 ② 역사의 간접적 경험
③ 과학의 직접적 경험 ④ 독서의 간접적 경험
90. 다음 중 서사적 구성에 알맞은 문학 장르는? [97. 10 서울시 9급]
① 전기문 ② 서간문
③ 설명문 ④ 논설문
91. 논설문을 읽을 때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은? [97. 10 서울시 9급]
① 작가의 의도를 파악하면서 읽는다.
② 언어의 함축적 의미를 파악하면서 읽는다.
③ 단락과 문맥의 구성을 파악하면서 읽는다.
④ 주어와 서술어의 호응이 선명한 지 파악하면서 읽는다.
92. 다음 중 글의 진술 방식이 잘못 연결된 것은? [97. 10 서울시 9급]
① 연극과 영화 : 유추 ② 지리산의 겨울 풍경 : 묘사
③ 인간의 육체 : 분석 ④ 한국 문화와 중국 문화 : 비교와 대조
1. 다음 용언들 중 활용할 때 (보기)의 규정에 의해 만들어진 음운이 15세기(세종 당시)에 나타날 수 있는 것은?
[92. 행자부 9급]
ㅇ 임시울쏘리 아래 니쓰면 입시울가야 소리 외니라. |
① 굽다[曲] ② 좁다[狹]
③ 굽다[燔] ④ 뽑다[拔]
⑤ 잡다[獲]
2. 다음 각항의 ‘ㆆ’의 용법 중 ‘以影補來’에 해당하는 것은? [95. 행자부 9급]
① 하 ② 先老ㆆ
③ 道理 ④ 彆字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3~4]
우리 나라에서 형성된 한자어 중에도 원형을 알아볼 수 없게 된 것들이 있다. ‘김치’가 그 한 예다. ‘김치’가 ‘沈菜’에서 왔다고 하면 곧이듣지 않는 사람이 있을지 모르나 이것은 어김없는 사실이다. 이 단어는 ‘훈몽자회(訓蒙字會)’에 “딤”가 “짐츼”를 거쳐 “김치”가 된 것이다. (ⓐ어두의 ‘ㅈ’이 ‘ㄱ’이 된 예로는 ‘짗>깃’ , ‘질삼>길쌈’ 등 참고) ……(생략)…… 어원 연구에서 늘 경계해야 할 것은 ⓑ민간 어원(民間 語源)이다. 김대문의 어원론 중에서 ‘이사금(李師今)’의 해석은 필시 민간 어원에서 온 것이다. 한 나라의 통치자를 ‘닛금’이라고 불렀을 리 만무하기 때문이다. ‘행주치마’의 ‘행주’를 임진왜란 때의 행주(幸州)싸움과 관련시키는 것도 역시 민간 어원이다. ‘훈몽자회’에 “쵸마”가 있음을 보면, 이것이 임진왜란 전부터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위에서 ‘빈자(떡)’가 중국어에서 왔음을 말했는데, 광복 뒤에 서울 거리에 갑자기 늘어난 빈자떡집들이 ‘貧者떡’, ‘賓待떡’이라 써 붙인 것을 자주 볼 수 있었다. |
3. ⓐ와 관련된 음운 현상은? [96. 행자부 9급]
① 구개음화 ② 부정 회귀
③ 음운 도치 ④ 전설 모음화
4. ⓑ는 주로 어디에 바탕을 두는가? [96. 행자부 9급]
① 음운의 유사성 ② 문법의 유사성
③ 어휘의 유사성 ④ 의미의 유사성
5. 다음 중 ‘ㆆ’이 된소리 기호로 쓰인 것은? [97. 행자부 9급]
① 하 ② 音()
③ 戌() ④ 배
6. 밑줄 친 부분의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97. 행자부 9급]
㉠是ㅣ天의 明命이며, 時代의 大勢ㅣ며, 全人類 共存同生權의 正當한 ㉡發動이라, ㉢天下何物이던지 此沮止抑制치 ㉣못할지니라. |
① ㉠의 ‘ㅣ’는 15C 표기 원칙에서 벗어났다.
② ㉡에는 종결어미가 쓰였다.
③ ㉢의 ‘ㅡ던지’는 ‘ㅡ든지’로 바꾸어야 현대 문법에 맞는다.
④ ㉣은 이 글에 문어체적인 표현이 사용되었음을 보여준다.
7. 다음 중 조사의 격이 다른 하나는? [2000. 1. 행자부 9급]
① 이 니르고져 ② 제 들 시러 펴디
③ 몯 노미 하니라 ④ 내 이 윙야
8. 다음의 인용 부분에서 알 수 있는 훈민정음 창제의 정신은? [94. 4 서울시 9급]
나랏말미 中듕國귁에 달아, 文문字와로 서르 디 아니 |
① 실용정신 ② 자주정신
③ 애민정신 ④ 인간존중정신
9 다음 훈민정음의 기본자 중 불청불탁음에 해당하는 것은? [95. 3 서울시 9급]
① ②
③ ㄱ ④ ㅁ
1. 다음 문장에서 띄어쓰기가 옳은 것은? [91. 행자부 9급]
① 날씨가 비가 올듯 하다. ② 식사를 하지 못 하였다.
③ 오늘 산에 가지는 아니 하겠다. ④ 먹을만 한 것이 하나도 없다.
⑤ 그를 만나도 모른 체하였다.
2. 앞 문장의 정보에 따라 홑문장이 되기도 하고, 겹문장이 되기도 하는 글은? [91. 행자부 9급]
① 나는 그의 말이 옳다고 생각한다. ② 철수와 복동이는 공놀이를 했다.
③ 봄이 오니, 꽃이 핀다. ④ 행복이 소리도 없이 다가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