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A의 유명한 프로골프선수 어니 엘스, 자신의 아들 벤의 자폐증을 세상에 알리다.

With the hopes of bringing attention to what he and many others believe to be an "epidemic," PGA golfer Ernie Els arrived at the PODS Championship in Florida this week with an Autism Speaks logo sewn on his golf bag -- and in the process revealed that his 5-year-old son Ben does, indeed, have autism. 사람들의 관심을 좀더 고조되길 바라며, PGA의 유명한 골프선수인 어니 엘스는 지난 주 플로리다에서 열린 PGA 경기 중 하나인 포드챔피언십 에 “자폐를 말하다 Autism Speaks”로고를 그의 캐디백에 붙이고 나왔는데, 그의 5살 된 아들 벤은 자폐증이 있다고 밝히는 과정이기도 했다. PGA의 유명한 프로골프선수 어니 엘스, 자신의 아들 벤의 자폐증을 세상에 알리다.
Ernie admits that he was not familiar with autism just a few short years ago. But at a time when an estimated 1 in 150 children is being diagnosed, and boys at a higher rate than girls -- like more and more families around them -- Ernie, 38, and his wife Leizl have found their lives profoundly affected by the disorder.
얼스는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자폐증에 대해 잘 몰랐으나, 150명 중의 1명이 자폐로 진단되고 남자아이가 여자아이보다도 훨씬 그 수가 많으며, 그 주변에 점점 많은 가족들이 그런 것처럼, 어니 엘스와 그의 부인은 자폐라는 장애로 인해 심각한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It's been a bit of a challenge...Like any family will tell you, it's not easy. And it's a change of life, a change of priorities. You've got to be ready for it. And it's happening more often. I never knew about it, never thought about it, until it's in your lap. "자폐아를 가진 가정들이 그런 것처럼 장애아를 자식으로 두었다는 것은 정말 쉬운 일이 아니다. 이 일은 인생의 변화이자 우선순위에 대한 변화를 가져온다. 그것에 대해 항상 준비를 해야만 하며 예상하는 것보다 더 빈번히 일어나기도 한다. 그런 일이 내 일이 되기 전까지는 그것에 대해 전혀 아는 바가 없었고 생각해 본 바도 없다."
The level of functioning and degree to which symptoms are exhibited varies widely among children and adults who have been diagnose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While Ernie didn't go into specifics about the severity of Ben's condition, he did say that his son was "quite affected," adding, "he's a lovely boy." Families dealing with the diagnosis often find themselves overwhelmed by not only the costs associated with treating their children, but also by disagreement within the autism community about what those best methods of treatment are.
자폐아들 간에도 그 증세가 보여주는 기능이나 정도가 광범위하게 달라서, 보통 자폐증을 가진 아동이나 성인을 통틀어 자폐스펙트럼장애 (Autism Spectrum Disorder)라고 진단된다. 어니 엘스는 벤의 심한 상태에 대하 구체적으로 알지는 못한 반면에, 벤은 심하기는 하지만 아주 사랑스런 아이라고 말한다. 자폐 진단을 받은 가족들은 자폐아를 치료와 관련된 비용이 너무 비싸거니와 무엇이 가장 좋은 치료법인가 자폐커뮤니티 내에서도 불일치가 있어 자주 당황스럽기도 하다.
Acknowledging as much, Ernie says that he hopes by bringing attention to the issue that uncertainty will eventually be alleviated.
많은 것을 인식해 감에 따라, 어니 엘스는 이런 불확실성이 결국에는 경감되어야 한다는 과제에 관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한 바램으로 그렇게 말한 것이다. It's so new to everybody, that a lot of people have different ideas. After seeing just about every [specialist] in the world, I decided on this path we're going to go...I've got a bit of a profile where it will grab attention. That's what this problem needs. And with that, hopefully, more people will get involved and we can start getting to what causes it and what can be done to help it. 많은 사람들이 각기 다른 생각을 갖고 있다는 것은 그래서 모든 이에게 새로운 것이다. 세상의 모든 전문가들에 대해 보는 것만으로도 우리가 갈 것인 방향에 대해 결심을 하고, 그것이 관심을 끄는 곳에 다소간의 윤곽들이 잡혀가고 있다. 그런 노력과 함께, 바라건데, 더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게 될 것이고 그럼으로 우리는 그것을 돕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하며 무엇을 자폐의 원인인지 등에 관한 것을 얻기 시작할 수 있을 것이다.
As a professional athlete, Ernie is in a unique position: He and Leizl will most likely never need to worry about finding the funds to get Ben the help he needs. But, as a professional athlete, Ernie can also use his identity and fame to raise funds for others, as well as raise funds for autism research. It's something Ernie said he's eager to do. 프로선수로서, 어니 엘스는 독특한 자리에 있다. 그들 부부는 그가 필요로 하는 도움을 벤에게 주기 위해 돈 걱정은 할 필요가 없는데도, 어니 엘스는 다른 이들을 위한 자폐연구를 위한 기금 모금을 위해 그의 존재와 명성을 활용하고 있다. 이것이야 말로 어니 엘스가 꼭 하고 싶었던 것이다.
We've been taking our time and trying to assess what we need to do, what we want to do. We're doing a lot for Ben. But there are a lot of kids like him out there, and worse than him. We're in a fortunate position where money is not a real problem for our family. We can get Ben the right help. Some people are not in the same position. We'd like to raise money for the poor. And I'd like to know why [the rise in diagnoses] is happening. It's gone crazy the last couple of years. It's an epidemic. 우리가 해야 할 것과 꼭 하고 싶은 것들을 평가하기 위해 우리의 시간을 할애하고 노력할 것이다. 우리는 벤을 위한 많은 것을 할 것이다. 그러나 벤과 같은 아동들은 너무 많이 있으며, 혹은 벤보다도 상태가 더 좋지 않다. 우리는 그래도 돈 걱정을 안 하니 남들에 비해 행복한 위치에 있으며 우리는 벤을 위한 정말 옳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다른 사람들이 모두 같은 것이 아니다. 우리는 빈곤한 자폐 가정을 위해 기금을 모으고자 한다. 그리고 자폐증이 왜 발생하는지 정말 알고 싶다. 지난 수년간 이 문제로 미친 듯 확산되고 있고 하나의 전염병 같다.
Ernie said that the decision to go public was first cleared by his eldest child Samantha, 8, whom Ernie praised for being "unbelievable" with her younger brother. His daughter, Ernie says, "is more like a mother figure, not a sister figure" for Ben and he and Leizl "wanted [Samantha] to feel comfortable, because obviously, this is going to get attention." Bob Wright, co-founder of Autism Speaks, is thrilled by the family's decision. Says Bob, It's very important having prominent people get out in front of this issue. It's hard to get people to do that. Having Ernie, somebody who is prominent all over the world, to get out here is immensely helpful. 어니 엘스의 대중에 폭로한 결심은 처음에 그의 8살된 큰 딸 사만다의 정말 믿을 수 없는 행동에 감탄해서 이다. 8살된 그의 딸은 벤을 위해 누나 이상의 엄마의 모습으로 대하고 있으며, 엘스 부부는 이제는 사만다가 좀 편해지길 원하며 이것은 분명히 대중의 관심이 필요로 하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자폐를 말하다Autism Speaks”를 공동 설립한 밥 라이트는 그들 가족의 결심에 전율을 느낄 정도였다고 말하고는 다음과 같이 덧붙였다. “이런 당면과제 정면에 저명한 사람들이 앞서서 하게 하는 것은 정말 중요하다. 그렇게 할 수 있는 사람을 구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지만, 어니엘스 외에 세상 곳곳의 저명한 누군가를 이런 곳으로 나오게 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도움이 된다.
In agreement is Ernie's fellow PGA golfer Cliff Kresge. After seeing the logo on Ernie's bag Cliff revealed that his own 8-year-old son, Mason, also suffers from autism. Says Cliff, 어니 엘스의 동료 PGA 골프선수인 클리프 레스쥐도 이에 동의하여, 어니 엘스의 로고를 보고 나서는 그의 8살 된 아들 메이슨도 자폐증이라고 밝히기에 이르렀다.
We need someone [of Ernie's] stature to get some notice to this problem that we all have. There's so many people like that out there, and so little is being done. If they can find cures for cancer, surely they can find a cure for autism. Hopefully, with Ernie's notoriety, we can get to the bottom of thi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