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시 교재 18쪽에 나오는 내용 그대로입니다. 이해를 돕는 차원에서 참고하세요.
온라인 강좌의 내용(파란색)도 보충했습니다.
단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은 의미 유형들이 복합되어 나타난다.
첫째, 중심의미 또는 개념적 의미이다. 이는 그 단어 자체의 지시적 기능에 의해 스스로 보유한 의미로서 언어적 의사소통에서 가장 중심적인 요소이다. 예컨대, '소나무'라고 했을 때 국어 화자들이 추론해 낼 수 잇는 가장 보편적이고 공통적이며 핵심이 되는 인식의 집합으로서 국어 사전에 올라 있는 뜻풀이와 같은 의미이다.
개념적의미=중심의미=인식의미=사전적의미=외연적의미
특성-언제나 고정적이며 정밀한 체계를 이룸, 의미 연구의 일차적 연구 대상,
연구 방법론-대비성 또는 시차성-관련된 다른 단어와 대비된 차이로 설명
둘째, 연상의미로서, 다시 내포적 의미, 문체적 의미, 감정적 의미, 반사적 의미, 배열적 의미가 있다.
내포적 의미란 어떤 단어가 가진 물리적 특성, 사회적 심리적 요소 등을 말한다. 예를 들면 '곰'의 동물학적 의미가 중심의미라면, '미련하다, 덩치가 크다, 웅녀, 웅담' 등의 연상이 내포적 의미가 된다. 개념적 의미를 제외한 나머지 전달 가치. 예) 국화 앞에서의 '국화'-원숙함, 푸근함
문체적 의미란 문자 그대로 시대, 개인, 사회, 담화 양상 등에 따라 달라지는 의미이다. 예 : 방언의 사용, 문어와 구어의 구별, 독백과 대화의 구별
감정적 의미란 욕설이나 찬사처럼 화자의 감정이나 청자에 대한 태도를 표현하는 의미이다. 억양, 음색, 음조 등 화자의 정서적 상태로 드러나는 의미(기생의미라고도 함)
반사적 의미란 한 단어가 반사하는 특정한 금기적 연상을 말한다. '뒷간'이나 '변소'가 반사적으로 연상시키는 불쾌한 느낌 때문에 쓰이지 못하고 '화장실'에 자리를 내준 것과 같은 경우이다. 반영적 의미-어떤 표현에 대해 언중의 반응을 반영한 의미. 청소부->환경미화원(설명이 약간 다름)
배열적 의미란 어떤 단어가 특정 단어와는 나란히 배열되지만 다른 단어들과는 함께 나타나기 어려운 경우, 예컨대, '귀여운 아이'는 좋지만 '귀여운 스승님'은 어색한 경우 배열적 의미가 문제된다. 특정한 단어 배열에서 공기하는 다른 단어와의 관계에서 생기는 의미
셋째, 의도 의미로 화자가 발화 당시에 특정한 단어를 통해서 꼭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로 그 특정 상황에서만 잠정적으로 나타내는 의미이다. 문장 속에서 어떤 단어가 강조될 때 그 단어는 초점적 의미를 갖는다. 의도적 의미=주제적 의미. 어순, 초점, 강조 등을 통해 나타남. 화자의 의도와 청자의 기대의 관계
첫댓글 요약 정리가 잘 되있으셔서 퍼감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