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땅끝전망대에 올라 다도해를 품안에
해남 땅끝 산책로 - 끝이라서 다시 시작하는 길
땅끝에서 멀어지는 배들을 뒤로하고 길은 시작된다. 땅끝 선착장 입구 오른쪽, 땅끝을 알리는 표지석이 길을 안내한다. 입구 양편으로 삼남길의 시작을 알리는 이정표와 해남군관광 안내판이 팔을 벌려 환영한다. 나무데크로 조성된 길은 전망대를 오르는 모노레일 타는 곳으로 곧장 이어진다.
땅끝전망대에서 바라본 땅끝마을 전경. 해안선은 멀리 완도로 이어진다.
선착장에는 보길로를 오가는 페리호가 사람들을 기다리고 있다.
모노레일 타는 곳에서 길은 두 갈래로 갈라진다. 해안을 따라 땅끝탑까지 평탄하게 조성된 해안길과 전망대로 올라가는 경사가 있는 옛길이다. 한 가지 더 있다. 모노레일을 타고 전망대에 오르는 거다. 우선 전망대에 올라 땅끝 풍경을 둘러보고 싶은 마음이 앞선다. 전망대로 가는 1km의 옛길은 경사가 있고, 돌무더기로 만들어져 산책길을 기대하거나, 아이들과 함께라면 모노레일을 이용하기를 권한다. 이용요금은 편도기준 어른 3,000원, 어린이 2,000원이다. 15분 간격으로 운행되며 이용시간은 계절마다 바뀐다. 옛길을 오르다 보면 땅끝을 노래한 시인들의 시비가 발걸음을 멈추게 한다. 땅끝에 서는 마음들이 짙게 새겨졌다. 깊은숨을 들이마시고 다시 두 다리에 힘을 주게 만든다. 땅끝전망대는 봉화를 형상화했다. 땅끝을 지키는 등불. 본래 사자봉(156.2m) 정상에는 갈두산 봉수대가 타올랐었다. 입장료(어른 1,000원, 어린이 700원)를 내고 전망대에 오르면 남도의 풍경이 사방으로 시원하게 펼쳐진다. 남쪽으로 백일도, 흑일도, 보길도가 뛰어내리면 닿을 듯 가깝다. 왼쪽으로는 땅끝 선착장을 출발한 배들의 궤적이 바다를 가로지르고, 구불한 해안선이 끝없이 이어진다. 서쪽으로 가야 할 길들이 해안선을 따라 숨어 있고, 북으로 기남정맥의 낮은 산들이 강을 이뤄 흘러간다. 이곳에서 가장 절실하게 바라는 건 무엇일까? 전망대 밑 사랑의 열쇠판이 ‘사랑’이라고 외친다.
드디어 땅 끝, 다시 돌아 일상으로 가는 길
전망대에서 땅끝탑까지는 400m. 해안으로 내려가는 가파른 길을 나무데크로 계단을 만들었다. 여름철이면 반대로 올라오기가 부담스러울 만큼 경사가 있다. 길옆으로 남해안의 키 낮은 원시림이 빽빽하다. 길은 해안에서 30m가량 위에 조성된 해안산책길을 만나 수평을 이룬다. 바위에 부딪히는 파도소리가 발아래서 들리는 듯 가깝다. 그렇게 100m쯤 더 걷다 보면 드디어 땅의 끝이다. 이곳은 한반도의 최남단으로 북위 34도 17분 21초 해남군 송지면 갈두산 사자봉 땅끝이다.’ 땅끝을 알리는 새것의 땅끝탑과 새로운 시작을 알리는 뱃머리 모양의 전망대가 땅끝의 감흥을 강요한다. 사람들은 이곳에서 새로운 다짐들과 희망을 품고 돌아설 터다. 다시 돌아서야 하는 이 반도의 끝이니까. 땅끝탑을 돌아 나온 길은 자갈밭삼거리로 이어진다. 해안 낭떠러지 중턱을 따라 나무데크로 조성한 길은 땅끝에서 품은 상념들을 이어가도 좋을 만큼 평탄하다. 아늑한 만을 지나는 길에는 초봄에도 푸릇한 나무들을 볼 수 있다. 길 중간 중간 해안을 조망하기 좋게 쉼터가 꾸며져 있다. 쉼터마다 땅끝 주변의 전설과 이야기들을 담아다 놓았다. 사재끝샘, 당할머니, 학도래지, 달뜬봉, 소원이 이루어지는 댈기미 등등. 이야기는 끝도 없이 이어진다. 자갈밭삼거리에서 전망대로 가는 숲길 대신 해안가 길로 직진한다. 600m 정도 더 걷다보면 군부대 앞에서 해안산책로가 끝나고 군사도로가 시작된다. 비포장 황톳길이다. 어릴 적 손잡고 뛰어놀던 동무들이 절로 생각나게 만드는 길은 갈산마을까지 이어진다. 그 길 중간에 난대림 복원지가 있으니 들려도 좋다. 마을 앞 바다에는 양식장이 출렁이고, 귀퉁이 밭에는 붉고 노란 황토밭에 심어진 대파들이 푸르다.
해질녘에 땅끝전망대에서 보는 일몰은 감동적
갈산마을을 지나 낮은 고개를 넘으면 송호해수욕장이 나온다. 땅끝 탐방로 1코스 시작과 3코스 종점이다. 여기까지가 딱 좋은 사람은 77번 국도를 오가는 버스를 이용해 땅끝 선착장으로 이동하면 된다. 다시 출발지로 돌아갈 때는 숲길을 이용한다. 송호오토캠핑장 입구에서 숲길이 시작된다. 이곳은 겨울에도 푸른빛을 볼 수 있는 난대림 지역이다. 땅끝관광호텔 옆을 지나 테마파크전망대로 이어지는 길이 만만치 않다. 이 길은 학생수련원 수련코스로 쓰이는 길이었다. 테마파크 전망대에서 보이는 풍경이 땅끝전망대의 그것과는 또 다르다. 바다에 섬이 떠 있는 게 아니라 섬들이 바다를 품었다. 테마파크 전망대를 지나 100m 쯤 더 가면 사거리 갈림길이다. 해질녘이라면 직진해 땅끝전망대에 다시 오른다. 가슴을 꽉 채우고 남을 해넘이가 기다리고 있다. 빠른 길을 원한다면 왼쪽 길을 선택한다. 전망대를 오르는 도로와 만난다. 땅끝전망대에서 돌아올 때는 옛길을 이용해도 좋고, 땅끝탑쪽으로 내려가 산책로를 따라 되돌아 와도 된다. 산책길이 더 편한 반면 조금 더 길다.
지역정보
가는 길
자가운전 = 서해안고속도로나 호남고속도로가 별 차이 없다. 서해안고속도로를 이용할 경우에는 목포IC로 나와 2번 국도를 이용해 성전에서 13번 국도를 따라 해남읍을 거쳐 간다. 호남고속도로는 광주에서 13번 국도를 따라 내려온다. 버스 = 동서울터미널과 강남고속버스터미널 호남선에서 해남읍까지 고속버스가 운행된다. 광주에서는 땅끝까지 직통으로 가는 버스도 30~40분 간격으로 다닌다. 해남읍에서 땅끝행 버스가 자주 있다. 해남교통(061-533-8826).
잠잘곳
땅끝마을과 송호해수욕장 주변에 민박부터 호텔까지 숙소가 많다. 성수기를 제외하고 저렴한 가격에 원하는 숙소를 구할 수 있다. 땅끝테마마크 옆에 있는 땅끝관광호텔(061-535-1000)이 중턱에 위치해 전망이 좋다. 송호오토캠핑장(061-534-0830)의 캠핑트레일러도 인기가 좋은 숙소다.
볼거리
해남자연사박물관은 국내 최대의 해양생물 자료를 자랑한다. 땅끝마을에서 해안도로를 따라 강진방향으로 4km 거리에 위치. 달마산 미황사는 불교의 해로유입설을 보여주는 창건실화가 유명하다. 달마산을 병품 삼아 정교하게 지어진 대웅전이 아름답다. 이 외에도 두륜산 대흥사, 보길도의 고산 윤선도 유적지 등이 유명하다.추가정보
여행하기 좋은 시기 : 봄~겨울 총소요시간 : 2시간
준비물 : 물 = 넉넉하게 준비하세요. 지도 = 이정표 많아 필요 없어요. 신발 = 운동화면 최고. 캐주얼화도 문제되지 않는다. 복장 = 편안 복장 OK. 여름에는 모자 필요해요. 간식 = 물이면 충분해요.
위치 : 전남 해남군 송지면 송호리 1202(지도보기)
문의 : 땅끝관리사무소(061-533-9324)
땅끝탑과 땅끝전망대를 찾는 이들이 가볍게 땅끝을 돌아볼 수 있게 만든 길이다. 어른은 물론, 아이들도 편하게 걸을 수 있을 만큼 길이 좋다. 해안 절벽이나 자연이 훼손될 수 있는 경사구간은 나무데크로 길을 만들었다. 이정표에 산책길이라고 표시한 이유가 있다. 가벼운 산책을 원하면 송호오토캠핑장에서 테마파크 전망대로 오르는 구간을 빼면 된다.
출처:(길숲섬)
현산 두모리 패총[縣山斗毛里貝塚]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백포리 두모마을에 있는 신석기시대부터 철기시대까지의 조개더미.
개설
현산 두모리 패총(縣山斗毛里貝塚)은 해남군 현산면 백포리 두모마을에 있다. 2001년 11월 7일 해남군 향토문화유산 제5호로 지정되었다.
변천
1986년 목포대학교박물관의 『해남군의 문화유적』 보고서에서는 ‘백포리 패총’으로 보고하였는데, 이후 2002년 『문화유적 분포지도』 보고서에서는 ‘백포리 두모 패총③’으로 정정하였다. 더불어 유적 주변으로 지점을 달리하여 ‘백포리 두모 패총①’, ‘백포리 두모 패총③’ 2개소가 추가로 조사되었다.
위치
해남 현산 두모리 패총은 백포만의 출입구에 해당하는 두모마을 일대에 있다. 두모마을 일대는 본래 섬이었으나 간척으로 연륙된 곳이다. 백포리 두모 패총①은 장등마을에서 두모마을로 가는 도로 왼쪽의 장등들이라 불리는 곳에 있다. 백포리 두모 패총②는 두모마을 뒷산[해발고도 60m]의 남동쪽 경사면에 있다. 유적은 마을 뒤 대나무밭에 넓게 분포되어 있다. 현재 해수면으로부터 해발고도 30m에 이르는 곳까지 경사를 이루며 조개더미가 형성되어 있다. 백포리 두모 패총③은 두모마을 뒷산의 남서쪽 경사면에 있다. 현재 해수면으로부터 해발고도 30m에 이르는 곳까지 경사를 이루며 패총이 형성되어 있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해남 현산 두모리 패총은 지표조사만 이루어졌다. 1986년 목포대학교 박물관이 처음으로 지표조사를 하였고, 2001년 11월 7일 해남군 향토문화유산 제5호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이후 2002년 『문화유적 분포지도』 제작 시 다시 지표조사가 되었다. 해남 현산 두모리 패총은 간척 공사가 이루어지기 전에는 하나의 섬이었으며, 섬 전체에서 조개껍데기가 확인되었다. 백포리 두모 패총①의 조개껍데기층은 주로 굴과 꼬막 껍데기가 주를 이루고 있다. 2002년 『문화유적 분포지도』 제작과 관련한 지표조사 보고에 따르면 경지정리 작업으로 인해 삭평되어 경작지로 활용되고 있으며 바닥에서는 소량의 유물이 확인되었다. 출토 유물은 빗살무늬토기편과 민무늬토기편, 타날문토기편 등이다. 백포리 두모 패총②는 두모마을 뒷산의 남동쪽 경사면에 조개껍데기층 단면이 노출되어 있다. 조개껍데기층은 대부분 굴과 꼬막 껍질로 형성되어 있다. 출토 유물은 빗살무늬토기편과 경질무문토기편, 타날문토기편 등이다. 백포리 두모 패총③은 두모마을 뒷산의 남서쪽 경사면에 층 단면이 노출되어 있다. 조개껍데기층의 두께는 50~200㎝이고 범위는 길이가 100m, 너비가 100m 정도이다. 유물은 조개껍데기층에서 확인되었다. 출토 유물은 빗살무늬토기 구연부편과 민무늬토기 저부편, 타날문토기 저부편 등이다.
현황
백포리 두모 패총①은 경지정리 작업으로 삭평되어 경작지로 활용되고 있으며 백포리 두모 패총②는 마을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일부가 훼손되었다. 백포리 두모 패총③은 해태 가공 공장이 들어서면서 조개껍데기층의 상당 부분이 유실된 상태이다.
의의와 평가
해남 현산 두모리 패총이 있는 해남군 현산면 백포리 백포만 연안은 지석묘군과 패총, 유물산포지, 고분 성지 및 봉수 등 다양한 유적이 분포하고 있어 선사시대부터 지속적으로 주민이 살았음을 말해 주고 있다. 특히 해남 현산 두모리 패총은 출토 유물과 규모로 보아 신석기시대부터 철기시대에 이르기까지 오랜 기간 형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인근의 송지면 해남 군곡리 패총과 함께 패총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며 전라남도 지역의 대표적인 조개더미 유적으로 여겨진다.
참고문헌
『문화유적분포지도』-해남군(전라남도 해남군·목포대학교박물관, 2002)
최성락, 「해남지방의 선사유적·고분」(『해남군의 문화유적』, 목포대학교박물관, 1986)
최성락, 「해남 백포만 일대의 선사유적」(『최영희선생 환갑기념 한국사학논총』, 탐구당, 1987)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법정면 송지면[松旨面]
서해랑길2코스도보코스=송지면사무소부터~영터버스정류장총거리 17.9km
개설
송지면(松旨面)은 통일신라 때 신라 지방제의 특수 행정구역인 향(鄕)·부곡(部曲)으로 있었다. 고려시대 초에는 송양현이라는 이름으로 있다가 다시 특수 행정조직인 소(所)와 부곡으로 영암군에 속하였다. 조선시대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와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고적(古赤)을 보면, 송지부곡(松旨部曲)이 등장하는데 이는 지금의 송지 지역을 말한다. 해남현과 관련하여 『세종실록지리지』에는 “월경(越境)은 영암의 옛 임내인 목천, 팔마, 신개, 거요량, 홍의, 북평, 송지, 심정의 땅이 군의 남쪽으로 들어왔다.”라고 언급되어 있으며,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송지부곡이 현의 남쪽 60리[23.56㎞]에 있다고 하였다. 조선시대 들어 1409년(태종 9) 향·소·부곡의 폐지와 함께 송지부곡은 사라지고 영암군 송지시면과 송지종면으로, 일부 지역은 해남군 은소면 지역으로 편제된다. 조선시대 은소면, 영암군의 송지시면과 송지종면에 해당하였던 지역은 1914년 송지면이 되었다
명칭 유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송지면이라 칭하였다.형성 및 변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은소면, 송지시면과 송지종면을 합하여 해남군 송지면으로 개설하였고, 면사무소를 미야리(美也里)에 두었다. 1933년 면사무소가 산정리로 옮겨졌다. 1921년 완도군 군외면에 속해 있던 어불리를 어란리에 편입하였고, 어란리가 커짐에 따라 어란리에 속하였던 동현, 내장, 외장의 3개 마을을 갈라서 동현리를 새로 설치하여 16개 리가 되었다. 1973년 월송리를 현산면에 이속시키고, 동현리를 다시 어란리에 합하면서 14개 리가 되었다. 1982년 산정마을에 일개 반으로 있던 엄남과 산정2구가 분리되면서 14개의 법정리 42개 행정리가 되었다.
자연환경
달마산(達磨山)[470m]은 해남읍에서 남쪽으로 28㎞ 지점인 송지면에 있는 산이다. 기암괴석이 병풍처럼 둘러싸여 있어 암석미가 일품이며 천년 고찰 미황사가 있다. 송지천(松旨川)[6.75㎞]은 송지면 달마산 미황사 계곡에서 발원하여 군곡저수지에 들어가 송지면 가차리 송암마을로 흐른다. 송지면의 해안선은 해남군에서 가장 긴 해안선을 가지고 있으며 경치 좋은 곳으로 유명하다. 남서쪽으로는 크고 작은 산들과 완만한 구릉들이 바다와 접한다. 기후는 온난한 해양성 기후를 가지고 있다.
현황
송지면은 북쪽으로 현산면, 동쪽으로 북평면, 남쪽으로 바다, 서쪽으로 바다와 접하고 있다. 2018년 10월 31일 현재 면적은 80.9㎢이며, 14개 법정리, 42개 행정리, 46개 자연마을에 3,291가구, 6,551명[남자 3,204명, 여자 3,347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도로는 국도 제77호선, 지방도 제806호선이 지나간다. 주요 시설로는 서정초등학교, 송지초등학교, 송호초등학교, 송지중학교, 송지고등학교가 있으며, 해남경찰서 송지파출소, 완도해양경찰서 땅끝파출소, 완도해양경찰서 어란출장소, 완도해양경찰서 어불도출장소, 송지우체국, 땅끝농협, 해남군수협 송지지점, 송지면보건지소, 송호보건진료소, 신정보건진료소, 어불보건진료소, 호암의원, 한양의원, 한사랑의원, 송지한의원, 한양치과의원, 송지약국, 광신약국이 있다. 종교시설로 땅끝아름다운교회, 금강교회, 토말교회, 송지장로교회, 사구미예본교회, 해송교회, 등대교회, 군곡교회, 가차제일제교회, 송지동부교회, 송지중앙교회, 어란교회, 땅끝장로교회, 땅끝생수교회, 송지중앙교회, 송지제일장로교회, 어불도소망교회, 신정교회, 봄길교회, 동부교회, 송암장로교회, 대한예수교장로회소망교회, 송지산정교회 등 교회, 천주교땅끝성당, 그리고 미황사, 도솔암, 금강사, 광명사, 청주사 등 사찰이 있다. 주민 조직으로 새마을지도자협의회, 바르게살기위원회, 노인회, 청년회 33개, 농업인경영인연합회, 자율방범대 3개, 체육회, 의용소방대가 조직되어 있다. 문화재로는 해남 미황사 대웅전[보물 제947호], 해남 미황사 응진당[보물 제1183호], 「미황사 괘불탱」[보물 제1342호], 해남 달마산 미황사 일원[명승 제59호], 해남 군곡리 패총[사적 제449호], 해남 송호리 해송림[전라남도 기념물 제142호]이 있다. 주요 농업 생산물로는 쌀과 고구마, 마늘, 배추, 화훼가 있고, 수산물은 김이 많이 생산된다. 매년 12월 31일 일몰시부터 다음해 1월 1일까지 송호리 땅끝마을에서 땅끝해넘이해맞이축제가 열리고 있다.
참고문헌
『송지면지』(송지면지편찬위원회, 2009)『한국지명유래집』-전라·제주편(국토지리정보원, 2010)
우리마을의삶과문화편찬위원회, 『우리 마을의 삶과 문화』상(해남문화원, 2011)
코리아둘레길은 이미 조성되어 있는 걷기 여행길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외곽(동해, 남해, 서해, 비무장지대 지역) 전체를 코스로 하여 사람·자연·문화를 만나는 걷기 여행길이다. 동해안의 해파랑길, 비무장지대(DMZ)의 평화누리길, 남해안의 남파랑길, 서해안의 서해랑길 등을 연결해 국제적인 도보 여행 코스 구축을 목표로 한다. 동해안의 해파랑길은 부산 오륙도 해맞이공원~강원도 고성 구간 770km의 동해안 걷기 여행길로, 50개 코스로 이루어지며 2016년 개통했다. 남해안의 남파랑길은 부산 오륙도에서 전라남도 해남군 땅끝까지 이어지는 1463km의 탐방로로, 90개 코스로 구성되며 2020년 개통 예정이다. 서해안의 서해랑길은 전라남도 해남군 땅끝마을부터 인천 강화까지 110개 코스를 포함한 1804km의 길이다. 코리아둘레길의 총 길이는 4500km인데 이는 서울∼부산까지 거리의 10배이자 스페인 산티아고 순례길(800km)의 약 5.6배에 이른다. 이는 하루 40km씩 4개월을 걸어야 한 바퀴를 완주할 수 있을 만큼의 긴 거리이다. 정부는 코리아둘레길과 전통시장, 관광명소 등을 연계해 장기간 머물면서 여행길을 즐길 수 있도록 체류형 관광을 유도,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계획이다.
출처:(시사상식사전)
2022-08-22 작성자 명사십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