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백은 한자로 비단 폐(幣) 비단 백(帛)을 쓰고 원 뜻은 ' 윗사람을 뵐 때 준비하는 선물' 기프트(Gift) 로 의식자체-Ceremony 가 아니다. 신부가 시부모를 처음 뵙는 의식(儀式)의 정식 이름은 현구고례(見舅姑禮)다. 견(見)은 이 경우 '현'으로 읽고, 시아비 구(舅) 에 시어미 고(姑) 니 글자 그대로 시아비와 시어미 를 뵙는다 는 뜻이요, 이 의식을 위하여 준비하는 기프트-예물(禮物) 이 바로 폐백(幣帛) 이다.
<폐백이 아니고 현구고례(見舅姑禮)입니다>
요즘 초례를 치르고 예식장에서 바로 폐백이란걸 하는데 이것은 틀린것이고 아래와 같은 것이니 고쳐 써야 합니다 "見舅姑禮"(현구고례) = 이는 新婦가 시댁에 新行을 들어 시부모님을 첫 상면 하면서 行하는 의례로서 이때 새 며느리가 시부모님께 "폐백"을 올리고 초대면 인사를 올리는 의례입니다,
이때 "폐백"은 시부,시모 각각 따로 올려야 하며 이"폐백"은 시부모 외 에는 어느 누구도 손을 대어서는 안되며, 시조부모가 계시면 시부모님께 먼저"폐백"을 올린후 "폐백"을 드립니다,
좁은 의미의 폐백은 시어른께 인사 드릴때 올리는 술과 안주를 폐백이라합니다
넓은 의미의 폐백은 윗전 어른께 올리는 선물을 높여 부르는 명칭 입니다
新婦는 시어른과는 동일 공간에서 절을 올려서도 안됩니다. 원래 자식들은 조부모이하 백숙부모 까지는"門外拜"를 올리는 것이 예의 입니다.
"현구고례"를 요즘에는 이를 단순히 "폐백"이라고 칭하며 예식장에도 "폐백실"이라고 써 붙여 놓았는데 모두 틀린 것입니다,
(1) 폐백음식
신부측에서는 시부모님께 드릴 폐백을 준비한다. 폐백은 시아버지에게는 밤과 대추를 준비하는데 대추는 꼭지를 떼고 씻어 잣을 박기도 해 실에 꿰고, 밤은 깨끗이 씻어 한 그릇에 담는다. 시어머니에게는 육포, 꿩구이, 닭구이 등을 한 그릇에 담거나 또는 비단을 마련하기도 한다.
시아버지에게 대추와 밤을 폐백으로 드리는 의미는 대추는 붉은 색이라 양(陽)색이므로 동쪽, 즉 "아침 일찍 일어나 부지런하게 하겠습니다"라는 뜻이고, 밤은 글자도 서(西)쪽 나무(木)라 쓰듯이 음(陰)의 방위이며, 신주(神主)를 밤나무로 깍듯이 귀신나무이고, 옛날에 죄인을 밤나무 밑에서 처단했기 때문에 두렵다는 뜻이 있다. 그러므로 밤과 대추는 "두려운 마음을 가지고 부지런히 공경해 모시며 시집살이를 하겠습니다."라는 다짐이 되는 것이다.
시어머니에게 고기나 비단을 드리는 의미는 시집살이의 서약은 시댁의 가장인 시아버지에게 했으므로 시어머니에게는 "한결같은 마음으로 정성을 다해 모시겠다."는 뜻으로 육포나 꿩 또는 닭을 준비한다.
시조부모가 계시면 폐백도 시부모와 똑같이 준비하여야 하며 시부모 모두가 안계시면 폐백을 준비할 필요도 없다. 이럴 경우는 신부가 집안 친인척에게 인사만 한다. 폐백음식을 준비하지 않는 이유는 현구고례를 받을 대상이 안계시기 때문이다.
(2) 현구고례
현구고례란 신부가 시부모님을 처음으로 뵙는 예이다. 그리고 나서 시댁 친지들에게 정식으로 첫 인사를 드리는 절차로서 시아버지와 시어머니에게 절을 올린 다음 시조부모 백숙부모에게 차례로 절을 올리고 같은 항렬의 친지들과는 맞절로 인사한다.
전통 현구고례는 우귀하여 행사하였으나 근대에는 예식장에서 초례를 행함에 따라 간소하게 혼례를 마친 후 폐백실에서 신부가 시부모와 친척에게 첫 인사를 하는 의식으로 현구례 또는 현구고례를 하고 있다. 지방이나 견문에 따라 행예의 차이가 있다. 폐백은 신부가 처음으로 시아버지와 시어머니에게 인사를 올릴 때 예물을 드리는 것이다. 현재 예식장 폐백실에서 신랑 신부가 함께 관복을 입고 폐백을 올리는 것은 잘못된 예절이며 더욱이 신랑 신부 양가가족이 함께 신랑 신부에게 절을 받는 것은 예의 기본에서 벗어난 잘못된 예절이다. 시대가 변하고 여러 가지 상황이 달라졌다 하여도 예의 기본 뿌리는 살리면서 행예하는 것이 올바른 예라고 본다.
예서에 보면 신부가 시부모에게만 36번의 절을 올려야 현구고례가 끝난다고 되어있다. 그러나 오늘날 예식장에서 예식시간이 많아야 한 시간이니 예식장 폐백실도 사용시간이 한시간 정도라고 볼 때 옛 예법대로 행하기는 어렵다. 예식장의 폐백실에서 여집사가 신부를 인도하여 시아버지 시어머니 앞 신부자리에 서게 하고 난 후 여집사가 신부를 시부모에게 큰절 네 번을 시킨다. 그리고 고례에서는 현구고례 때 술을 올리는 예가 없었으나 작금은 모두 술을 올리니 시부모에게 각각 술을 올린다. 시부모는 술을 마신 뒤에 밤과 대추를 신부의 치마폭에 던져준 다음 시아버지와 시어머니는 교훈을 내리면 신부는 어른께 '예'하고 대답한다. 그리고 시백숙부모 시고모께 큰절로 예를 올린다.
형제 종형제 재종형제 등 수숙간의 예는 어른분들이 앉은자리는 피하고 자리와 방향을 바꾸어 서로 방석을 깔지 않고 마주보지 않고 비스듬히 맞절을 한다. 물론 술은 올릴 수가 없다.
만약 조부모가 계시면 시부모가 먼저 절을 받고나서 며느리를 데리고 조부모가 계시는 곳에 가서 '아버지 어머니 오늘 저가 며느리를 맞이하였습니다.'라고 말한 후 폐백을 드리고 나서 절을 시킨 후 교훈의 말씀을 듣고 다시 예수 받은 곳에 다시 와서 어른분들게 인사 올리도록 한다. 그러나 부모를 두고 내 며느리라고 먼저 폐백 받기가 미안스러워서 어른부터 먼저 폐백을 받도록 한 습속도 있다. 그러나 조부모가 먼저 손부에게 인사받는 것은 예에는 맞지 않다고 볼 수 있다.
(3) 현구고례의 좌석
신부가 시부모에게 현구고례할 때는 시아버지가 동쪽이고 시어머니가 서쪽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