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 가정에서 사용되는 전류는 어떻게 발생되는 것일까?
이때의 자속을
라고 하면, 코일의 단면이 자기력선의 방향과 이루는 각도
를 이룰 때, 코일을 지나가는 자속
는
이다.
이 때, 코일이 회전하는 각속도를
라고 하면,각
는
이므로
이고, 자속의 시간적 변화율은 유도 기전력
이므로, 다음과 같다.
아래의 그림은 코일의 회전과 자속의 시간적 변화에 따른 유도 기전력을 보여 주고 있다.
유도 기전력이 바로 교류 전압이므로, 위의 식을 교류 전압 v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전기 저항이 R인 도선의 양끝에 이 전압을 연결하면 저항에는 교류 전류 I가 흐르므로,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교류에서 전압과 전류의 방향이 주기적으로 바뀌는 데 1초 동안에 변하는 횟수를 주파수라고 한다.
주파수
와 주기 T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2.
교류 전류의 실효값을 계산할 수 있다.
도 입
2. 교류 전류와 직류 전류의 크기를 비교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교류 전류나 직류 전류 모두 열작용을 한다는 공통적인 특징이 있다.
따라서, 직류의 열작용과 비교하여 교류의 전류의 세기를 결정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일 것이다.
이렇게 정한 교류 전류의 세기를 실효값이라고 한다.
위의 그림과 같이 전기 저항 R에 I인 직류 전류가 흐를 때, 전력
은 다음과 같다.
이번에는 위와 같이 회로에 교류 전류
인 교류가 흐를 때, 전력
는 다음과 같다.
우리가 사용하는 교류에서의 전압, 전류, 전력은 모두 실효값을 말하고 있는 것이지 최대값이나 순간적인 값은 모두 다른 값을 나타낸다.
정 리
2. 교류가 흐르는 회로에서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요소는 저항 뿐일까?
1)코일이 있는 회로
아래와 같이 코일이 들어 있는 교류 회로의 경우, 전류는 시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하므로 코일을 지나는 자속도 주기적으로 변하게 된다.
그러므로, 유도 기전력이 생겨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해하게 된다.
이 코일의 자체 유도 계수가 L이라면 코일의 자체 유도에 의해 새긴 유도 기전력
은 다음과 같다.
아래 그림은 코일이 있는 교류 회로의 전류와 전압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코일만 있는 회로에서는 전류의 위상이 전압의 위상보다
만큼 늦다.
2)축전기만 있는 회로
그림에 있는 축전기의 전기 용량이 C라고 하면, 축전기에 충전되는 전하량 Q는 다음과 같다.
위 식에서
의 역수를 용량 리액턴스라고 하며
로 나타내며, 그 값은 다음과 같다.
아래 그림은 축전기만 있는 교류 회로에서의 전압과 전류의 위상을 나타내고 있다.
축전기만 있는 경우에 전류의 위상이 전압의 위상보다
만큼 빠르다.
2. 축전기가 있는 회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