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여러분. 인도네시아에서 언어와 문화를 공부하고 있는 현지아 기자입니다.
여러분은 자바라는 단어를 들으면 어떤 것이 떠오르시나요?
자바 커피? 프로그래밍 언어?
자바(자와)는 인도네시아의 수도 자카르타가 위치한 섬의 이름으로, 세계에서 가장 많은 사람이 사는 섬이기도 합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인도네시아어(공용어) 외에도 인도네시아에는 다양한 지역어/종족어가 존재하는데요. 대부분의 인도네시아인들은 공용어 외에도 자신이 나고 자란 지역, 대학을 다니거나 직장을 다니는 지역, 또는 부모님의 출신지 등에 따라 1~3개의 지역어를 구사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기사에서는 세계에서 모어 화자 수가 가장 많은 언어 10위에 드는 ‘자바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바어란?
자바어란 이 자바 섬에 주로 거주하는 자바족의 언어로서 모어 화자 수가 무려 9,800만 명에 이르는 언어입니다. 자바 섬 특히 중부와 동부에서 보편적으로 쓰이는 지역어로서 인도네시아인의 42% 이상이 모어 화자라고 합니다. 놀라운 것은 인도네시아 외에도 가까운 말레이시아, 싱가폴, 심지어는 아프리카 수리남에서도 일부 자바어를 사용한다고 하는데요. 수리남은 인도네시아와 같은 과거 네덜란드 식민지로서 당시 인도네시아에서 이주노동을 간 자바인들의 후손들이 살고 있다고 합니다.
이 자바어는 지역에 따라 중앙 자바어, 동부 자바어, 서부 자바어로 분류되며 각 자바어를 구사하는 사람들끼리는 소통이 어느 정도 가능하다고 합니다(물론 공용어인 인도네시아로는 100% 소통이 가능함).
자바어 문자 체계
19세기에 쓰인 자바 글자 (Public Domain / Annabel Teh Gallop @ Wikipedia)
인도네시아어와 마찬가지로 자바어 또한 현재는 로마자로 쓰이고 있는데요. 과거에는 ‘하나짜라까(Hanacaraka)’라는 자바어 고유의 문자가 존재했습니다. 현재 공식적으로는 로마자가 쓰이며, 하나짜라까는 간혹 길 이름을 나타내는 표지판에서나 볼 수 있습니다. 자바어권의 학교에서는 여전히 이 문자를 가르친다고 합니다. 인도와 동남아시아의 많은 문자들과 마찬가지로 하나짜라까는 고대 인도에서 쓰이던 브라흐미 문자를 기원으로 합니다.
자바어 배워보기
현대 자바어는 인도네시아어처럼 주어-동사-목적어의 순서로 문장을 구성하며 시제가 없습니다.
다만 우리나라의 경어법처럼 자바어 역시 화자와 청자의 관계에 따라 세 가지로 나누어지며 이에 따라 구사하는 단어가 다릅니다. 이는 인도네시아어에는 없는 자바어의 특별한 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경어법(쓰임새) | 자바어 | 한국어 |
Krama: 격식체(윗사람이나 연장자, 공식석상이나 방송, 발표 등) | Dalem(Kula) badhé nedhi. | 소인(저) 식사를 하고 싶습니다. |
Madya: 중간(길에서 만난 사람. 정중하지도 무례하지도 않은 정도) | Kula ajeng nedha. | 저 밥 먹고 싶어요. |
Ngoko: 비격식체(친구, 가족 또는 아랫사람이나 본인보다 어린 사람) | Aku arep mangan. | 나 밥 먹고 싶다. |
Krama inggil: 객체 높임법(화자나 청자가 아닌 제3의 인물을 높임) | Panjenenganipun kersa dhahar. | 그분이 진지를 드시다. |
외국인들이 한국어를 배울 때 어려워하는 점 중 하나가 바로 반말과 존댓말이라고 하는데요. 자바어의 경우는 아예 모든 단어가 바뀌니 더욱더 배우기가 힘든 것 같습니다. 또, 사람들의 관계성에 대한 파악도 요구되기 때문에 자바의 문화에 대한 깊은 이해가 없이는 유창한 구사가 어렵겠지요.
다음은 몇 가지 유용한 표현을 알아볼까요?
자바어 | 한국어 |
Halo 할로 | 안녕하세요? |
Piyé kabaré? 삐샤이 까바레? Kados pundi kabaripun? 까도스 뿐디 까바리뿐? | 어떻게 지내? 어떻게 지내요? |
Apik-apik waé 아삐 아삐 와아이 Pengéstinipun saé 빵에스씨니뿐 사아이 | 잘 지내. 잘 지내요. |
Matur nuwun 마뚜르 누w운 | 고마워/감사해요. |
Sami-sami 사미사미 | 천만에/천만에요. |
Iyå 이요 Inggih 잉기 | 응. 네. |
Ora 오라 Mboten 음보뜬 | 아니. 아니요. |
Maaf 마압f Nyuwun pangapunten 뉴운 빵아뿐뜬 | 미안해요. 죄송해요. |
månggå 몽고 | 상대방이 무엇인가 요청했을 때 허락 또는 권유하는 표현(먼저 드세요, 제 것을 쓰세요 등) |
Nuwun sewu 누운 세w우 | 실례합니다. |
참고
https://en.wikivoyage.org/wiki/Javanese_phrasebook
https://en.wikipedia.org/wiki/Javanese_language
https://en.wikipedia.org/wiki/Javanese_script
[출처] 인도네시아 제2언어, 자바어를 배워 보자|작성자 akc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