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래 |
|
시흥이라는 명칭은 현재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동을 중심으로 한 일원의 지역이 고구려 장수왕 63년(475)에 잉벌노현, 신라 경덕왕 16년(757)에 곡양현, 고려 태조 23년 (940)에 금주로 불러오다가 조선 태종 13년(1413)에 금천현이라 하였고 |
|
정조 19년(1795)에 정조가 부왕인 사도세자의 능행을 위해 안양에 만안교를 가설한 후 고려 성종때(991) 금주의 별호명을 취해 시흥현이라고 개칭한데 유래한다. | |
|
시흥의 뜻 |
시흥의 고구려 시대 지명인 인벌노의 뜻부터 풀이하면 '잉'은 '내'와 통용하여 '느'의 음차이며, '벌'은 음 '벌'로 'ㅂ'을 음차한 것으로 'ㅁ'과 와전한다. 그리하여 '늠'으로 느리 늘-늣-는-늠의 음전으로 연장을 뜻한다. 신라시대 지명인 곡양은 곡의 훈 '낟' 양의 훈 '내'로 '늣내'의 훈차라 하겠다. 결국 '잉벌노'는 '늠내'를 한자로 표기한 것으로 '뻗어가는 땅'이란 뜻인데, 고려 때 별호를 조선 정조 때 행정지명으로 택한 '시흥'과 같은 뜻을 지닌 '넓은 땅'을 의미한다. 지명에 걸맞게 시흥은 서울의 영등포구·구로구·금천구·관악구·동작구·서초구 등과 경기도의 안양시·광명시·안산시·과천시·군포시·의왕시 등을 분가시켰으니 우리 선조들의 탁견에 놀라지 않을 수가 없다. |
|
연혁 |
연대 |
연혁 |
고구려시대 |
장항구현, 매소홀현 |
통일신라시대 |
장구군, 소성현 |
고려시대 |
안산현, 인주 |
조선시대 |
안산군, 인천부 |
1914. 3. 1 |
시흥군, 부천군 |
1973. 7. 1 |
부천군 소래면이 시흥군에 편입 |
1979. 8. 10 |
시흥군 수암면 6개리 군자면 7개리가 반월출장소로 편입 |
1980. 12. 1 |
소래면이 읍으로 승격 |
1983. 2. 15 |
시흥군 소래읍 옥길리 및 계수리 일부가 부천 및 광명으로 편입 |
1989. 1. 1 |
소래읍, 수암면, 군자면이 시흥시로 승격 (법률 제 4050호) |
1991. 1. 15 |
매화동(무지, 과림)일부가 중림출장소로, 신관동(하중), 목감동(하상,능곡,광석), 안산동(화정), 거모동(장현, 장곡) 일부가 연성출장소로 각각 분소 (시흥시 출장소 설치 조례 제230호) |
1991. 9. 1 |
중림, 연성출장소가 각각 동으로 승격 (시흥시 행정운영동의 설치 및 동장정수에 관한 조례 제282호) |
1992. 1. 1 |
신관동이 신현동으로 중림동이 과림동으로 동명칭이 변경 (시흥시 행정운영동의 설치 및 동장정수에 관한 조례 제291호) |
1994. 7. 1 |
거모동을 군자동으로 동명칭 변경(시조례 제374호) |
1995. 4. 20 |
시흥시 수암동, 장상동, 장하동 및 화정동 일부를 안산시에 편입 (대통령령 제14629호) |
1995. 11. 15 |
무지동을 무지내동으로 동명칭 변경(시조례 제423호) |
1999. 9. 27 |
정왕동을 정왕1동, 정왕2동으로 분동(시조례 제573호) |
2002. 3. 2 |
정왕1동, 정왕2동을 정왕1동, 정왕2동, 정왕3동, 정왕4동으로 분동 (시조례 제573호) |
2003. 12. 23 |
정왕1동을 정왕본동, 정왕1동으로 분동(시조례 제764호) |
2004. 9. 7 |
상하수도과를 상수도과, 하수도과로 분리, 환경사업소를 시설관리과로 변경하여 이들 3개과를 상하수도사업소에 포함하고, 정왕보건지소를 신설(시조례 제809호) | |
자료 : 문화관광과 |
|
고대 |
시흥시의 전신인 소래읍·수암면·군자면지역은 본래 백제의 영토였으나 고구려 제20대 장수왕 63년(475)에 수암면·군자면은 장항구현,소래읍은 매소홀현이라 했다가, 신라가 한강 유역을 점령하자 신라 제24대 진흥왕 14년(553)에 신라의 영토가 된후 제35대 경덕왕 16년(757)에 장항구현은 장구군으로 매소홀현은 소성현으로 개칭되었다. |
|
고려 |
고려시대의 장구군은 태조 23년(940)에 안산현으로 바뀌었다가 다시 제25대 충렬왕 34년(1308)에 문종의 출신지라하여 안산군으로 승격되었고, 소성현은 모후 인예왕후의 출신지라하여 경원군으로 승격되었다가 다시 인종때에 이르러 모후 순덕왕후의 출신지이므로 인주로 되었다가 공양왕 2년(1390) 경원부로 승격되었다. |
|
조선 |
|
조선시대의 안산군은 세조 9년(1463) 강희맹선생이 중국 남경의 전당지에서 연꽃씨를 가지고 귀국, 하중동 208번지에 소재한 관곡지에 심은 후 널리 퍼져 세조 12년(1466)부터 별호를 연성이라 하였다. 경원부는 태조 1년(1392) 인주로 환원되었다가 태종 13년(1413) 인천군으로 개편되었고, 세조 6년(1460) 세종의 비인 소헌왕후의 외향이므로 인천도호부로 승격되었으나 숙종 14년(1688)에 인천현으로 강등되었다가 숙종 24년(1698) 다시 인천도호부로 환원되었다. | |
|
근대 |
|
인천도호부는 고종 32년(1895)에 인천부로 개편된 뒤 이듬 해 경기도 인천부가 되었다. 1910년에 일제가 강점하자 4년뒤인 안산군은 1914년 3월 1일 부·군·면 통폐합에 따라 과천군과 함께 시흥군에 흡수 통합되면서 군내·초산·잉화의 3개면은 '수암면'으로 와리·마유·대월의 3개면은 군자면으로 인천부의 신현·전반·황등천의 3개면은 부천군 '소래면'으로 되었다. 그 뒤 1936년 4월 1일 서울의 확장책에 따라 영등포읍의 영등포리·당산리·양평리와 북면이 서울시에 편입되어 시흥군에서 분리되었다. |
|
이어 1963년 1월 1일에 동면의 시흥리·독산리·가리봉리·봉천리· 신림리와 신동면의 전지역이 서울시에 편입되자 화성군 일왕면의 9개리가 편입되면서 의왕면으로 개칭되었다.
1973년 7월 1일 안양읍이 안양시로 승격되어 시흥군에서 분리되자 부천군 소래면이 편입되었으며 1979년 8월 10일 반월지구출장소가 개소되자 수암면·군자면의 13개리가 분리되었다.
1981년 7월 1일 소하읍과 광명출장소가 '광명시'로, 1982년 6월 10일 과천면이 과천출장소로 되었고, 1980년 12월 1일 의왕면은 의왕읍으로 소래면은 소래읍으로 승격되었으며, 1983년 2월 15일 소래읍 옥길리 일부는 광명시에, 계수리 일부는 부천시에 편입되었다. 1989년 1월 1일에 군포읍이 '군포시'로, 의왕읍과 동부출장소가 '의왕시'로 소래읍·수암면·군자면이 '시흥시'로 각각 승격되었다.
시 승격이후 1991년 1월 15일 중림·연성출장소가 개소된 뒤 이해 9월 1일에 중림출장소는 '중림동'으로 연성출장소는 '연성동'으로 각각 승격되었다가 이듬해 신관동이 '신현동'으로 중림동이 '과림동'으로 각각 변경되었다. 이어 1994년 7월 1일에 거모동이 군자동으로 개칭되었고, 이듬해 4월 20일에 수암동·장하동·장상동과 화정동의 너빌·고주물 지역이 안산시에 편입되었으며, 1995년 11월 15일 법정동인 무지동이 무지내동으로 개칭되었는가 하면, 1999년 9월 27일에는 정왕동이 정왕1동과 정왕2동으로 분동되고, 2002년 3월 2일에는 다시 정왕3동과 정왕4동으로 분동되었고, 2003년 12월 23일에는 정왕1동이 정왕본동과 정왕1동으로 분동되어 현재 시흥시는 14개 행정동에 30개 법정동으로 편제되어 있다. 2004년 9월 7일 에는 상하수도과를 상수도과 하수도과로 나누고 환경사업소를 시설관리과로 변경하여 이들 3개과를 상하수도사업소로 구성하였고 정왕보건지소를 새롭게 신설하였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