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표 지 - |
|
|
|
|
<진주 봉산사(鳳山祠)에 봉안된 강이식 장군의 영정> |
|
|
조선상고사(朝鮮上古史) 발간 책자 | ||||||||||||
| ||||||||||||
단재(丹齋) 신채호(申采浩) 선생 저서 | ||||||||||||
| ||||||||||||
⊙ 第9篇 高句麗 對隋戰役(고구려 대수전역) 삼국사기에는 姜以式(강이식) 三字(삼자)가 보이지 아니하였으나 이는 隋書(수서) 만을 抄錄(초록)한 문자인 까닭이거니와 大東韻海(대동운해)에는 강이식을 薩水戰爭(살수전쟁)의 兵馬都元帥(병마도원수)라 하고 西郭雜錄(서곽잡록)에는 강이식을臨渝關戰爭(임유관전쟁)의 兵馬元帥(병마원수)라 하여 兩書(양서)가 不同(부동)하다. 그러나 살수전쟁에는 王弟(왕제) 建武(건무)가 해안을 맡고 乙支文德(을지문덕)이 육지를 맡았으니 어찌 병마도원수의 강이식이 있었으랴. 그러므로 서곽잡록을 좇노라. | ||||||||||||
| ||||||||||||
| ||||||||||||
大東韻府群玉(대동운부군옥) 초간(草澗) 권문해(權文海. 534~1591)선생이 조선 선조(宣祖) 22년, 1589년에 송(宋)나라 음시부(陰時夫)가 지은 운부군옥(韻府群玉)의 체제를 본 따, 우리나라의 역사, 지리, 문학, 철학, 예술, 풍속, 인물, 성씨(姓氏), 동물, 식물 등을 총망라하여 운별(韻別)로 분류해 놓은 일종의 백과사전이다. 강이식 장군의 기록내용은 (1장 나항 13쪽) ◉ [姓氏] 晋州 高句麗 時 姜以式 爲 兵馬元帥 以禦隋師 ---. 성씨 진주 고구려 시 강이식 위 병마원수 이어수사 ◉ [성씨] 진주 고구려 때 강이식은 병마원수로서 수나라를 막았다 ---. |
고등학교 역사부도 |
|
* 드디어 교과서에서도 강이식 장군의 이름이 올랐다. 교학사(2002. 5. 31) 10쪽(고구려와 수의 전쟁) |
|
|
* 본 교재에는 살수(薩水)가 청천강이라 하고 있으나 |
|
|
고구려사(북한 송영종 교수 저서)에서 주장하는 살수(薩水) |
|
-수나라의 지속적 침입에도 불구하고 고구려는 꿋꿋이 영토를 지켜냈다.- |
|
고구려 왕조록(박영규)에서 주장하는 살수(薩水) |
|
-612년 살수전쟁은 청천강에서가 아니라 이곳에서 있었다고 주장한다-(전면 고등학교 역사부도 참조) |
|
|
KBS-1TV 역사스페셜(2003. 1. 25. 20:00) | |
| |
| |
온 국민들의 깊은 관심 속에 |
|
| |
- 거북좌대에 가상비석을 재현시켜 본 모습- -제1차 고.수전쟁 시작 때 고구려의 선공- | |
| |
| |
제1회 고구려 병마도원수(兵馬都元帥) | |
| |
좌로부터 |
발표자 : 강정구 진주강씨중앙종회 종무처장, 김규천 교수(심양대학교 사범대학장) |
| |
참석자들 | |
진주강씨 중앙종회에서는 시조 강이식 장군 현창사업의 일환으로 김규천(金奎天) 교수(중국 심양대학교 사법대학장, 사학자) 초청 학술세미나를 가졌다. | |
| |
| |
진주강씨족보(晉州姜氏族譜) 중에서 현존하는 최고본(最古本) | |
| |
남한 천주사(南漢 天柱寺)에서 을축년(乙丑年. 1685)에 발간하였다하여 남한보(南漢譜) 또는 을축보(乙丑譜)라 한다. | |
* 始祖 姜以式 隋煬帝伐高句麗時爲兵馬元帥以禦 | |
| |
* 진(縉 : 7세) 신라 헌강왕때 숭인전사운과(崇仁殿四韻科)에 장원급제하여 태중대부판내의령(太中大夫判內議令)에 올라 정순공(正順公) 시호(諡號)와 진양후(晋陽侯)에 봉해짐으로 인해 관향(貫鄕)을 진주로 하였다. |
|
| |
| |
晉州姜氏世譜(진주강씨세보) (1권) |
|
진주강씨 통정공파종회 연천보(1964. 甲辰) 강대곤. 회상사 |
구 족보에는 그런데 단재 신채호의 조선상고사(朝鮮上古史)와 육군본부 군사감실(軍史監室)에서 편찬한 전사(戰史), 그리고 경기주보(京畿週報)에는 (舊譜)내용과 달리 새로운 사실(史實)을 밝히고 있어 놀라움과 의구심을 갖게 한다. 만주(滿洲) 봉길선(奉吉線) 원수림역전(元帥林驛前)에 있는“시조님의 묘(墓)를 -고구려(高句麗) 심양현 원수림(瀋陽縣 元帥林)- 1930년 후손 갑수(甲秀), 학수(鶴秀), 명수(明秀), 정태(正泰)들이 봉심 참배(奉審 參拜)했을 때 대비(大碑)에는“兵馬元帥姜公之塚(병마원수강공지총)라고 적혀 있음을 보았기로 기록으로 남긴다. 단재 신채호 선생저서인 조선상고사 제9편 고구려(高句麗)의 대수전역(對隋戰役)란에서 |
|
|
|
|
- 표지 뒷면 - |
|
|
강이식 장군의 묘역 조형도(목각) | |
| |
- 강수복 옹(姜壽福 翁)이 제작한 목조 조형도 - | |
| |
① 강이식 묘(姜以式 墓): 고구려 병마도원수(高句麗 兵馬都元帥). 진주강씨 시조(晉州姜氏 始祖) | |
② 원수림역(元帥林驛): 땜 건설로 주택이 됨 |
⑧ 장작림묘(張作霖墓): 19/20세기의 중국 정치가. |
③ 동영역(東營驛): 간이역 |
⑨ 원수림(元帥林) |
④ 철배산역(鐵背山驛): 철로 이설 후 세운 역 |
⑩ 살수성(薩爾滸城): 고구려 때의 성 = 살수대첩 |
⑤ 고려 영자촌(高麗 營子村): 마을 이름 |
⑬ 혼하(渾河) |
⑥ 계번성(界蕃城): 고구려 때의 성 |
⑭ 소자하(蘇子河) |
⑦ 철배산(鐵背山): 두 강 사이에 놓인 전략적 요새지 |
|
| |
땜이 막혀 호수로 변했으나 옛날 강일 때는 사람도 건너다닐 만 했다고 한다. 청태종(淸太宗)은 만주족(滿州族) 2백만으로 한족(漢族) 4억을 상대로 심양전쟁에서 패하자 이곳에 들어와 다시 힘을 길러 청국(淸國)을 세웠다고 한다. 청 태종은 이 곳만 지키면 군사의 숫자에 관계없이 승리할 수밖에 없다하여 이름을 철배산(鐵背山)으로 하였단다. | |
| |
| |
|
강이식 장군 묘비의 거북좌대 | |
| |
- 강달희 부회장이 봉심(奉審)할 때(2000. 7. 25 )는 옥수수 밭이었다. - | |
| |
|
당시 이 거북좌대 곁에는 비석을 위시한
|
| |
← 거북좌대 뒷부분 | |
- 파손된 비석조각에서 5m 아래에 거북좌대가 있다 - | |
| |
| |
| |
|
작금의 모습 | ||
| ||
수복 (壽福) 옹은 비석이주민들의 손에 파손(1945-48년경)돼 매립된 사실을 알아내서 발굴했다. |
| |
- 비석 모양이 뚜렷해 비문을 찾아보고 있다 - | ||
| ||
|
| |
| ||
- 방향을 원 위치로 돌려 놓은 거북좌대 모습 - | ||
| ||
| ||
| ||
|
진주강씨(晉州姜氏) 시조(始祖) | |
| |
- 고구려 강이식 장군 사당 봉산사 전경 - | |
| |
진주 봉산사(鳳山祠)는 비록 고구려는 망했어도 | |
- 봉산사(鳳山祠) 구내에 있는 강이식(姜以式) 장군 사적비 - | |
| |
(구 봉산사(鳳山祠)의 모습 (1975년 새 봉산사 신축으로 철거됨) | |
| |
- 구 재실(齋室) 대봉재(大鳳齋)의 모습 - | |
| |
수많은 재난과 역경 속에서도 우리 후예들은 | |
| |
| |
|
진주강씨(晉州姜氏) 시조 |
|
- 고구려(高句麗) 병마도원수(兵馬都元帥) 강이식(姜以式) 장군의 사당 전경 - |
|
|
- 강이식(강(姜)以式) 장군의 사당 대봉사(大鳳祠) - |
|
|
|
|
| |
| |
- 봉란대 경내 모습. 앞에는 봉알이 놓여 있다 - | |
| |
봉란대(鳳卵臺) |
|
| |
|
- 시조 강이식장군의 유허비 - |
| |
| |
|
|
|
|
진주시내 명승지 안내지도 |
|
|
|
|
정몽주(鄭夢周 1337-1392) 선생의 시 | |
| |
飛鳳山前 飛鳳樓 비봉산 앞 비봉루에 올라와 樓中宿客 夢悠悠 여기서 쉬어가는 나그네 꿈도 유유하네 地靈人傑 姜河鄭 이곳 영지의 인걸은 강씨, 하씨, 정씨이니 名與長江 萬古流 그 명성은 긴 강과 같아 길이길이 흘러가리 이 시는 고려 공민왕 23년(1374)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 선생이 영남지방 안무사로 왔을 때 비봉루에서 남긴 시이다. | |
| |
조준(趙浚 1346-1405)선생의 시 | |
| |
|
薩水蕩蕩 樣碧虛 살수강 푸르고도 험악한데서 隋兵百萬 化爲魚 수나라 백만군이 고기밥 되었다네 至今留得 漁樵話 지금도 어부들 입에 오내리는 이야기 未滿征夫 一笑餘 정벌군의 웃음거리에 지나지 않네 자는 명중(明仲) 호는 송당(松堂), 시호는 문충(文忠). 위의 두 분은 같은 시대의 인물이나 포은(圃隱)은 고려 충신이요, 송당(松堂)은 두 나라를 섬긴 신하로도 유명하다. |
- 조준(趙浚)의 글을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