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모 - 아래 그림처럼 전면USB 를 연결하면 파워가 타는 경우가 있다. 물론, 메인보드가 구모델이기는 하다.
하여 젝에 꼽는 부분이 붙어있지 않고 떨어져 있다면 연결을 자제하는 것이 낫다.
전면 USB 연결 (USB 전면 포트), USB 연결도 & USB 케이블 구조
전면 USB포트 연결방법입니다.
전면 스위치및 LED단자 연결방법입니다.
제품마다 다르지만 용어는 거의 비슷합니다.
==============================================================================================
1. CAFE USB Port 부분들입니다.
- USB1 (① VCC, ① +D, ① -D, ① GND)
- USB2 (② VCC, ② +D, ② -D, ② GND)
(VCC : +5V, +D : Data + , -D: Data - , GND : Ground)
2. 메인보드 USB 연결 부분입니다.
여러종류의 메인보드의 USB 연결부분들은 동일한 연결 방법을 가지고
있습니다. (* 메인보드의 메뉴얼 USB Port에 대한 핀배열을 참조)
위 메인보드 핀 배열 방식을 참조 하여 USB 포트부분들을 하나씩 연결
시켜 주면 CAFE 전면 USB 부분을 활용하실 수가 있습니다.
==============================================================
USB 전면포트 연결도
==========================================================================================
==========================================================================================
USB signaling
Pin numbers (looking at socket):
Pin | Function | |
---|---|---|
1 | VBUS (4.75?5.25 volts) | |
2 | D? | |
3 | D+ | |
4 | GND | |
Shell | Shield |
USB signals are transmitted on a twisted pair of data cables, labelled D+ and D?. These collectively use half-duplex differential signaling to combat the effects of electromagnetic noise on longer lines. D+ and D? usually operate together; they are not separatesimplex connections. Transmitted signal levels are 0.0?0.3 volts for low and 2.8?3.6 volts for high.
Pin | Signal | Description |
1 | Vcc | +5V for USB port 1 |
3 | Data0- | for USB port 1 |
5 | Data0+ | for USB port 1 |
7 | GND | for USB port 1 |
9 | keyed | |
2 | Vcc | +5V for USB port 2 |
4 | Data1- | for USB port 2 |
6 | Data1+ | for USB port 2 |
8 | GND | for USB port 2 |
10 | N/C | for USB port 2 |
==============================================================
==============================================================
코요테 블루 내부핀 연결 방법
>usb 케이블 해설 >1. red - +5vol or vcc >2. white - usb port or usb data -
>3. green - usb port or usb data + >4. black - ground > > > > >
코요테 그린 내부핀 연결 방법
==============================================================
USB 케이블 핀 배열
==============================================================
내장형 직렬 포트는 후면 패널에 있는 9핀 초소형 D 커넥터를 사용합니다. 이 포트는 직렬 데이타 전송(한 라인에서 한 번에 1비트의 데이타 전송)이 필요한 외장형 모뎀, 프린터, 플로터 및 마우스와 같은 장치를 지원합니다.
대부분의 소프트웨어는 직렬 포트를 지정할 때 COM1, COM2와 같이 COM(COMmunications)이라는 용어에 번호를 붙여 사용합니다. 시스템에 내장된 직렬 포트는 기본적으로 COM1 및 COM2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하드웨어를 재구성하려면, 직렬 포트 커넥터의 핀 번호와 신호 정보가 필요합니다. 그림 B-3은 직렬 포트 커넥터의 핀 번호를 나타내고 표 B-1에서는 직렬 포트 커넥터의 핀 지정 및 인터페이스 신호를 정의합니다.
핀 | 신호 | I/O | 정의 |
---|---|---|---|
1 | DCD | I | 데이타 캐리어 감지 |
2 | SIN | I | 직렬 입력 |
3 | SOUT | O | 직렬 출력 |
4 | DTR | O | 데이타 단말기 준비 완료 |
5 | GND | 해당 없음 | 신호 접지 |
6 | DSR | I | 데이타 설정 준비 완료 |
7 | RTS | O | 전송 요청 |
8 | CTS | I | 전송 취소 |
9 | RI | I | 링 표시등 |
쉘 | 해당 없음 | 해당 없음 | 섀시 접지 |
이 시스템은 직렬 포트에 알맞게 환경을 자동으로 구성합니다. 이러한 기능을 통해 내장형 포트 중 하나와 지정이 같은 직렬 포트가 있는 확장 카드를 재구성하지 않고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이 확장 카드의 직렬 포트 번호가 동일하게 지정되어 있는 것을 감지하면, 지정가능한 다음 포트 번호를 내장된 포트에 재할당합니다.
다음과 같이, 새로운 COM 포트와 재배치된 COM 포트가 둘 다 같은 IRQ 설정을 공유합니다:
COM1, COM3: IRQ4 (설정 공유)
COM2, COM4: IRQ3 (설정 공유)
COM 포트의 I/O 주소 설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COM1: 3F8h
COM2: 2F8h
COM3: 3E8h
COM4: 2E8h
예를 들면, COM1로 지정된 포트를 사용하는 모뎀 카드를 추가할 경우, 시스템은 논리적 COM1을 모뎀 카드 주소로 인식합니다. 컴퓨터는 COM1로 지정된 내장형 직렬 포트를 COM1 IRQ 설정을 공유하는 COM3에 자동으로 재배치합니다(IRQ 설정을 공유하는 2개의 COM 포트가 있는 경우, 필요에 따라 포트를 둘 다 사용할 수는 있지만 동시에 두 포트를 사용할 수는 없습니다). COM1 및 COM3로 지정된 직렬 포트로 1개 이상의 확장 카드를 설치하는 경우, 대응되는 내장형 직렬 포트가 비활성화됩니다.
COM 포트를 재할당하는 카드를 추가하기 전에 소프트웨어와 함께 제공된 설명서를 참조하여 소프트웨어가 새로운 COM 포트에 할당될 수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자동 구성하지 않으려면, 내장형 포트의 지정은 그대로 두고, 확장 카드에 있는 점퍼를 재설정하여 카드의 포트 지정을 다음 사용가능한 COM 번호로 변경하면 됩니다. 다른 방법으로는 System Setup 프로그램에서 내장형 포트를 비활성화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확장 카드 설명서에는 카드의 기본 I/O 주소 및 사용가능한 IRQ 설정값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포트의 주소 재지정 및 IRQ 설정 변경에 대한 지시사항도 제공합니다.
운영 체제의 직렬 및 병렬 포트를 처리하는 방식 및 명령 순서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은 운영 체제 설명서를 참조하십시오.
시스템은 PS/2형 키보드를 사용하고 PS/2호환 마우스를 지원합니다. 두 장치의 케이블을 시스템 전면과 후면에 있는 6핀, 소형 DIN 커넥터에 연결하십시오.
주: 전면 패널 PS-2 커넥터를 활성화하려면 모니터를 전면 패널 비디오 커넥터에 연결해 야 합니다. 전면 패널에 모니터를 연결하면 후면 패널 키보드, 마우스, 비디오가 모두 비 활성화됩니다. |
주: 시스템 전면에 키보드와 마우스를 연결하려면, 키보드와 마우스를 PS/2 커넥터에 연 결하는 PS/2 Y 어댑터를 사용하거나 PS/2 키보드 및 USB 마우스를 사용하십시오. |
마우스 드라이버 소프트웨어는 새로운 마우스 움직임을 감지할 때마다 IRQ12를 발생시켜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마우스 우선 순위를 부여합니다. 또한, 드라이버 소프트웨어는 마우스 데이타를 제어 중인 응용프로그램으로 전송합니다.
하드웨어를 재구성하려면, 키보드 커넥터의 핀 번호 및 신호 정보가 필요합니다. 그림 B-4는 키보드 커넥터의 핀 번호를 나타냅니다. 표 B-2와표 B-3에서는 키보드 커넥터의 핀 지정 및 인터페이스 신호를 정의합니다.
핀 | 신호 | I/O | 정의 |
1 | KBDATA | I/O | 키보드 데이타 |
2 | NC | 해당 없음 | 연결 없음 |
3 | GND | 해당 없음 | 신호 접지 |
4 | FVcc | 해당 없음 | 퓨즈 공급 전압 |
5 | KBCLK | I/O | 키보드 클럭 |
6 | NC | 해당 없음 | 연결 없음 |
쉘 | 해당 없음 | 해당 없음 | 섀시 접지 |
표 B-3. 키보드/마우스 조합 커넥터 핀 지정(전면 패널)
핀 | 신호 | I/O | 정의 |
1 | KBDATA | I/O | 키보드 데이타 |
2 | MSDATA | I/O | 마우스 데이타 |
3 | GND | 해당 없음 | 신호 접지 |
4 | FVcc | 해당 없음 | 퓨즈 공급 전압 |
5 | KBCLK | I/O | 키보드 클럭 |
6 | MSCLK | I/O | 마우스 클럭 |
쉘 | 해당 없음 | 해당 없음 | 섀시 접지 |
다음은 마우스 커넥터의 핀 정보입니다. 하드웨어를 재구성할 경우, 마우스 커넥터의 핀 번호와 신호 정보가 필요합니다. 그림 B-5는 마우스 커넥터의 핀 번호를 나타냅니다. 그림 B-5와 표 B-4에서는 마우스 커넥터의 핀 지정 및 인터페이스 신호를 정의합니다.
핀 | 신호 | I/O | 정의 |
1 | MSDATA | I/O | 마우스 데이타 |
2 | NC | 해당 없음 | 연결 없음 |
3 | GND | 해당 없음 | 신호 접지 |
4 | FVcc | 해당 없음 | 퓨즈 공급 전압 |
5 | MSCLK | I/O | 마우스 클럭 |
6 | NC | 해당 없음 | 연결 없음 |
쉘 | 해당 없음 | 해당 없음 | 섀시 접지 |
시스템에 VGA 호환 모니터를 연결하기 위해 전면 패널과 후면 패널에 있는 15핀 고밀도 초소형 D 커넥터를 사용합니다. 시스템 보드의 비디오 회로는 모니터의 적색, 녹색 및 청색 전자총의 구동 신호를 동기화합니다.
주: 전면 패널에 모니터를 연결하면 후면 패널 키보드, 마우스, 비디오가 모두 비활성화 됩니다. |
하드웨어를 재구성하려면, 비디오 커넥터의 핀 번호와 신호 정보가 필요합니다. 그림 B-6은 비디오 커넥터의 핀 번호를 나타내며, 표 B-5에서는 비디오 커넥터의 핀 지정 및 인터페이스 신호를 정의합니다.
핀 | 신호 | I/O | 정의 |
1 | RED | O | 적색 비디오 |
2 | GREEN | O | 녹색 비디오 |
3 | BLUE | O | 청색 비디오 |
4 | NC | 해당 없음 | 연결 없음 |
5-8, 10 | GND | 해당 없음 | 신호 접지 |
9 | VCC | 해당 없음 | Vcc |
11 | NC | 해당 없음 | 연결 없음 |
12 | DDC 데이타 출력 | O | 모니터 감지 데이타 |
13 | HSYNC | O | 수평 동기 |
14 | VSYNC | O | 수직 동기 |
15 | DDC 클럭 출력 | O | 모니터 감지 클럭 |
쉘 | 해당 없음 | 해당 없음 | 섀시 접지 |
본 시스템에는 USB 호환 장치 연결을 위해 전면 패널에 USB 커넥터 하나와 후면 패널에 USB 커넥터 두 개가 있습니다. USB 장치는 일반적으로 마우스, 키보드, 시스템 스피커와 같은 주변장치입니다.
주의사항: 채널당 500mA 또는 +5V의 최대 전류를 사용하는 USB 장치나 복합 USB 장치는 연결하지 마십시오. 임계값을 초과하는 장치를 연결하면 USB 포트가 종료될 수 있습니다. 장치의 최대 전류 등급은 USB 장치와 함께 제공된 설명서를 참조하십시오. |
하드웨어를 재구성하려면, USB 커넥터의 핀 번호 및 신호 정보가 필요합니다. 그림 B-7은 USB 커넥터를 나타내며 표 B-6에서는 USB 커넥터의 핀 지정 및 인터페이스 신호를 정의합니다.
핀 | 신호 | I/O | 정의 |
1 | Vcc | 해당 없음 | 공급 전압 |
2 | DATA- | I/O | 데이타 |
3 | DATA+ | I/O | 데이타 |
4 | GND | 해당 없음 | 신호 접지 |
===============================================================================
USB 인터페이스의 특징 #2
높은 전력을 요구하는 프린터나 스캐너 같은 장비는 별도의 전원공급장치를 내장하고 있지만, 마우스나 웹캠같이 낮은 전력을 소비하는 장치들은 주로 5V의 전압에 500mA 정도의 전류를 소비한다. 이정도의 전압은 USB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어 별도의 전원없이도 주변기기들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 +5V, 접지 , 2가닥의 데이터전송
▲ USB 케이블 구조
==========================================================================================
USB 케이블 팁 - 1
요즘 mp3는 usb로 충전중에 파일 전송을 할껀지 재생을 할껀지 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있지만 저가형 mp3들에는 이런 설정이 없어서 충전중에는 그저 멍~하니 기다릴 수 밖에 없었다. 그! 러! 면! 이 피같고도 뻘쭘한 시간을 어떻게 해야 할까?
컴퓨터쪽에 꽂혀있는 케이블을 살~짝 빼보자.
빠질듯 걸칠듯 한 수준까지 빼면...
충전중인데 데이터 연결은 끊어질 것이다!!
이게 단순히 접속불량의 문제는 아니고 사실 USB라는 케이블은 태생자체가 그렇게 설계되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