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 프로필 이미지
길라자비 Gilrazabie~~~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등산정보 스크랩 팔공기맥산줄기이야기-4지맥 1분맥 23단맥
법안 추천 0 조회 70 12.02.14 08:09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우리산줄기이야기(팔공기맥편)


□. 우리산줄기의 이름


아래에 나오는 산줄기 명칭은 백두대간과 정맥은 산경표에서 정의한대로 일치를 시켰으며 19기맥은 100km 이상되는 산줄기와 특별한 의미를 부여한 산줄기로 산경표의 원리대로 온전한 강줄기의 울타리를 치고 있으면 강줄기의 이름을 사용했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 대표적인 산이나 지명을 차용하여 내 나름대로 원칙에 충실하려고 많은 노력을 기울여 이름을 지었다


대간이나 각 정맥 기맥에서 분기된 30km이상 100km미만인 산줄기인 지맥과 아래에 나오는 산줄기 명칭은 백두대간과 정맥은 산경표에서 정의한대로 일치를 시켰으며 19기맥은 100km 이상되는 산줄기와 특별한 의미를 부여한 산줄기로 산경표의 원리대로 온전한 강줄기의 울타리를 치고 있으면 강줄기의 이름을 사용했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 대표적인 산이나 지명을 차용하여 내 나름대로 원칙에 충실하려고 많은 노력을 기울여 이름을 지었다


대간이나 각 정맥 기맥에서 분기된 30km이상 100km미만인 산줄기인 지맥과 10km 이상 30km미만인 단맥은 어느 하나의 물줄기 가름이 정확하지 않고 여러개의 물줄기를 거치는 경우가 많으며 또한 그 흐름도 산줄기의 이름으로 사용하기에는 미미한 경우나 인지도가 현저히 낮아 주로 대표산의 이름을 차용해 지었으며 특수한 경우 지방 이름을 차용하여 지었다


10km 미만인 여맥은 그 이름을 일일이 나열하기가 너무 번거로워 생략을 하거나 특별한 경우만 00여맥이라고 표현을 하였다


□. 산줄기의 격


대간이나 정맥을 제외한 산줄기에 격을 둠은 모든 산줄기를 단순히 기맥이라고 한다든지 지맥이라고 한다든지 할 경우 산줄기 이름만 들어서는 과연 그 산줄기가 어디에서 분기하였으며 어느 정도의 흐름을 가지고 있는지 도저히 짐작을 할 방법이 없다


산경표에서도 대간 정간 정맥으로 그 산줄기의 부모형제의 관계를 설명하려 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그보다 더욱 복잡하고 천태만상인 기맥 이하의 산줄기를 단순히 하나의 항열로 부른다면 많은 혼란을 초래할 것 같아 그 뿌리를 밝히고 항열을 밝히고자 함이다


그래서 백두대간이나 정맥을 제외한 100km 이상의 산줄기나 어떠한 특별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산줄기를 기맥으로 정의를 하고 그 대간이나 정맥 기맥을 주맥으로 보고 그 주맥에서 분기된 지맥을 표현할 경우 그 조상의 이름을 앞에다 놓아 그 산줄기가 어디서 왔는지 표현하려 했다


예를 들면 경북 문경시에 운달산이라는 그 지방 명산이 있는데 그 산이 속한 산줄기 이름을 지을 경우 우선 백두대간에서 분기가 되었으니 우리산줄기의 조종인 “백두”를 가져오고 그 다음으로 그 산줄기중 가장 유명한 산이 운달산으로 추정이 되므로 “운달”을 가져와 연결해서 부르면 “백두운달지맥”이 되는 원리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즉 “백두대간 대미산에서 운달산으로 연결된 30km 이상 100km 미만인 산줄기구나” 하고 해석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정맥과 기맥에서 분기된 지맥은 백두대간과 정맥과 기맥을 조상으로 생각을 하고 우선 그 백두나 정맥이나 기맥 이름을 앞에다 가져오고 그 다음 그 산줄기에서 가장 유명한 산 이름이나 특수한 경우 지방 이름을 가져온다


예를 들면 경기도 남양주시에 있는 천마산 줄기를 이름 짓는다면 우선 조상격인 한북정맥에서 분기했으니 “한북”을 가져오고 다음에 그 산줄기중 가장 유명한 이름이나 특수한 경우 그 지방 이름을 가져온다


그래서 그 산줄기 중 가장 유명한 산이 천마산으로 추정이 되므로 “천마”를 가져와 이름이 “한북천마지맥”이 되는 것이다


즉 “한북정맥에서 천마산으로 연결된 30km 이상 100km 미만인 산줄기구나”하고 해석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특수한 경우를 예를 든다면


한강영월지맥

한강정맥(기맥)이 서진하면서 계방산 가기 전 도면상 1462봉어깨에서 남쪽으로 한줄기를 분기하니 시종일관 남진하면서 강원도 영월읍에서 동강과 서강이 만나 남한강이 되는 특별한 의미를 줄 수 있는 산줄기


낙동안동지맥

낙동정맥이 칠보산을 거쳐 남하하면서 쇠재에서 깃재(귀재)로 가던중 무명 헬기장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영양의 진산 일월산을 지나 산줄기의 대부분이 안동땅을 지나가며 대한민국의 유수한 바다와 같이 너른 안동호와 임하호를 가르며 안동땅에서 낙동강물이 되는 특별한 의미를 줄 수 있는 산줄기


그 외 호남화원지맥, 호남여수지맥 등이 있다

    

단맥이라 함은 마찬가지로 대간 정간 정맥 기맥 지맥 모두에서 분기하여 10km이상 30km 미만인 산줄기를 말하며


위와같은 논리로 한북천마지맥 주금산에서 분기하여 축령산으로 뻗은 산줄기를 한북천마축령단맥이라고 이름지을 수가 있는 것이다 즉 “한북천마지맥에서 축령산으로 연결된 10km이상 30km 미만의 산줄기구나” 하고 해석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여맥이라 함은 모든 산줄기에서 분기한 10km 미만인 산줄기를 나타내며 아주 짧은 경우 생략을 하고 분기된 그 산줄기에 있다고 설명을 하였으며 그 산을 특별히 나타내고자 할 경우에 한해 예를 들어 한북천마지맥에서 동쪽으로 분기된 운길산을 위와같은 논리로 이름을 짓는다면 한북천마운길여맥이라 부를 수가 있는 것이다 

    

□. 산줄기의 순서

   

정맥과 기맥이 대간에서 북에서 남으로 분기된 순서대로 “편”으로 분리하여 이야기를 하고 거기에서 분기된 지맥 분맥 단맥등을 분기점에서 순서대로 기술을 하고 또한 정맥에서 분기된 기맥은 그 분기된 정맥 다음으로 분기점에서 순서대로 기술을 한다


01편. 백두대간

02편. 한북정맥

03편. 한탄기맥

04편. 한북기맥

05편. 소양기맥

06편. 한강정맥(기맥)

07편. 홍천기맥

08편. 치악기맥

09편. 낙동정맥

10편. 팔공기맥

11편. 위천기맥

12편. 비슬기맥

13편. 형남기맥

14편. 내성기맥

15편. 한남금북정맥

16편. 한남정맥

17편. 금북정맥

18편. 금북기맥

19편. 가야기맥

20편. 진양기맥

21편. 금남호남정맥

22편. 금남정맥

23편. 금남기맥

24편. 호남정맥

25편. 영산기맥

26편. 땅끝기맥

27편. 고흥기맥

28편. 낙남정맥

29편. 섬산줄기


단 위의 산줄기의 분류는 아직은 공식적인 잣대가 없으니 내 나름대로의 원칙을 가지고 산경표의 원리에 충실하려고 최대한 노력한 분류방법임을 밝힌다 물론 앞으로 공식적인 기관에서 산줄기 이름을 짓는다면 추후 그 이름을 따를 것이며 이보다 더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이 있다면 그에 따를 것이다 


산림청 선정 100대명산 높이는 한국의산하에 올라온 자료에 의해 그 높이를 기록했으며 그 외의 산들은 기타 문헌이나 5만분의1지형도에 표기된 높이로 기록했다


산높이가 표시되지 않은 산들은 역시 5만분의1지형도 등고선 평균 높이를 기록하였으므로 다른 문헌이나 인터넷 정보와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말씀드리고자 한다


또한 산줄기의 분기점은 변하지 않으나 그 끝나는 지점은 원칙적으로 제일 긴 산줄기를 따라 갔으나 어느 유명한 산이나 천이나 강의 울타리 또는 합수점을 찾아가기 위해서 짧은 줄기를 택한 경우도 있고 고만고만한 산줄기가 여럿 있을 경우 제일 큰 동네로 갔으나 그렇지 않을 경우 내 임의대로 선택을 하였다


□. 참고사항


여기서 산의 격을 구분짓는 00km란 거리는 5만분의1지형도를 맵자로 잰 거리이므로 재는 방법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100km, 30km, 10km와 같은 기맥 지맥 단맥 여맥의 경계선상의 수치는 어느 정도 오차가 발생해 추후 산줄기의 격이 틀려질 수 있다


“00산(?000, 00/00)”이라함은

00산(삼각점?높이m, 거리km/거리누계km)를 나타내는 것이다


“00).” 이라는 산줄기 앞의 숫자는 직접 정맥에서 분기한 순서이며 “(00)”이라는 산줄기 뒤의 숫자는 지맥급이나 단맥급 산줄기의 갯수를 나타내는 것임





10편. 팔공기맥산줄기이야기


팔공기맥이란?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 1 지형도 도엽명 :

                기계 화북 군위 구미 안계 대구(참고도면)


백두대간이 줄기차게 남으로 남으로 뻗어가다

낙동정맥이 태백 피재(삼수령) 지난 매봉산에서 동쪽으로 잠깐 흐르다 남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시종일관 내륙과 동해 바닷가를 가르며 부산 다대포 몰운대에서 바다 속으로 가라앉는다


이 낙동정맥이 백병산 통고산 온천으로 유명한 백암산 국립공원 주왕산 지나 피나무재 질고개 통점이재를 거쳐서 가사령으로 남하하던 중


도면상 포항시 청하면 상옥리 서쪽 낙동정맥상 742봉에서 청송군과 포항시의 경계를 이루며 서남쪽으로 흘러 723봉 달의령 760봉 지나 777봉에서 포항시 경계는 서북쪽 구암산으로 흐르고


기맥은 온전한 포항시 죽장면 내를 동서로 가르며 백고개 521봉 옻재 603봉에서 서진하다 다시 청송군과 포항시 경계능선을 따라 서남진한다


유현 519봉 꼭두방재 베틀봉 곰내재 지나 서진을 하며 1000m 이상 고도를 높여 면봉산 보현산어깨에서 포항시 경계는 동진을 하고 기맥은 보현산을 오른다 


이후 영천시와 청송군 경계를 따라

보현산 갈재 621봉 노귀재 750봉에서 군위군과 영천시의 경계를 따라 남하한다


750봉에서 서북으로 흐르는 산줄기와 기맥능선 북쪽으로 떨어지는 물은 전부 임하호로 흘러 들어가 낙동강으로 합류하고

이후 기맥능선 북쪽으로 떨어지는 물은 전부 위천으로 흘러 들어가 역시 낙동강으로 합류한다

 

수기령 750봉에서 서진을 하여 701봉 방가산 퉁제이 645봉 485봉 화산 722봉 갑령 466봉에서 영천시와 군위군의 경계를 벗어나 영천시 신령면 내를 가르며 갑령재 오림터널 597봉 사기점고개 지나 388봉 전위봉에서


다시 영천시와 군위군의 경계를 따라 919번 지방도로 332봉 시루봉에서 고도를 한껏 높이며 팔공기맥의 최고봉인 팔공산(비로봉)으로 올라 대구광역시와 군위군의 경계를 간다


파계재를 지난 무명봉에서  대구시 경계는 서진을 하고

기맥은 한티재 가산산성으로 치달아 가산바위 학명리 갈림길 암문(북문?) 모래재로 이어진다                 


이 암문에서 암문을 통과해 서진하는 산줄기는 칠곡군 동명면과 가산면의 경계를 이루며 우계산 소야고개 백운산 황학산 버등재 소학산 한골재 자봉산 조양공원묘지 장원봉 솔치고개 대평마을 162봉 경부고속도로 144봉 니비 용산 마천산 현내고개 다사초교 120봉 왕선마을 71봉 195봉 강정마을로 이어져 낙동강과 금호강이 만나는 곽촌나루에서 끝이난다


이 산줄기는 온전한 금호강 북쪽 울타리를 이루고 있으니 금호북기맥으로 부르는 것이 타당성이 높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든다


이 암문에서 기맥능선 남쪽으로 떨어지는 물은 모두다 대구 시내를 남북으로 가르며 흐르는 금호강으로 온전히 유입된다


금북정맥이 그러하듯이 금강과 전혀 관계없이 서해안 바닷가를 적시는 산줄기를 따라 가장 긴 줄기를 형성하고 있는 산줄기를 금북정맥이라고 부르고 있다


마찬가지로 팔공기맥도 팔공산 지나 가산바위를 지나서 암문(북문?)을 통과해 이어지는 능선이 온전한 금호강 북쪽 울타리를 이루고 있으며

이후로는 금호강과 전혀 관계없이 가장 긴 능선을 따라 간다


암문 이후 기맥능선 왼쪽으로 떨어지는 물은 금호강과 전혀 관계없이 낙동강으로 유입되고 오른쪽으로 떨어지는 물은 위천으로 흘러든다

   

이런 맥락으로 살펴볼 때 어느 대표산 하나를 이름으로 하는 것보다는 강을 중심으로 금호북기맥으로 부르는 것이 더 자연스럽고 타당성이 있다고 할 것이다


칠곡군 가산면과 군위군 효령면의 경계로 373봉 5번국도 석우고개 호령재 지나 구미시 장천면과 군위군 효령면의 경계를 이루며 응봉산 장천2터널 267봉 적라산 장구미기 곰재 지나 구미시 선산읍과 군위군의 경계를 가른다


우베틀산 베틀산 좌베틀산 68번국지도 청화산 갈현 343봉 장자봉 십령 만경산 197봉 231봉 284봉까지 의성군 단밀면 내를 남북 동서로 가르며 흘러


그 끝이  위천과 낙동강이 만나는 경북 상주시 중동면 새띠마을에서 낙동강가로 잦아드는 약167km의 산줄기를 가산이후는 금호강과 무관하게 흐르고 있어 금호북기맥으로 부르기도 타당성이 없는 것 같고 위천북기맥을 분기하는 석산 이전의 산줄기는 위천의 물줄기와는 관계가 없이 흐르고 있어 위천남기맥으로 부르기도 망서려진다


그래서 나는 그 산줄기 중 가장 높고 도립공원으로서 명성을 얻고 있는 팔공산의 이름를 빌어 팔공기맥이라고 이름을 짓는다


우리산줄기 樹體系圖(族譜式)로 알아보면

                 4개지맥 1개분맥 23단맥으로 이루어진 것을 알수있다

 

 

소계

4

1

23

727.4

가사령

서북측

팔공기맥

167.6

죽장

달의령

동남측

팔공죽장단맥

11.8

죽장

달의령

북서측

팔공구암지맥

56.5

죽장

솔치재 동남측

팔공구암새나무단맥

10.6

청송

노래산 동북측

팔공구암사일단맥

15.2

청송

약산

안동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 추월마을

길안천과 반변천

합수점 終

56.5km

안동

면봉산

팔공능남단맥

24

청송

보현산 동측

팔공기룡지맥

32.8

영천

작은보현산

팔공기룡수석단맥

12

영천

기룡산

영천

영천시 성내동

신령천과 금호강

합수점 終

32.8km

영천

갈재

팔공고모단맥

17.7

수기령 남측

팔공봉림단맥

11

영천

살구재

서남측

팔공백학단맥

22

영천

화산면 당지리 땅골

서측능선→

팔공백학용담단맥

14.5

영천

갑령재

북동측

팔공조림단맥

15.8

영천

시루봉

팔공매봉단맥

27

군위

팔공산

팔공환성지맥

30

대구

신령재

팔공환성봉화분맥

34.5

영천

유봉산

영천

영천시 금호읍

황정리 금호강 終

영천

인봉 북측

팔공환성범어단맥

10.7

영천

환성산 북동측

팔공환성무학단맥

10.3

영천

환성산

팔공환성능천단맥

16.5

대구

팔공환성능천단맥

성령 남측→

팔공환성능천하양단맥

10

경산

학봉

대구

대구시 북구

동변동 금호제1교

동화천과 금호강

합수점 終

30km

대구

파계재 서측

팔공도덕단맥

20.4

대구

한티재

서북측

팔공석굴암단맥

16.3

군위

가산

팔공황학지맥

42.8

대구

백운산

팔공황학건령단맥

19

칠곡

버등재 북동측

팔공황학유학단맥

19

칠곡

유학산서측→

팔공황학유학숲데미단맥

12.4

칠곡

장원봉 남측

팔공황학금무단맥

18.8

칠곡

용산

달성

달성군 다사읍

죽곡리 정마을

금호강과 낙동강

합수점

42.8km

달성

장구메기

팔공물부리단맥

13.5

군위

청화산 동측

팔공막골단맥

14.7

의성

만경산

의성

상주시 중동면

우물리 새띠

위천과 낙동강 합수점 終

167.6km

상주

 

 

 

 


01. 팔공죽장단맥

팔공기맥이 낙동정맥 가사령 북측 무명봉에서 서남방향으로 분기하여 달의령 가기전 742.9봉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549.3봉(6.4)-사월재-

545.2봉(2/8.4)을 지나 포항시 죽장면 입암리 가사천이 자호천을 만나는 곳에 있는 죽장면소재지 북측 입암1교(3.4/11.8)에서 끝이나는 약11.8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1. 팔공구암지맥


팔공기맥이 낙동정맥 가사령에서 북쪽으로 올라간 무명봉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달의령을 지나 백고개로 가면서 오르는 무명봉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구암산(807, 1.1)-3번국도 삼자현(14.5/15.6)-


930번 지방도로(5.6/21.2)-솔치재(3.2/24.4)-노목고개(4.5/28.9)-아홉실재-

양곡재(12.5/41.4)-천지암임도(2.5/43.9)-학산(550, 3.6/47.5)-임하공동묘지 지나 안동시 임하면 임하중고교 길안천이 반변천을 만나는 곳(8.7/56.2)에서 끝이나는 약56.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2. 팔공구암새나무단맥

팔공구암지맥이 구암산을 지나 흐르면서 17번군도 솔치재 가기 1km 전 임도에서 올라간 청송군 파천면 안덕면 부남면의 경계가 되는 지점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새나무재(1.3)까지 흐르다 파천면과 청송읍의 경계를 따라

임도(4.2/5.5)-328.8봉(3/8.5)-914번지방도로(1.1/9.6)를 지나 파천면 덕천리 신흥천이 용전천을 만나는 곳(1/10.6)에서 끝이나는 약10.6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3. 팔공구암사일단맥

팔공구암지맥 아홉실재에서 동북으로 분기하여 914번지방도로(4.5)-

사일산(649, 2/6.5)-말구리재(415.4, 4.6/11.1)-광골재-치골재-

와룡산(489, 2.5/13.6)지나 안동시 길안면 반변천(1.6/15.2)에서 끝이나는 약15.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4. 팔공능남단맥

팔공기맥 면봉산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능남재(12.5)-

68번국지도 문리고개(7.5/20) 지나 청송군 안덕면 신성리 길안천변 신성교(4/24)에서 끝이나는 약24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2. 팔공기룡지맥


팔공기맥 보현산어깨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작은보현산(826.5, 1.7)-

갈미봉(786.5, 3.5/5.2)-외미기재(2/7.2)-기룡산어깨(2/9.2)-

시루봉(649, 4.13.2)-대구포항간 고속국도인 14번국도(8/21.2)-

28번국도(6.2/27.4) 지나 영천시 성내동 금호강변 영천철교(6/33.4)에서 끝이나는 약33.4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5. 팔공기룡수석단맥

팔공기룡지맥 작은보현산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대태고개(3)-

수석봉(820.5, 2.5/5.5)-배고개임도(2/7.5) 지나 영천시 자양면 충효리 화방촌 하거천이 자호천을 만나는 충효교(4.5/12)에서 끝이 나는 약1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6. 팔공고모단맥

팔공기맥 보현산에서 노귀재로 가면서 갈재 전 등고선상570봉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908번지방도로 밖산재(430, 1)-대정산(704, 2.5/3.5)-재랍재-

고모산(763.5, 2.8/6.3)-동치골재 도로(2.1/8.4)-646.8봉(1.6/10)-68번국지도 오리고개(5.5/15.5)-임도를 거쳐 안덕면소재지 서쪽능선으로 진행해 청송군 안덕면 명당리 노하마을 지나 908번지방도로를 지나 보현천이 길안천을 만나는 곳(2.2/17.7)에서 끝이나는 약17.7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7. 팔공봉림단맥

팔공기맥이 석산에서 위천북기맥을 분기하고 남하하면서 올라간 군위군 고로면 영천시 화남면 화북면의 무명 삼면봉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질매재-봉림산(688.4, 1)-282.3봉-236.8봉-5번군도-35번국도를 건너 영천시 화남면 선천리 학지마을 안천이 고현천을 만나는 학지교(10/11)에서 끝이 나는 약11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8. 팔공백학단맥


팔공기맥이 방가산에서 화산으로 가면서 오른 무명645.9봉에서 동남으로 분기하여 370봉(4)에서 서남방향으로 화산면내로 용담단맥을 떨구고 북동진하여 화남면내로 들어가 시계방향으로 원을 그리며 4번국지도(6/10)-거상재-백학산(226.2)-대구포항 고속도로(4.5/14.5)-녹전임도(3/17.5) 지나

영천시 대전동 고현천이 신령천을 만나는 화룡철교(4.5/22)에서 끝이 나는 약2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9. 팔공백학용담단맥

팔공기맥에서 분기된 팔공백학단맥이 가다가 등고선상370봉에서 서남방향으로 분기하여 화산면내로 들어가 4번군도(2.5)-226.6봉(2.6/5.1)-임도(2/7.1)-

223.5봉-납생이마을 임도(3/10.1)-대구 포항간 고속도로-

감못안 임도(1.2/11.3)-용담마을 임도(2.2/13.5)-28번국도를 지나 화산면 호당리 삼부천이 신령천을 만나는 곳(1/14.5)에서 끝이나는 약14.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0. 팔공조림단맥

팔공기맥이 화산에서 갑령재로 떨어지기 전 무명봉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28번국도(1.8)-조림산(637.9, 2/3.8)-황장재(5/8.8) 지나 군위군 우보면 미성리 구천이 위천을 만나는 미성철교(7/15.8)에서 끝이 나는 약15.8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1. 팔공매봉단맥

팔공기맥이 자주고개에서 팔공산으로 오르다가 시루봉을 넘은 무명 삼면봉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79번국지도 수덕쉼터(7.1)-삭골재-

화계리 도로(10/17.1)-매봉산(488.7, 7.4/24.5) 지나 군위군 효령면 병수리 간동유원지 남천이 위천을 만나는 5번국도 병천교(2.5/27)에서 끝이나는 약27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3). 팔공환성지맥


팔공기맥 팔공산에서 기맥은 서진하고 동남방향으로 한줄기를 분기하여

신령재(993, 3.1)-인봉(897.6, 3.2/6.2)-관봉-갓바위-

909번지방도로 능성고개(3.2/9.4)-와촌터널-환성산(811.3, 3.6/13)-

백안터널 갈미재(4.3/17.3)-비일재-문암산(431.4, 3.3/20.6)-


파군재 인터첸지(3.7/24.3)-학봉(280, 2.8/27.1) 지나 대구시 북구 동변동 동화천이 금호강을 만나는 경부고속도로 금호제1교(3.1/30.2)에서 끝이나는 약30.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1). 팔공환성봉화분맥


팔공환성지맥 신령재에서 동북으로 분기하여 구디터고개(8.3)-919번지방도로 계지리고개-봉화산(163.7, 4/12.3)-정동마을 도로-

909번지방도로 월부재(3.1/15.4)-봉화산(291.1, 1.6/17)-대구포항고속도로-909번지방도로 월평마을(2.8/19.8)-사일온천도로(2.5/22.3)-


봉화산(276.6, 3.5/25.8)-28번국도-영천경찰서 땀고개(1.5/27.3)-

유봉산(241.1, 0.6/27.9)-봉죽고개-4번국도 기고개(2/29.9)-175.2봉-거여철교 봉정교 지나 영천시 황정리 금호강변(1.1/31)에서 끝이나는 약31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2. 팔공환성범어단맥

팔공환성지맥이 팔공산에서 분기하여 신령재에서 팔공봉화분맥을 떨구고 갓바위로 가면서 897.6봉에서 영천시와 경산시의 경계를 따라 동쪽으로 분기하여 629.1봉(2.7)-범어고개(390, 1.5/4.2)-한골도로(2.2/6.4)에서 팔공산도립공원은 끝나고 대구 포항간고속도로 919번지방도로(4/10.4)를 지나 박사천이 청통천을 만나는 곳(0.3/10.7)에서 끝이나는 약10.7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3. 팔공환성무학단맥

팔공환성지맥이 능성고개에서 환성산으로 가면서 등고선상670봉에서 경산시 와촌면과 하양읍의 경계를 따라 무학산(574.5, 4)-243.6봉-임도-소월리 임도(3.2/7.2)-919번지방도로 와촌면사무소(2.4/9.6)를 지나 소월저수지물이 청통천을 만나는 곳(0.7/10.3)에서 끝이나는 약10.3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4. 팔공환성능천단맥

팔공환성지맥 환성산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성령으로 내려섰다가 짐시 오른 지점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476.2봉(1.4)-383봉(2/3.4)-능천산(357, 2.2/5.6)-원부동 임도(2/7.6)-경부고속도로-돈지봉(130.8, 1.5/9.1)-중앙고속도로-용계동전철역(1.4/10.5) 이후 전철과 나란히 서진하며 시내 한복판을 가르며 방촌역-해안역-입석중교를 지나 대구국제공항 남측 도로를 따라 불로중교 공항교 옆으로 진행 방천이 금오강을 만나는 곳(6/16.5)에서 끝이나는 약16.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5. 팔공환성능천하양단맥

팔공환성능천단맥이 성령에서 잠시 올라간 지점에서 서쪽으로 팔공환성능천단맥이 흐르고 한줄기를 동남방향으로 분기하여 대구와 경산의 경계를 따라 등고선상490봉(2.5)에서 하양읍을 남북으로 가르며419.4봉(2/4.5)-대속지 북측(2.5/7)을 지나 대구카톨릭대학교-금락리도로-하양읍사무소(2/9)를 지나 4번국도, 대구선철로(0.5/9.5)를 거쳐 조산천이 금호강을 만나는 곳(0.5/10)에서 끝이나는 약10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6. 팔공도덕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군위 대구


팔공기맥이 낙동정맥상 경북 포항시 청하면 상옥리 가사령에서 분기하여

줄기차게 서진하여 팔공산을 솟구치고 서붕 파계재를 지나

무명봉인 830봉에서 북서 방향으로 달려 한티재로 내려섰다 가산산성으로 내달리고


단맥은 이 830봉에서 한줄기를 내어 서진을 하며 870봉 812봉을 지나 고도를 300m 이상 팍 낮추어 내려가다 고도 530m 지점에서 왼쪽으로 90도 각도로 꺾어서 남진을 하며 더욱 더 고도를 낮추어 대왕재로 떨어진다


급하게 고도를 400m 이상 올라쳐 도덕산을 일구고 잠시 남진하다

고도 573m 지점에서 대구광역시와 칠곡군의 경계능선을 달리던 산줄기가 서진한다


이후 단맥은 대구시 도남동과 중앙동 국우동과 연경동 구암동과 서변동을 동서로 나누며 316봉 366봉 352봉 257봉 220봉 248봉어깨 함지산 236봉

155봉 152봉 금호강변 팔달교로 이어지는 약20.4km 정도의 산줄기를 말한다


17. 팔공석굴암단맥

팔공기맥이 팔공산에서 한티재로 내려섰다가 올라간 무명 삼면봉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10번국지도-석굴암임도(3.8)-삭골재 지나 군위군 효령면 거매리 사창천이 남천을 만나는 5번국지도 거매교(12.5/16.3)에서 끝이나는 약16.3km의 산줄기를 말한다


04). 팔공황학지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군위 구미 왜관 대구(참고도면)


백두대간 태백시 매봉산 천의봉에서 분기한 낙동정맥이 줄기차게 남진을 하며 숯한 산줄기들을 분기 하는데 그 중에 주왕산 지나 가사령 북쪽 무명 742봉에서 서쪽으로 한줄기를 분기하여 보현산 팔공산 가산 청화산으로 가던중 팔공산 가산바위를 지난 무명 851.5봉에서 서쪽으로 한줄기를 다시 분기하여 대구벌의 젖줄인 금호강의 온전한 북쪽 울타리를 치는 산줄기를 말한다


그 흐름을 살펴보면

                              (삼각점△높이m, 거리km/누계km)를 나타냄


가산바위 북쪽 0.6km에 위치한 도면상 851.5봉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경북 칠곡군 가산면과 동명면의 경계를 따라-午鷄山(△466.3, 3.2)-

5번 25번국도 소야고개(250, 1.7/4.9)-현대공원묘지 중앙고속도로 터널인 다부터널위 현대공원묘지 도로 안부(290, 1.2/6.1)-484봉-

白雲산(△713.4, 2.5/8.6)에서 남쪽으로 健靈산(516, 단맥)을 떨구고 가산면과 지천면의 경계를 따라 북진한다

 

황학산(黃鶴山 770, 1.5/10.1)-699봉-583봉-버등재(570, 2.5/12.6)에서 북쪽으로 다부전적지로 유명한 유학산(遊鶴山 △838.6 단맥)을 떨구고 석적면과 지천면의 경계를 따라 서남진하여 황학마을 도로(430, 0.8/13.4)-


소학산(巢鶴山 622, 1/14.4)-5번군도 요술의고개(魔幻之路)(330, 0.8/15.2)-무명 등고선상 450봉에서 서쪽으로 岐船산(△464.7, 여맥)을 떨구고 동남진한다


△406.2m 지점-紫峰산(430, 2.5/17.7)-

조양공원묘지(390, 0.5/18.2)-364봉-壯元봉(△370.2, 2/20.2)을 내려서면서 고도 약250m 지점(0.7/20.9)에서 서남방향으로 錦舞山(△268.1 단맥)을 떨구고 순수한 지천면내로 들어가 하빈천과 이언천을 구분지으며 지천면을 동서로 나누며 동남진 한다


망월암 안부(130, 1.3/22.2)-148봉-서원마을 뒷산(130, 2.4/24.6)-4번국도 신동초교(50, 1/25.6) 근방 어름 어디로 내려가야 하는데 신동초교 앞으로 마루금을 그린다


신설된 4번국도(130, 1/26.6)-△185봉-△162.5봉에서 칠곡군 지천면과 달성군 하빈면의 경계를 따라 남진하여 경부고속도로(90, 2.5/29.1)-144봉-

니비재(150, 1/30.1)-龍산(249.6, 3/33.1)에서 동남으로 朴박산(△215.4 여맥)을 떨구고 지맥은 달성군 하빈면과 다사면의 경계를 따라 서남진 한다


馬川산(△274.2, 0.7/33.8)-도로(110, 1.5/35.3)에서 오름능선상 190m 지점에서 경계선을 떠나 다사면을 동서로 나누며 남진하여 다사초교 근방 도로(50, 3.5/38.8)-△120.1봉-왕선마을 도로 삼거리(70, 1/39.8)-


竹谷산(△195.8, 1.5/41.3)-달성군 다사면 죽곡리 강정마을 금호강이 낙동강을 만나 낙동강물이 되는 곳(30, 1.5/42.8)에서 끝이 나는 약42.8km의 산줄기를 마땅히 부를 이름이 없어 그 산줄기 중 가장 높은 황학산의 이름을 빌어 팔공기맥에서 분기하였으므로 팔공황학지맥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이 산줄기와 단맥상에는 그 이름상 특이한 사항이 하나 있는데 바로 황학산 유학산 소학산이라는 세 개의 학산이 삼각형을 그리고 있다는 점이다


금빛 찬란한 학인 黃鶴, 학이 노니는 산인 遊鶴, 학이 보금자리를 짓는 巢鶴

과연 이러한 삼학에 대해 나는 아는 것이 없으니 답답할 뿐이다

이 三鶴에 대해 아시는 분이 계신다면 알려 주시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만약 팔공기맥을 가산에서 청화산 쪽으로 머리를 돌리지 않고 금호강의 온전한 북쪽 울타리를 치는 이 황학지맥으로 연결을 한다면 팔공기맥으로 부르는 것보다는 산경표의 원리에 따라 금호강의 온전한 북쪽 울타리이므로 금호북기맥이라고 불러야 바람직하다 할 것이나 가산에서 더 긴 산줄기를 따라 금호강을 벗어나 위천의 남쪽 줄기로 이어가는 바람에 금호북기맥이라는 이름을 얻지 못하였다


물론 산경표에도 정확하게 물줄기를 끝까지 이어가지 않더라도 어떠한 이유로 물줄기의 이름을 사용하는 예는 있다 한북정맥, 금북정맥, 금남정맥이 그예가 된다 할 것이다


그런 연유로 황학지맥을 외면한 팔공기맥을 금호북기맥이라고 이름을 지어도 안 될 것은 없지만 그렇지만 단순히 산경표에 그런 예가 있다고 하여 예외를 둘 수는 없는 일인 듯 하여 그 산줄기의 대표적인 대구의 진산 팔공산의 이름을 빌어 짓는 것이 더 타당성이 있을 것 같아 팔공기맥이라 부르게 된 것이다    


그리되면 위에서 말한 금호강의 진정한 북쪽 울타리 부분이 남아 있게 되어 그 산줄기를 금호북지맥이라고 이름을 지어도 무방하나 가사령부터 흘러온 산줄기 전체를 뜻하는 산줄기로 이해할 수도 있으므로 지금까지 이름을 짓는 내 나름대로의 원칙에 의거 그 산줄기 중 제일 높은 산의 이름을 빌어 지어본 것 뿐이다


앞으로 정부나 공신력 있는 단체 등에서 적법한 절차에 의해 이름이 정해진다면 그에 따를 것은 물론이다

      

18. 팔공황학건령단맥

팔공기맥 백운산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6번도로 청구공원묘지도로(1.8)-

건령산(516, 3/4.8)-여부재-명봉산(401.7, 2.5/7.3)-중앙고속도로 칠곡인터첸지 지나 4번국도(5.3/12.6)-중앙고속도로 금호터널-사수재 지나 경부고속도로(5.4/18)-지천철교 지나 칠곡군 지천면 용산리 장가마을 이어천이 금호강을 만나는 곳(1/19)에서 끝이나는 약19km의 산줄기를 말한다

   

19. 팔공황학유학단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구미

 

팔공기맥이 가사령에서 서쪽으로 흐르다 팔공산 지난 가산바위에서 기맥은 북쪽으로 가고 다른 한줄기를 서쪽으로 분기하여 달구벌의 젖줄인 금호강의 북쪽 울타리를 치는 황학지맥이 백운산 황학산 지나 소학산으로 내려가면서 버등재에서 북쪽으로 한줄기를 분기하여 유학산 천생산을 거쳐 다부동에서 발원한 한천이 낙동강과 만나는 구미시 구포동 낙동강가에서 끝이 나는 산줄기가 있으니


그 흐름을 살펴보면


버등재(590)-장현(370, 1)-830봉(1.3/2.3)-遊鶴산(△838.6, 1.2/3.5) 직전에서 남쪽으로 숲데미산(△518.7, 단맥)을 떨구고 유학단맥은 칠곡군 석적면과 가산면의 경계를 따라 서진을 한다


천생산과 봉두암산으로 분기되는 구미시와 석적면과 가산면의 경계지점(570, 1.8/5.3)에서 서남방향으로 鳳頭岩산(430 여맥)을 떨구고 구미시와 가산면의 경계를 따라 서북진한다


530봉 904번 지방도로 新洞池(110, 3.5/8.8)로 떨어졌다가 287봉(0.7/9.5)에서 구미시와 장천면의 경계를 따라 서진을 한다


286봉 天生산(△406.8, 1.9/11.4)어깨에서 구미시를 남북으로 가르며 서진하여 221봉 226봉 한태재(190, 2.7/14.1)-돌고개(90, 2.5/16.6)로 내려선다


△157.2 지점을 지나 구미시 구포동 한천이 낙동강을 만나 낙동강물이 되는 곳(50, 2.4/19)에서 끝이나는 약19km의 산줄기를 팔공황학지맥에서 분기하였으므로 그 산줄기에서 제일 높고 유명한 유학산의 이름을 차용하여 팔공황학유학단맥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20. 팔공황학유학숲데미단맥

팔공황학유학단맥 유학산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3번국지도 땅재(1)-

숲데미산(518.7, 4.3/5.3)-67번국도 동화공단타운(5.8/11.1) 지나 칠곡군 석적읍 중리 광암천이 낙동강을 만나는 곳(1.3/12.4)에서 끝이나는 약12.4km의 산줄기를 말한다


21. 팔공황학금무단맥

팔공황악지맥이 장원봉을 넘어 내려가면서 서남으로 분기하여 경부고속도로-

4번국도(3.6)-금무산(268.4)어깨(1.5/5.1)-보병고개(4.1/9.2)-67번,79번국지도 하빈고개(3.6/12.8)-30번국도(3.5/16.3) 지나 달성군 하빈면 봉촌리 백천이 낙동강을 만나는 건너편 봉촌제방(2.5/18.8) 낙동강변에서 끝이나는 약18.8km의 산줄기를 말한다

 

22. 팔공물부리단맥

팔공기맥 장구메기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2번국지도-

물부리산(353.9, 3.7)-풍령(2.1/5.8)-68번국지도 안령고개(4.5/10.3) 지나 군위군 소보면 내의리 상량마을 위천? 내의교(3.2/13.5)에서 끝이나는 약13.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23. 팔공막골단맥

팔공기맥 청화산 전위봉인 삼면봉에서 동북으로 분기하여

923번지방도로(2.5)-막골재도로(5.2/7.7)-비안면 서부리 비안교회 도로(4/11.7) 지나 비안면 동부리 장송마을 쌍계천이 위천을 만나는 건너편(3/14.7)에서 끝이나는 약14.7km의 산줄기를 말한다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