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프로스는 역사적으로 비잔틴제국과 오스만제국의 영향을 받았다. 키프로스 주민 구성이 그리스계와 터키계로 이루어진 이유이기도 하다. 1960년 키프로스는 영국으로부터 독립했다. 독립하면서 키프로스는 두 민족이 공존하는 정책을 채택했다. 당시 독립 헌법에 이런 정책내용이 고스란히 반영되어 있다. 1960년 통일헌법은 키프로스의 양개 민족 존재를 인정하고, 대통령은 그리스계 지역사회에, 부통령은 터키계 지역사회에 각각 할당했는데, 부통령에게 외교와 군사에 관한 광범위한 거부권 행사 권한을 주어 대통령과 거의 동등한 지위를 부여했다. 그 외에 국회의원 의석, 대법원 판사 등도 그리스계와 터키계에 각각 배분하는 등 양 민족의 권력공유 통치체계를 국가권력 구조의 기본 틀로 만들었다.
하지만 이런 권력공유 통치체계는 1963년 마카리오스 대통령이 헌법 개정을 추진하면서 흔들렸다. 마카리오스는 1960년 헌법이 국가의 통일성과 효율성을 저해한다는 이유를 내세워 개정을 시도했다. 개정하려는 헌법에는 터키계 키프로스 주민들의 권리를 제한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에 터키계 키프로스 주민들은 반발했고, 터키계 키프로스 각료와 공무원들이 업무를 거부하는 등 반대가 극심했다. 일반 주민들도 그리스계 주민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등 양 민족 간의 분쟁이 격화되었다.
키프로스에서 양 민족의 충돌이 전국적인 범위로 확대되자, 마카리오스 키프로스 정부는 유엔에 이 문제를 해결해 줄 것을 요청했다. 이에 유엔 안보리는 1964년 3월 유엔평화유지군을 배치해 키프로스에서의 분쟁을 평화적으로 해결할 것을 결의했다. 2개월 뒤인 1964년 5월 영국 등 11개국이 포함된 평화유지군 6,411명이 배치되었다. 이들은 양개 민족을 인위적으로 분리해서 법과 질서회복 및 충돌 방지에 역점을 두고 임무를 수행했다.
유엔평화유지군의 활동에도 불구하고 그리스계 주민들과 터키계 주민들의 충돌과 갈등은 계속되었다. 이 과정 속에서 터키계 키프로스 주민들은 1967년 12월 키프로스 북부지역에서 자신들만의 임시정부 수립을 선포했다. 유엔평화유지군의 양 민족 인위적 분리정책은 분단의 도화선이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리스계와 터키계 주민들은 통일국가 유지를 위한 노력을 포기하지 않았다. 많은 부분에서 진전이 있었지만, 완전한 합의에 이르지는 못했다.
1974년 그리스에서 쿠데타에 의해 군사정부가 들어섰다. 그리스 군사정부는 키프로스의 마카리오스 정부의 비동맹 중립외교 등을 비난하면서 키프로스와 각을 세웠다. 1974년 7월 15일, 키프로스에서는 그리스 군사정부의 지원을 받는 군사쿠데타가 일어나 마카리오스 정부를 전복시켰다. 그리스에서 군사정부가 들어설 때부터 상황을 예의 주시하던 터키는 키프로스에서 쿠데타가 일어나 정부가 전복되자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다. 특히 키프로스의 쿠데타 세력은 키프로스의 그리스 통합을 표방하는 에노시스(Enosis)를 적극 지지하고 있었다.
다급해진 터키는 1974년 7월 20일, 키프로스에 35,000여명의 군대를 투입했다. 터키는 키프로스내 터키계 주민들을 보호하고, 군사쿠데타 이전으로 키프로스를 회복시킨다는 명분을 내세웠다. 터키의 침공으로 키프로스의 그리스계 주민 약 1,500명이 사망하고, 1,000여명이 실종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터키계 키프로스 주민 약 500명도 사망했다. 터키가 키프로스에 군사적으로 개입한 지 4일 뒤인 1974년 7월 24일 그리스의 군사정부는 붕괴되었다. 그리스의 키프로스 쿠데타 세력에 대한 지원이 끊기자, 키프로스의 쿠데타 세력도 축출되었다.
쿠데타 세력 축출로 마카리오스 대통령을 포함한 키프로스 이전 정부는 회복되었다. 하지만, 터키는 키프로스의 상황이 환원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철군 하지 않았다. 터키는 키프로스 쿠데타 정부군과 교전 이후 남북을 나누는 정전라인을 긋게 된다. 이후 북부 지역은 터키가, 남부지역은 그리스계 키프로스 공화국이 각각 통제하면서 남북으로 분단되고 말았다. 터키의 북키프로스 지역 점령으로 북부지역에 거주하던 그리스계 키프로스인들은 그곳을 떠나 남쪽으로 이주했다. 남쪽에 거주하던 터키계 키프로스인들도 마찬가지로 북쪽으로 거주지를 옮겼다. 그리스계 키프로스인 20만 여명이 남쪽으로 이주했고, 터키의 터키계 키프로스 주민 유인대책으로 많은 수의 터키계 키프로스인도 북쪽으로 거주지를 옮겼다. 또한 터키는 자국의 주민 10만 여명을 북키프로스 지역으로 이주시켜 북키프로스에 대한 터키화를 추진했다.
참고문헌
Papadakis Yiannis& Welz Gisela, Divided Cyprus: Modernity, Histroy, and an Island in Conflict , Indiana Univ. Press(2006)
Asmussen, Jan, Cyprus at War: Diplomacy and Conflict during the 1974 Crisis, Palgrave Macmillan(2008)
Mallinson William, Cyprus: A Modern History, Palgrave Macmillan(2008)
Richter Heinz, A Concise History of Modern Cyprus 1878-2009, David Brown Book Co.(2010)
Hill George, A History of Cyprus, Cambridge Univ. Press(2010)